민지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지환은 1971년 데뷔하여 2000년대까지 다양한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한 배우이다. 1970년대에는 《허생전》, 《이율곡》 등에 출연했으며, 1980년대에는 《대한국인》에서 안창호 역, 《독립문》에서 박영효 역 등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인물을 연기했다. 1990년대에는 《제4공화국》에서 윤필용 장군 역을 맡았고, 2000년대에는 《태조 왕건》, 《명성황후》 등에 출연했다. 영화 출연작으로는 《국회 푸락치》, 《사약》, 《태풍》, 《디워》 등이 있으며, 2011년 KBS2 《여유만만》에 게스트로 출연하기도 했다. 1975년 백상예술대상에서 인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주시 출신 배우 - 김주현 (배우)
김주현은 2006년 MBC 드라마 《불꽃놀이》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했으며, 2017년 춘사영화제 신인여우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원주시 출신 배우 - 김히어라
김히어라는 2009년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활동하다가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를 통해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개신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한 사람 - 김성제 (1960년)
김성제는 1960년생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공무원으로 시작하여 민주당 소속으로 의왕시장에 당선, 연임했으며, 현재는 국민의힘 소속으로 제11대 의왕시장으로 재임 중이다. - 개신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한 사람 - 선동혁
선동혁은 1976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여 연극, 드라마,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1998년에는 트로트 가수로 음반을 발표하기도 한 배우이다. - 춘천초등학교 동문 - 이대환
이대환은 대한민국 전 야구 선수로 투수였으며, 현대 유니콘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 NC 다이노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현재는 코치로 활동한다. - 춘천초등학교 동문 - 김상용 (시인)
김상용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망향의 정서와 시대적 고뇌를 표현한 시집 『망향』과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소설집 『무궁화』를 발표한 시인이다.
민지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민지환 |
원어명 | 閔智煥 |
본명 | 민승원 (閔昇源) |
다른 이름 | 안상만 |
출생일 | 1937년 8월 16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강원도 원성군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서울연극학교 전문학사 |
직업 | 배우, 성우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대건 안드레아) |
배우자 | 정명자 |
형제자매 | 동복 누나 1명, 이복 누이동생 2명 |
자녀 | 민홍숙(장녀) 민희정(차녀) 민준호(아들) |
친척 | 조현진(자부) |
수상 | 1975년 제11회 백상예술대상 애독자 인기상 |
활동 기간 | 1956년 ~ 현재 |
가족사 | |
생모 상봉 | 37년 만에 생모와 상봉 (1976년) |
2. 연기 활동
민지환은 197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동한 배우이다. 대한국인의 안창호 역, 독립문의 박영효 역, 새벽의 김삼룡 역, 오성장군 김홍일의 김홍일 역 등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인물을 연기했다. 제4공화국과 제5공화국에서는 윤필용 장군 역을 맡았다.
드라마에서는 주로 역사적 인물이나 시대극의 주요 배역을 맡았고, 영화에서는 다양한 장르에서 조연으로 출연했다.
2. 1. 텔레비전 드라마
방영 연도 | 드라마 제목 | 배역 | 비고 |
---|---|---|---|
1971년 | 《귀로》 | 대공수사요원 역 | |
1972년 | 《허생전》 | ||
1972년 | 《그 얼굴에 햇살을》 | ||
1972년 | 《야간비행》 | ||
1972년 | 《고향》 | ||
1974년 | 《이율곡》 | ||
1974년 | 《꽃피는 팔도강산》 | ||
1975년 | 《아버지와 딸》 | ||
1978년 | 《6.25》 | ||
1978년 | 《모란꽃》 | ||
1979년 | 《차씨마을》 | 당위원장 역 | |
1979년 | 대한국인 | 안창호 역 | |
1980년 | 파천무 | 일연스님 역 | |
1980년 | 《달리는 사람들》 | ||
1981년 | 《우리에게 축복의 기도를》 | ||
1982년 | 풍운 | 김병국 역 | |
1982년 | 밀봉 | ||
1982년 | 맥토 | ||
1983년 | 어머님 날 낳으시고 | ||
1983년 | 객주 | ||
1984년 | 독립문 | 박영효 역 | |
1984년 | 봉선화 | ||
1984년 | 전쟁 6.25 | ||
1984년 | 휴전 6.25 | ||
1985년 | 새벽 | 김삼룡 역 | |
1985년 | 고향 | ||
1985년 | 오성장군 김홍일 | 김홍일 역 | |
1986년 | 길손 | ||
1986년 | 초혼가 | ||
1987년 | 토지 | ||
1989년 | 천명 | ||
1990년 | 잃어버린 섬 | ||
1990년 | 왕조의 세월 | ||
1990년 | 서울뚝배기 | ||
1991년 | 여명의 눈동자 | ||
1992년 | 전원일기 | ||
1993년 | 먼동 | ||
1993년 | 기쁨이면서 슬픔인 채로 | ||
1993년 | 《다큐멘터리 극장》 | 노재현 국방장관 역 | |
1995년 | 제4공화국 | 윤필용 역 | |
1996년 | 프로젝트 | ||
1998년 | 왕과 비 | ||
2000년 | 태조 왕건 | ||
2001년 | 명성황후 | ||
2004년 | 장길산 | ||
2005년 | 제5공화국 | 윤필용 역 | |
2006년 | 《성 김대건》 | ||
2008년 | 《땀의 순교자 탁덕 최양업》 |
2. 2. 영화
연도 | 제목 |
---|---|
1974년 | 국회 푸락치, 잊지 못할 모정 |
1976년 | 위험한 여자, 과거는 왜 물어 |
1978년 | 이한몸 다바쳐 |
1979년 | 학을 그리는 여인 |
1984년 | 사약 |
1989년 | 인간 시장4 - 오! 하나님 |
1991년 | 인간시장 3 |
1994년 | 라이 따이한 |
2005년 | 태풍 |
2006년 | 거룩한 계보 |
2007년 | 디워, 바르게 살자 |
2008년 | 굿모닝 프레지던트 |
2016년 | 종이 비행기 |
2017년 | 특별시민 |
2018년 | 종이비행기 |
3. 연기 외 활동
4. 수상 경력
- 1975년 제11회 백상예술대상 인기상
5. 특이 사항
참조
[1]
뉴스
閔智煥,37년만에 生母상봉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76-03-20
[2]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