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루틴 쿠카냐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루틴 쿠카냐츠는 1992년 3월부터 7월까지 사라예보 포위전의 사령관이었으며, 이 시기 유고 인민군을 이끌고 사라예보를 떠났다. 1992년 5월 3일, 쿠카냐츠는 도브로볼랴츠카 거리에서 유고 인민군 부대를 지휘하던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의 매복 공격을 받았으며, 1992년 5월 7일에는 아르미스카 라트나 코만다 D-0 핵 벙커의 철거를 명령했지만, 이 계획은 방해받았다. 그는 BBC 다큐멘터리 시리즈 '유고슬라비아의 죽음'에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장군 - 라도미르 푸트니크
라도미르 푸트니크는 세르비아의 야전 원수이자 참모총장, 육군 장관을 역임한 군인으로, 발칸 전쟁에서 세르비아군을 이끌고 승리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세르비아군 방어전을 지휘했으나, 패배 후 해임되어 망명지에서 사망했다. - 2002년 사망 - 성혜림
성혜림은 일제강점기 조선 출신으로 배우로 활동하다 김정일과의 관계를 통해 북한 사회에서 주목받았으며, 김정남을 낳았으나 김일성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고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 2002년 사망 -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내며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와 한미 관계의 주요 현안들을 다루었고 동아시아 문제 전문가로서 외교관계협의회 연구소장으로 활동했다. - 1935년 출생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 1935년 출생 - 김석휘
김석휘는 1935년 충북 청주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학교법인 홍익학원 이사로 재직 중이다.
밀루틴 쿠카냐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밀루틴 쿠카냐츠 |
출생일 | 1935년 1월 1일 |
사망일 | 2002년 1월 16일 |
출생지 | 류비슈, 유고슬라비아 왕국 (현재의 세르비아) |
사망지 | 베오그라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현재의 세르비아) |
별칭 | 없음 |
군사 경력 | |
소속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복무 기간 | 1992년까지 |
최종 계급 | 대장 |
군종 | [[File:Logo of the JNA.svg|20px|alt=Yugoslav People's Army]]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File:Seal of the Yugoslav Army (1992–2003).svg|20px|alt=Army of Yugoslavia]] 유고슬라비아군 |
지휘 | 제2 VO |
참전 | |
전투/작전 | 보스니아 전쟁 비셰그라드 작전 사라예보 포위전 1992년 JNA 차량 행렬 매복 |
2. 군 경력
쿠카냐츠는 1992년 3월부터 7월까지 사라예보 포위전의 사령관이었다. 이 시기에 쿠카냐츠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사라예보를 떠났다. 1992년 5월 3일, 쿠카냐츠는 사라예보의 도브로볼랴츠카 거리에서 유고 인민군 부대를 지휘하던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의 매복 공격(1992년 사라예보 유고 인민군 호송대 사건)을 받았다. 이 공격으로 유고 인민군은 무기를 탈취당하고 병사들이 사망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고 인민군 장교들은 6명의 병사만 사망했다고 주장했다.[2] 1992년 5월 7일에는 아르미스카 라트나 코만다 D-0 핵 벙커 철거를 명령했지만, 이 계획은 방해되었다.[3] 그는 BBC 다큐멘터리 시리즈 ''유고슬라비아의 죽음''에 출연했다.
2. 1. 사라예보 포위전
쿠카냐츠는 1992년 3월부터 7월까지 사라예보 포위전 지휘관이었다. 이후 쿠카냐츠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사라예보를 떠났다.[5]1992년 5월 3일, 쿠카냐츠가 지휘한 군대는 후퇴 도중 사라예보의 도브로보랴츠카 거리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의 습격을 받아 6명이 사망했다.[2]
1992년 5월 7일, 아르미스카 라트나 코만다 D-0 핵 벙커 철거를 명령했지만, 이 계획은 방해되었다.[3]
2. 2. 도브로볼랴츠카 거리 사건
1992년 5월 3일, 쿠카냐츠가 지휘하던 유고 인민군 부대는 사라예보의 도브로볼랴츠카 거리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의 기습 공격을 받았다.[5] 이 공격으로 유고 인민군은 다수의 무기를 탈취당하고, 최대 42명의 병사가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2] 유고 인민군 장교들은 6명의 병사만 사망했다고 주장했지만, 정확한 사망자 수는 확인되지 않았다.[2]이 사건은 사라예보 포위전 기간 중 발생했으며, 유고 인민군과 보스니아 정부 간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을 세르비아계의 군사적 도발 및 민간인 학살 시도로 규정하고, 쿠카냐츠를 포함한 관련자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였다.
2. 3. 핵 벙커 철거 시도
쿠카냐츠는 1992년 5월 7일 아르미스카 라트나 코만다 D-0 핵 벙커 철거를 명령했으나, 이 계획은 실패했다.[3]3. 유고슬라비아의 죽음 출연
참조
[1]
웹사이트
Milutin Kukanjac (1935-2002)
http://www.vojska.ne[...]
[2]
웹사이트
Sarajevo ogorčeno zbog Divjaka
http://www.b92.net/i[...]
B92
2011-03-05
[3]
웹사이트
Šerif spasao Titovo sklonište
https://www.danas.rs[...]
2010-12-06
[4]
웹사이트
Milutin Kukanjac (1935-2002)
http://www.vojska.ne[...]
[5]
웹인용
Sarajevo ogorčeno zbog Divjaka
http://www.b92.net/i[...]
B92
2011-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