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캠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캠프는 팀 오라일리가 주최하는 초청 기반 콘퍼런스인 푸 캠프에서 파생된,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가는 콘퍼런스이다. 2005년 8월 팰러앨토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이후 전 세계 350여 개 도시에서 열렸다. 바캠프는 오픈 스페이스 기술을 활용하여, 참가자들이 세션을 제안하고 스케줄을 구성하며, 웹 2.0 도구를 통해 조직 및 홍보가 이루어진다. 바캠프는 푸 캠프의 조직 방식을 공개하여, 사용자 주도 컨퍼런스의 모델이 되었으며, 부동산 업계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바캠프 | |
---|---|
개요 | |
유형 | 사용자 생성 컨퍼런스 |
초점 | 웹 기술 |
라이선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
웹사이트 | barcamp.org |
상세 정보 | |
설명 | 바캠프(BarCamp)는 참가자들이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생성 컨퍼런스 네트워크이다. |
형식 | 바캠프는 웹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언컨퍼런스(unconference) 형식을 취한다. 참가자들은 행사 당일 자신이 발표하거나 토론하고 싶은 주제를 제안하고, 현장에서 투표를 통해 발표 일정을 정한다. |
특징 | 바캠프는 참가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중시한다. 발표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질문이나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다. 바캠프는 지식 공유와 네트워킹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
역사 | 첫 번째 바캠프는 2005년 8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서 개최되었다. 바캠프는 빠르게 전 세계로 확산되어 현재는 다양한 국가에서 개최되고 있다. |
참여 방법 | 바캠프 참가를 위해서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등록해야 한다. 참가자들은 자신이 발표하거나 토론하고 싶은 주제를 제안할 수 있다. 바캠프는 참가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환영한다. |
기타 | 바캠프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를 따르며, 참가자들은 자신의 발표 내용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다. 바캠프는 기업이나 단체의 후원을 받기도 하지만, 운영은 참가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진다. |
2. 역사
바캠프는 팀 오라일리가 주최하는 초청 기반 콘퍼런스인 푸 캠프에서 갈라져 나왔다. 해커들이 사용하는 속어인 푸바에 빗대어 푸 캠프에 대응하는 "바캠프"라는 단어가 생겨났다.[1][17]
최초의 바캠프는 2005년 8월 19일부터 21일까지 팰러앨토의 소셜텍스트 사 사업장에서 열렸으며, 이벤트는 1주일 만에 계획 및 조직되었는데, 200여 명의 참가자가 참여했다.[32][2][18] 탄테크 첼릭, 크리스 메시나, 매튜 멀렌웨그, 앤디 스미스, 라이언 킹, 그리고 에리스 스타시가 바캠프의 창립자로 묘사되어 있다.[3][4]
thumb
이후 바캠프는 미주, 아프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등 전 세계 350여 개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다.[5] 참가자들은 바캠프에 참석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았다.[6] 바캠프의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006년 8월 25일부터 27일까지 BarCampEarth영어가 열렸었다.[7][19] 와이어드는 2007년 8월 18-19일에 팔로 알토에서 열린 2주년 기념행사 바캠프블록(BarCampBlock)을 "바캠프 괴짜들이 조직된 혼돈의 2주년을 기념하다"라고 묘사했다.[8][9][20]
2013년 1월,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된 바캠프가 미얀마 양곤에서 열렸으며, 6,400명의 참석자와 정부가 제공한 무료 인터넷이 제공되었다.[10] 2012년에는 아웅 산 수 치가 양곤 바캠프에서 연설을 하기도 했다.
2009년 6월 28일에는 인도의 심라에서 최초의 바캠프 '''Voice of Himachal initiative'''가 개최되었으며,[21] 이는 히마찰프라데시 주의 젊은 기업가들의 모임이다.
2. 1. 기원
바캠프는 팀 오라일리가 주최하는 콘퍼런스인 푸 캠프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다. 오픈소스 출판업계의 권위자 팀 오라일리가 주최하는 푸 캠프 콘퍼런스는 1년마다 열리는 콘퍼런스였는데, 초대가 있어야 입장이 가능한 콘퍼런스였다. 해커들이 속어로 쓰는 말인 푸바에 빗대, 푸 캠프에 대응되는 단어로서 "바캠프"라는 단어가 생겨났다.[1][17]최초의 바캠프는 2005년 8월 19일부터 21일까지 팰러앨토에서 열렸다. 엔터프라이즈 소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회사인 소셜텍스트 사의 사업장 내에서 열렸다. 이벤트의 개념이 나오자, 오래 걸리지도 않고 1주일만에 계획/조직되었었는데,[32][2][18] 200여 명의 참가자가 참여를 했다. 탄테크 첼릭 외에도, 크리스 메시나, 매튜 멀렌웨그, 앤디 스미스, 라이언 킹, 그리고 에리스 스타시가 바캠프의 창립자로 묘사되어 있다.[3][4] 이후로, 바캠프는, 미주, 아프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 전 세계 30여 개의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다.[5] 참가자들은 바캠프에 참석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았다.[6] 바캠프의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006년 8월 25일부터 27일까지, BarCampEarth영어가 열렸었다.[7][19] ''와이어드''는 두 번째 기념 행사 바캠프블록(BarCampBlock, 팰러앨토, 2007년 8월 18–19일)을 "바캠프 괴짜들이 조직된 혼돈의 2주년을 기념하다"라고 묘사했다.[8][9][20] 2009년 6월 28일에는 인도의 심라에서 최초의 바캠프 '''Voice of Himachal initiative'''가 개최되었다.[21]

2. 2. 국제적 확산
바캠프는 팀 오라일리가 주최하는 초청 기반 콘퍼런스인 푸 캠프에서 갈라져 나왔다. 해커들이 사용하는 속어인 푸바에 빗대어 푸 캠프에 대응하는 "바캠프"라는 단어가 생겨났다.[1]최초의 바캠프는 2005년 8월 19일부터 21일까지 팰러앨토의 소셜텍스트 사 사업장에서 열렸으며, 이벤트는 1주일 만에 계획 및 조직되었는데, 200여 명의 참가자가 참여했다.[32][18] 탄테크 첼릭, 크리스 메시나, 매튜 멀렌웨그, 앤디 스미스, 라이언 킹, 그리고 에리스 스타시가 바캠프의 창립자로 묘사되어 있다.[3][4]
thumb
이후 바캠프는 미주, 아프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등 전 세계 350여 개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다.[5] 바캠프의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006년 8월 25일부터 27일까지 BarCampEarth영어가 열렸었다.[7] 와이어드는 2007년 8월 18-19일에 팔로 알토에서 열린 2주년 기념행사 바캠프블록(BarCampBlock)을 "바캠프 괴짜들이 조직된 혼돈의 2주년을 기념하다"라고 묘사했다.[8][9]
2013년 1월,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된 바캠프가 미얀마 양곤에서 열렸으며, 6,400명의 참석자와 정부가 제공한 무료 인터넷이 제공되었다.[10] 2012년에는 아웅 산 수 치가 양곤 바캠프에서 연설을 하기도 했다.
2009년 6월 28일에는 인도의 심라에서 최초의 바캠프 '''Voice of Himachal initiative'''가 개최되었으며,[21] 이는 히마찰프라데시 주의 젊은 기업가들의 모임이다.
2. 3. 한국의 바캠프
바캠프는 팀 오라일리가 주최하는 콘퍼런스인 푸 캠프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다. 오픈소스 출판업계의 권위자 팀 오라일리가 주최하는 푸 캠프 콘퍼런스는 1년마다 열리는 콘퍼런스였는데, 초대가 있어야 입장이 가능한 콘퍼런스였다. 해커들이 속어로 쓰는 말인 푸바에 빗대, 푸 캠프에 대응되는 단어로서 "바캠프"라는 단어가 생겨났다.[32]최초의 바캠프는 2005년 8월 19일부터 21일까지 팰러앨토에서 열렸다. 엔터프라이즈 소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회사인 소셜텍스트 사의 사업장 내에서 열렸다. 이벤트의 개념이 나오자, 오래 걸리지도 않고 1주일만에 계획/조직되었었는데, 200여 명의 참가자가 참여를 했다.[32] 이후로, 바캠프는, 미주, 아프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 전 세계 30여 개의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다. 바캠프의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006년 8월 25일부터 27일까지, BarCampEarth/BarCampEarth영어가 열렸었다.[32]
3. 구조 및 참여 프로세스
바캠프는 주로 웹상에서 조직되고 홍보되며, 이른바 웹 2.0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다.[14][27] 누구나 [http://www.barcamp.org/ 바캠프 위키]를 사용하여 바캠프를 시작할 수 있다.[14][27]
행사의 얼개는 각 날마다 참가자들이 제안하고 스케줄한 세션들로 구성된다. 세션은 대부분 현장에서 열리며, 화이트 보드나 벽에 붙은 종이를 이용하게 된다.[11][12] 이 방법은 플레이 온 워드즈라는 [http://www.socialtext.net/web2open/index.cgi?the_open_grid 오픈 그리드] 접근법을 모방한 것이다.[28] 1세션은 15~30분 정도로, 가능한 많은 주제를 소개할 수 있도록 운영되는 곳에도 특징이 있다.
조직은 느슨하게 이루어지지만, 바캠프에는 몇 가지 규칙이 있다.[15][29] 모든 참가자들은 세션 하나 이상을 주최하거나 진행해야 한다.[12] 혹은 다른 방식으로 행사에 기여하도록 권장된다. 세션을 진행하는 사람들은 세션을 홍보에 사용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13] 모든 이들은 바캠프 행사로부터 얻은 경험과 정보를, 행사 후나 현장에서 공유해야 한다.[12] 블로그, 사진 공유, 소셜 북마킹, 위키, IRC 등을 포함하는 공개된 웹 채널을 통해서 공유할 수 있다.[15][29] 이러한 공유 권장은 초청 기반 참여자 주도 컨퍼런스의 "익명 보도"와 "녹음 금지" 규칙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실제 대면 행사를 '하이브리드 이벤트'로 전환하여 바캠프 참여자와의 원격 온라인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바캠프는 오픈 스페이스 기술 (OST)을 단순화한 것이며, OST의 풀뿌리적 성격을 계승하고 있다. 일반적인 컨퍼런스와 달리 바캠프나 OST는 참가자의 열정과 책임감에 의존하며, 참가자가 컨퍼런스를 주도한다.
3. 1. 오픈 그리드 방식
바캠프 행사의 얼개는 각 날마다 참가자들이 제안하고 스케줄한 세션들로 구성된다.[11] 세션은 대부분 현장에서 열리며, 화이트 보드나 벽에 붙은 종이를 이용해 공지된다.[12] 이 방법은 플레이 온 워드즈라는 [http://www.socialtext.net/web2open/index.cgi?the_open_grid 오픈 그리드] 접근법을 모방한 것이다.[28] 1세션은 15~30분 정도로, 가능한 많은 주제를 소개할 수 있도록 운영되는 곳에도 특징이 있다.푸 캠프(Foo Camp)도 바캠프도 오픈 스페이스 기술 (OST)을 단순화한 것이며, OST의 풀뿌리적 성격을 계승하고 있다. 일반적인 컨퍼런스와 달리 바캠프나 OST는 참가자의 열정과 책임감에 의존하며, 참가자가 컨퍼런스를 주도한다.
3. 2. 느슨한 규칙
많은 부분에서 바캠프 행사는 웹을 통해 조직되고, 행사 참여 안내가 전파된다. 웹 2.0 의사소통 툴킷을 통해서이다.[14][27] 누구나 [http://www.barcamp.org/ 바캠프 위키]를 통해 바캠프 행사를 시작시킬 수 있다.[14][27]행사의 얼개는 각 날마다 참가자들이 제안하고 스케줄한 세션들로 구성된다. 세션은 대부분 현장에서 열리며, 화이트 보드나 벽에 붙은 종이를 이용하게 된다.[11][12] 이 방법은 플레이 온 워드즈라는 [http://www.socialtext.net/web2open/index.cgi?the_open_grid 오픈 그리드] 접근법을 모방한 것이다.[28]
조직은 느슨하게 이루어지지만, 바캠프에는 몇 가지 규칙이 있다.[15][29] 모든 참가자들은 세션 하나 이상을 주최하거나 진행해야 한다.[12] 혹은 다른 방식으로 행사에 기여하도록 권장된다. 세션을 진행하는 사람들은 세션을 홍보에 사용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13] 모든 이들은 바캠프 행사로부터 얻은 경험과 정보를, 행사 후나 현장에서 공유해야 한다.[12] 블로그, 사진 공유, 소셜 북마킹, 위키, IRC 등을 포함하는 공개된 웹 채널을 통해서 공유할 수 있다.[15][29] 이러한 공유 권장은 초청 기반 참여자 주도 컨퍼런스의 "익명 보도"와 "녹음 금지" 규칙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실제 대면 행사를 '하이브리드 이벤트'로 전환하여 바캠프 참여자와의 원격 온라인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바캠프는 오픈 스페이스 기술 (OST)을 단순화한 것이며, OST의 풀뿌리적 성격을 계승하고 있다. 일반적인 컨퍼런스와 달리 바캠프나 OST는 참가자의 열정과 책임감에 의존하며, 참가자가 컨퍼런스를 주도한다.
3. 3. 웹 2.0 도구 활용
바캠프는 주로 웹상에서 조직되고 홍보되며, 웹 2.0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다.[14][27] 누구나 [http://www.barcamp.org/ 바캠프 위키]를 통해 바캠프 행사를 시작할 수 있다.[14]바캠프의 각 날마다 참가자들이 세션을 제안하고 스케줄을 정하며, 세션은 대부분 현장에서 열린다.[28] 세션 공지는 화이트 보드나 벽에 붙은 종이를 이용한다. 이 방법은 플레이 온 워드즈라는 [http://www.socialtext.net/web2open/index.cgi?the_open_grid 오픈 그리드] 접근법을 모방한 것이다.[28]
바캠프는 느슨하게 조직되지만, 몇 가지 규칙이 있다.[15][29] 모든 참가자들은 세션 하나 이상을 주최하거나 진행하여야 하며,[12] 바캠프 행사로부터 얻은 경험과 정보를 행사 후나 현장에서 공유해야 한다.[12] 정보 공유는 블로그, 사진 공유, 소셜 북마킹, 위키, IRC 등을 포함하는 공개된 웹 채널을 통해서 이루어진다.[12] 이러한 규칙은 "오프 더 레코드", "기록 금지"가 기본인, 초대가 있어야 참여할 수 있는 사설 콘퍼런스들과는 의도적으로 대비된다.
4. 주최와 참가
바캠프가 열리는 장소에서는 기본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무료 네트워크 접속 – 보통 와이파이 – 가 제공되는 것이 결정적이다. 푸 캠프의 모델을 따라서, 참가자들(바캠퍼라고 불린다.)이 철야를 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된다. 장소와 네트워크, 식음료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스폰서십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결정적이다.
일반적으로, 참가 자체는 무료이나, 장소가 비좁은 경우 참가자 수의 제한을 두기도 한다. 그러므로, 보통, 참가자들은 미리 등록을 해야 한다.
행사장은 참석자, 즉 바캠퍼들이 밤샘하며 말 그대로 캠핑할 공간을 마련하기도 한다. 따라서, 바캠프는 행사장과 네트워크 접속부터 음료와 음식까지, 후원자 (상업)의 후원을 확보하는 데 의존한다.
개최 장소는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곳을 선택한다. 무료 네트워크 접속(와이파이)이 중요하다. 이러한 장소와 식량, 음료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바캠프 개최는 스폰서 확보가 중요해진다.
참가자에게 요금을 징수하지 않으므로, 참가자 수는 장소의 넓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참가자는 사전에 참가 의사를 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 1. 필수 요소
바캠프가 열리는 장소에서는 기본적인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무료 네트워크 접속 – 보통 와이파이 – 가 제공되는 것이 결정적이다. 참가자들이 철야를 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된다. 장소와 네트워크, 식음료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스폰서십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결정적이다.일반적으로, 참가 자체는 무료이나, 장소가 비좁은 경우 참가자 수의 제한을 두기도 한다. 그러므로, 보통, 참가자들은 미리 등록을 해야 한다.
4. 2. 스폰서십
바캠프가 열리는 장소에서는 기본적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무료 네트워크(대개 와이파이) 접속 제공은 필수적이다. 푸 캠프의 모델을 따라서, 참가자(바캠퍼)들이 밤샘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되기도 한다. 바캠프는 행사장, 네트워크 접속, 식음료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후원자의 스폰서십 확보가 중요하다.참가 자체는 무료이나, 장소가 협소할 경우 참가자 수에 제한을 두기도 한다. 따라서 참가자들은 미리 등록하는 것이 권장된다.
5. 영향
바캠프는 푸 캠프의 조직 및 준비 프로세스를 "오픈 소싱"(open-sourcing)하여, 다시 말해 조직 및 준비 프로세스를 위키화해 모두에게 공개함으로써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22][23][24][25] 처음 이벤트들이 근원한 "바캠프"란 브랜드를 단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바캠프는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나가는 콘퍼런스(user generated conferences)들의 모델이 되었다. 탠텍 셀릭이나 로스 메이필드 같은 웹 개발자 커뮤니티들 내의 핵심 인물들이 관여한 것이 결정적인 확산 배경이 되었다. 미국에서는 부동산 업계가 바캠프 방식을 채택하여 30개 이상의 RE Barcamp (RE = Real Estate)를 개최하고, 그 형식을 해외로 확산시키려 하고 있다.[26]
5. 1. 오픈 소스 방식의 확산
바캠프는 푸 캠프의 조직 및 준비 프로세스를 "오픈 소싱"(open-sourcing)하여, 다시 말해 조직 및 준비 프로세스를 위키화해 모두에게 공개함으로써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22][23][24][25] 처음 이벤트들이 근원한 "바캠프"란 브랜드를 단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바캠프는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나가는 콘퍼런스(user generated conferences)들의 모델이 되었다. 탠텍 셀릭(Tantek Çelik)이나 로스 메이필드 같은 웹 개발자 커뮤니티들 내의 핵심 인물들이 관여한 것이 결정적인 확산 배경이 되었다. 미국에서는 부동산 업계가 바캠프 방식을 채택하여 30개 이상의 RE Barcamp (RE = Real Estate)를 개최하고, 그 형식을 해외로 확산시키려 하고 있다.[26]5. 2. 한국 사회에의 기여
바캠프는 푸 캠프의 조직 및 준비 프로세스를 "오픈 소싱", 다시 말해 위키화하여 모두에게 공개함으로써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바캠프는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나가는 콘퍼런스(user generated conferences)들의 모델이 되었으며, [http://wordcamp.org/ 워드캠프], [http://podcamp.pbwiki.com/ 팟캠프], [http://www.seattlemind.com/ 시애틀 마인드 캠프] 등이 그 예이다. 탠텍 셀릭이나 로스 메이필드 같은 웹 개발자 커뮤니티들 내의 핵심 인물들이 관여한 것이 결정적인 확산 배경이 되었다.6. 역사적 선례
자체적으로 조직되는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나가는 콘퍼런스의 개념은 유럽에서 활발했던 해커들의 미팅과 관련이 있다. 특히 90년대무정부주의, 자치주의와 관련이 있던 사람들 말이다.[30] 미팅을 조직하기 위한 바캠프의 진행 얼개는 오픈 스페이스 테크놀로지의 것과 비슷하다. IETF 미팅의 BoF 세션들도 영감을 주었을 것으로 추측된다.[16] 하지만, 바캠프는 정치적인 동기가 결여되어 있으며, 오히려 메인스트림 ICT(정보통신/컴퓨터) 업계와 꽤 관련이 있다. 종종, 이 업계의 메이저 회사들로부터 제공된 상당한 스폰서십을 받기도 한다.
바캠프는 푸 캠프의 구조를 기반으로 했지만 모든 사람에게 참여가 열려있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ar Camp
https://laughingsqui[...]
2023-12-15
[2]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idea of BarCamp
http://www.tantek.co[...]
2023-12-15
[3]
웹사이트
BarCamp Founders
http://barcamp.org/w[...]
BarCamp
2023-12-16
[4]
웹사이트
Still struggling with collaboration in your organization? Do a Barcamp!
https://www.linkedin[...]
2023-12-16
[5]
웹사이트
BarCamp Central Asia 2011 starts in Kyrgyzstan
https://web.archive.[...]
AKIpress News Agency
2011-09-09
[6]
웹사이트
AUCA to host BarCamp Central Asia 2008 on August 1-3
https://web.archive.[...]
AKIpress News Agency
2008-06-23
[7]
웹사이트
This one time, at BarCamp
https://www.itbusine[...]
IT Business CA
2023-12-16
[8]
웹사이트
BarCamp News archive
http://www.barcamp.o[...]
2009-12-02
[9]
웹사이트
BarCamp Geeks Celebrate Two Years of Organized Chaos
https://www.wired.co[...]
Wired Magazine
2023-12-16
[10]
웹사이트
The World’s Largest Barcamp is in Myanmar
https://www.techinas[...]
TechInAsia
2023-12-16
[11]
웹사이트
Raising the BarCamp: international reflections
https://mededpublish[...]
MedEdPublish
2023-12-15
[12]
뉴스
Tuning in at the Unconference
https://web.archive.[...]
2007-04-27
[13]
뉴스
A gathering of the geeks
https://web.archive.[...]
2007-09-11
[14]
문서
Barcamp.org
http://www.barcamp.o[...]
[15]
문서
Barcamp.org
http://www.barcamp.o[...]
[16]
문서
BarCamp Mail Archive
http://groups.google[...]
[17]
문서
オライリーの『フー・キャンプ』に対抗する『バー・キャンプ』
http://wired.jp/wv/a[...]
WIRED.jp
2005-08-24
[18]
문서
Remembering the idea of BarCamp
http://www.tantek.co[...]
Tantek's Thoughts
2006-07-10
[19]
문서
BarCampEarth
http://barcamp.org/B[...]
[20]
문서
BarCampBlock
http://barcamp.org/B[...]
[21]
문서
HimVani
http://www.himvani.c[...]
[22]
문서
WordCamp
http://wordcamp.org/
[23]
문서
PodCamp
http://podcamp.pbwik[...]
[24]
문서
Seattle Mind Camp
http://www.seattlemi[...]
[25]
문서
THATcamp
http://thatcamp.org
[26]
문서
REBarCamp
http://www.rebarcamp[...]
[27]
문서
BarCamp wiki
http://www.barcamp.o[...]
[28]
문서
The Open Grid
http://www.socialtex[...]
[29]
문서
TheRulesOfBarCamp
http://www.barcamp.o[...]
[30]
문서
T.A.Z. The Temporary Autonomous Zone, Ontological Anarchy, Poetic Terrorism
http://www.netarts.o[...]
[31]
웹인용
BarCampSeoul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s://web.archive.[...]
2007-11-10
[32]
문서
organized in less than one week
http://www.tantek.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