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라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라연은 1951년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태어난 시인이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수원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원광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가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 「생밤 까주는 사람」, 「우주 돌아가셨다」 등이 있다. 2008년 윤동주문학상, 2010년 혜산 박두진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의 시는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를 다루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성군 출신 - 박주선
    박주선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대통령비서실 법무비서관을 거쳐 국회의원, 국회 부의장, 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한석유협회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 보성군 출신 - 이용훈 (법조인)
    이용훈은 1962년 사법고시에 합격하여 판사로 법관 생활을 시작, 대법관,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거쳐 대법원장에 임명되었으며, 민법의 대가로 불리며 소신 있는 판결과 사법 개혁을 위해 노력했다.
  • 수원대학교 동문 - 이민지 (1988년)
    대한민국의 배우 이민지(1988년)는 수원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후 다양한 영화, 드라마, 뮤직비디오에 출연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아 《꿈의 제인》으로 부산국제영화제 올해의 배우상과 들꽃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수원대학교 동문 - 곽범
    곽범은 2012년 KBS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개그콘서트에서 활약하며 유행어를 만들고 인지도를 쌓았으며, 현재는 유튜브 채널 '빵송국' 운영 및 다양한 예능, 영화, 드라마, 공연 출연과 2022년 KBS 연예대상 베스트 아이콘상 수상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개그맨이자 배우이다.
  • 원광대학교 동문 - 한병도
    한병도는 원광대학교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제17·21·22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열린우리당과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 당선 및 대통령비서실, 이라크 특임 외교특별보좌관, 더불어민주당 주요 당직을 역임했다.
  • 원광대학교 동문 - 현병철
    현병철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대학교수로서,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인권 보호에 노력했으나 정권의 눈치를 본다는 비판도 받은 인물이다.
박라연
시인 정보
이름박라연
출생일1951년 9월 26일
출생지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
국적대한민국
학력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사)
수원대학교(석사)
원광대학교(박사)
등단 시기1990년
등단작《서울에 사는 평강공주》
수상제17회 영랑시문학상
제42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문학부문
제5회 박두진 문학상
제3회 윤동주상 문학부문 대상
웹사이트문학과지성사

2. 생애

1951년 대한민국 보성군에서 태어났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였고, 수원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원광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 시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등단하였다.[1] 1991년 발표한 동명의 첫 시집은 서정성과 섬세함으로 비평가와 독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2]

이후 1993년 「서정의 추」, 「생밤 까주는 사람」, 1995년 「춤추는 남자 시쓰는 여자」, 1996년 「너에게 세들어 사는 동안」, 2000년 「공중 속의 내 정원」, 2006년 「우주 돌아가셨다」, 2009년 「빛의 사서함」, 2012년 「노랑나비로 번지는 오후」 등의 시집을 출간했다.[3] 2008년 제3회 윤동주문학상, 2010년 제5회 혜산 박두진 문학상을 수상했다.[4]

3. 작품 활동

박라연의 시는 가난, 고독, 슬픔, 고통, 이별 등을 반복적으로 다루지만, 밝고 희망찬 어조와 동정심이 넘치는 것이 특징이다. 문학평론가 오생근은 "그녀의 시는 풍부한 눈물과 슬픔을 바탕으로 하지만, 비극적이거나 애처롭기보다는 아름답고 건강한 생명력을 위한 비옥한 토양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5] 박라연의 시에서 고통은 언제나 희망으로 이어지며, 상처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사랑을 찾는 화자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감정이나 생각을 과장하지 않고 간결하고 자연스러운 언어를 사용하며, 신성한 힘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삶과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또한 상처 입고 죽은 자들에게 생명을 되돌려주고자 하는 거의 모성적인 본능을 담고 있다.[6] 시인 신경림은 2012년 시집 『노랑나비로 번지는 오후』에 대해 "박라연의 작품은 전통 한국 서정시의 친숙한 감성과 새로운 것을 갈망하는 모더니즘적 열정을 결합하고 있다"고 평했다.[7]

3. 1. 주요 작품

박라연 시인은 문학과지성사에서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1991)를 출간한 이후, 『서정의 추』, 『생밤 까주는 사람』, 『춤추는 남자 시쓰는 여자』, 『너에게 세들어 사는 동안』, 『공중 속의 내 정원』, 『우주 돌아가셨다』, 『빛의 사서함』, 『노랑나비로 번지는 오후』 등 여러 시집을 발표했다.

3. 1. 1. 시집

번호제목출판사출판 연도
1서울에 사는 평강공주문학과지성사1991년
2서정의 추신생1993년
3생밤 까주는 사람문학과지성사1993년
4춤추는 남자 시쓰는 여자고려원1995년
5너에게 세들어 사는 동안문학과지성사1996년
6공중 속의 내 정원문학과지성사2000년
7우주 돌아가셨다랜덤하우스코리아2006년
8빛의 사서함문학과지성사2009년
9노랑나비로 번지는 오후서정시학2012년


4. 작품 세계

박라연의 시는 가난, 고독, 슬픔, 고통, 이별 등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를 주로 다루면서도, 절망에 빠지지 않고 희망을 잃지 않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문학평론가 오생근은 "그녀의 시는 풍부한 눈물과 슬픔을 바탕으로 하지만, 비극적이거나 애처롭기보다는 아름답고 건강한 생명력을 위한 비옥한 토양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5] 박라연의 시에서 고통은 언제나 희망으로 이어지며, 화자들은 상처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사랑을 찾는다. 감정이나 생각을 과장하지 않고, 간결하고 자연스러운 언어를 사용한다. 신성한 힘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삶과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며, 상처 입고 죽은 자들에게 생명을 되돌려주고자 하는 거의 모성적인 본능을 담고 있다.[6] 시인 신경림은 2012년 시집 《노랑나비로 번지는 오후》(Norangnabiro beonjineun ohu영어)에 대해 “박라연의 작품은 전통 한국 서정시의 친숙한 감성과 새로운 것을 갈망하는 모더니즘적 열정을 결합하고 있다”고 평했다.[7]

5. 수상

연도상 이름
2008년제3회 윤동주 문학상
2010년제5회 혜산 박두진 문학상


참조

[1] 웹사이트 박라연 {{!}} 문학과지성사 http://moonji.com/bo[...] 2017-09-09
[2] 뉴스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 http://terms.naver.c[...] 2017-09-09
[3] 뉴스 박라연 http://terms.naver.c[...] 2017-09-09
[4] 웹사이트 [시 읽는 시간] 집밥 한 끼 http://www.ohmynews.[...] 2016-03-28
[5] 서적 빛의 사서함 Moonji
[6] 웹사이트 빛의 사서함 {{!}} 문학과지성사 http://moonji.com/bo[...] 2017-09-09
[7] 서적 노랑나비가 번지는 오후 Lyric Poetry and Poetics
[8] 웹인용 박라연 {{!}} 문학과지성사 http://moonji.com/bo[...] 2017-09-09
[9] 웹인용 [시 읽는 시간] 집밥 한 끼 http://www.ohmynews.[...] 2016-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