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영석은 대한민국의 산악인으로, 2005년 북극점에 도달하여 세계 최초로 탐험가 그랜드슬램을 달성,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또한 한국 최초이자 세계 8번째로 히말라야 8000미터 이상 봉우리 14좌를 완등했다. 1993년 에베레스트 등반을 시작으로 7대륙 최고봉과 남극점, 북극점을 모두 정복했으며, 2006년에는 에베레스트 남북 횡단에도 성공했다. 2011년 안나푸르나 남벽 등반 중 실종되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박영석 산악문화센터가 건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말라야산맥에서 죽은 사람 - 예지 쿠쿠츠카
예지 쿠쿠츠카는 1987년 세계 두 번째로 14좌를 완등하고 10개의 새로운 루트를 개척했으며 4번의 동계 등반을 성공했으나, 1989년 로체 남벽 등반 중 사망했다. - 히말라야산맥에서 죽은 사람 - 김홍빈 (산악인)
김홍빈은 2006년부터 2021년까지 14개의 8,000미터급 봉우리를 등정한 대한민국의 산악인이며, 광주광역시 빛고을 홍보대사와 전라남도교육청 전남교육 명예대사로도 활동했다. - 극지 탐험가 - 롭 곤틀릿
영국의 모험가이자 등반가인 롭 곤틀릿은 에베레스트 최연소 영국인 등정 기록을 세웠고, 북극에서 남극까지 탐험으로 내셔널 지오그래픽 '올해의 모험가'로 선정되었으나, 알프스에서 빙벽 등반 중 사망했으며, 그의 활동은 기금 마련과 연계되었다. - 극지 탐험가 - 한스 에게데
한스 에게데는 노르웨이 출신의 루터교 선교사로, 그린란드 선교를 위해 덴마크-노르웨이의 지원을 받아 그린란드에 정착지를 건설하고 이누이트의 언어를 연구했으며, 그린란드 주교로 임명되어 선교 활동을 펼치다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탐험가 - 강동석 (탐험가)
강동석은 단독 태평양 요트 횡단과 세계일주를 완수한 대한민국의 탐험가로, 히말라야 등반 및 북극 탐험에도 참여했으며 명예해군, 신한국인상, 명예선장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탐험가 - 김현국
김현국은 유라시아 대륙 횡단 탐험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하고 현대 캐스퍼로 유라시아 대륙을 단독 횡단하는 등 유라시아 지역을 탐험 및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탐험가이자 세계탐험문화연구소 이사장이며, 유라시아 문화 교류에도 기여하고 있다.
| 박영석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박영석 |
| 로마자 표기 | Bak Yeongseok |
| 한글 | 박영석 |
| 한자 | 朴英碩 |
| 출생일 | 1963년 11월 2일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 사망일 | 2011년 10월 18일 |
| 사망지 | 네팔 안나푸르나 |
| 직업 | 산악인 |
| 알려진 업적 | 세계 최초로 진정한 탐험가 그랜드슬램 달성 |
| 배우자 | 홍경희 |
| 자녀 | 슬하 2남 |
| 학력 |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 석사 |
| 종교 | 불교 |
| 활동 기간 | 1992년 ~ 2011년 |
| 활동 분야 | 등산 |
| 활동 지역 | 산 |
| 한국어 이름 | |
| 한글 | 박영석 |
| 한자 | 朴英碩 |
| 로마자 표기 | Bak Yeongseok |
| 문화어 표기 | 박영석 |
| 관련 정보 | |
| 탐험가 그랜드슬램 | 세계 최초 달성 |
2. 생애
2005년 5월 1일(한국 시간 기준, 현지 시간 4월 30일)에 북극점에 도달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탐험가 그랜드슬램(Explorers Grand Slam)을 달성하여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또한 한국인 최초이자 세계에서 8번째로 히말라야 8000미터 이상의 봉우리 14좌를 완등한 산악인이기도 하며, 이는 세계 최단기간 기록이다.[12]
박영석은 세계 최초로 탐험가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으며, 한국인 최초이자 세계 최단 기간 히말라야 8000m 이상 고봉 14좌를 완등하는 등[12] 산악 및 탐험 분야에서 중요한 기록을 남겼다.
2011년 10월 18일 오후 4시경,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남벽 등반 중 실종되었다.[13] 함께 등반하던 신동민, 강기석 대원 2명과 함께 연락이 두절되었으며, 이후 대한산악연맹을 중심으로 두 차례 구조대가 파견되었으나 어떠한 흔적도 찾지 못했다.[14]
3. 주요 등반 및 탐험 기록
2011년 10월 18일 오후 4시경,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남벽 등반 중 실종되었다.[13] 당시 함께 등반하던 강기석, 신동민 대원과 함께 연락이 두절되었으며, 이후 대한산악연맹 주도로 두 차례 구조대가 파견되었으나 끝내 아무런 흔적도 찾지 못했다.[14]
3. 1. 7대륙 최고봉 및 3극점
2005년 4월 30일 (한국 시간 기준 5월 1일) 북극점에 도달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탐험가 그랜드슬램(Explorers Grand Slam)을 달성하여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또한 한국인 최초이자 세계에서 8번째로 히말라야 8000m 이상 고봉 14좌를 세계 최단기간에 완등한 기록도 가지고 있다.[12]
| 순서 | 봉우리 이름 | 고도 (m) | 정상 등정일 |
|---|---|---|---|
| 1 | 에베레스트 | 8,848 | 1993년 5월 16일 |
| 2 | K2 | 8,611 | 2001년 7월 22일 |
| 3 | 칸첸중가 | 8,586 | 1999년 5월 12일 |
| 4 | 롯체 | 8,516 | 2001년 4월 29일 |
| 5 | 마칼루 | 8,463 | 2000년 5월 15일 |
| 6 | 초오유 | 8,201 | 1997년 9월 27일 |
| 7 | 다울라기리 | 8,167 | 1997년 4월 27일 |
| 8 | 마나슬루 | 8,163 | 1998년 12월 6일 |
| 9 | 낭가파르밧 | 8,125 | 1998년 7월 21일 |
| 10 | 안나푸르나 | 8,091 | 1996년 5월 4일 |
| 11 | 가셔브룸 1봉 | 8,068 | 1997년 7월 9일 |
| 12 | 브로드 피크 | 8,047 | 2000년 7월 30일 |
| 13 | 가셔브룸 2봉 | 8,035 | 1997년 7월 19일 |
| 14 | 시샤팡마 | 8,027 | 2000년 10월 2일 |
| 15 | 아콩카구아 | 6,959 | 2002년 1월 11일 |
| 16 | 데날리 | 6,195 | 1994년 6월 2일 |
| 17 | 킬리만자로 | 5,895 | 1997년 2월 17일 |
| 18 | 엘브루스 | 5,642 | 2002년 7월 7일 |
| 19 | 빈슨 매시프 | 4,897 | 2002년 11월 25일 |
| 20 | 카르스텐스 피라미드 | 4,884 | 2002년 5월 11일 |
| 21 | 코시어스코 | 2,280 | 2001년 9월 21일 |
| 22 | 남극점 | 2,835 | 2004년 |
| 23 | 북극점 | 해수면 | 2005년 4월 30일 |
| 24 | 에베레스트 남북 횡단 | 8,848 | 2006년 5월 1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