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영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영석은 대한민국의 산악인으로, 2005년 북극점에 도달하여 세계 최초로 탐험가 그랜드슬램을 달성,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또한 한국 최초이자 세계 8번째로 히말라야 8000미터 이상 봉우리 14좌를 완등했다. 1993년 에베레스트 등반을 시작으로 7대륙 최고봉과 남극점, 북극점을 모두 정복했으며, 2006년에는 에베레스트 남북 횡단에도 성공했다. 2011년 안나푸르나 남벽 등반 중 실종되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박영석 산악문화센터가 건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말라야산맥에서 죽은 사람 - 예지 쿠쿠츠카
    예지 쿠쿠츠카는 1987년 세계 두 번째로 14좌를 완등하고 10개의 새로운 루트를 개척했으며 4번의 동계 등반을 성공했으나, 1989년 로체 남벽 등반 중 사망했다.
  • 히말라야산맥에서 죽은 사람 - 김홍빈 (산악인)
    김홍빈은 2006년부터 2021년까지 14개의 8,000미터급 봉우리를 등정한 대한민국의 산악인이며, 광주광역시 빛고을 홍보대사와 전라남도교육청 전남교육 명예대사로도 활동했다.
  • 극지 탐험가 - 롭 곤틀릿
    영국의 모험가이자 등반가인 롭 곤틀릿은 에베레스트 최연소 영국인 등정 기록을 세웠고, 북극에서 남극까지 탐험으로 내셔널 지오그래픽 '올해의 모험가'로 선정되었으나, 알프스에서 빙벽 등반 중 사망했으며, 그의 활동은 기금 마련과 연계되었다.
  • 극지 탐험가 - 한스 에게데
    한스 에게데는 노르웨이 출신의 루터교 선교사로, 그린란드 선교를 위해 덴마크-노르웨이의 지원을 받아 그린란드에 정착지를 건설하고 이누이트의 언어를 연구했으며, 그린란드 주교로 임명되어 선교 활동을 펼치다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탐험가 - 강동석 (탐험가)
    강동석은 단독 태평양 요트 횡단과 세계일주를 완수한 대한민국의 탐험가로, 히말라야 등반 및 북극 탐험에도 참여했으며 명예해군, 신한국인상, 명예선장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탐험가 - 김현국
    김현국은 유라시아 대륙 횡단 탐험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하고 현대 캐스퍼로 유라시아 대륙을 단독 횡단하는 등 유라시아 지역을 탐험 및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탐험가이자 세계탐험문화연구소 이사장이며, 유라시아 문화 교류에도 기여하고 있다.
박영석
기본 정보
이름박영석
로마자 표기Bak Yeongseok
한글박영석
한자朴英碩
출생일1963년 11월 2일
출생지서울특별시
사망일2011년 10월 18일
사망지네팔 안나푸르나
직업산악인
알려진 업적세계 최초로 진정한 탐험가 그랜드슬램 달성
배우자홍경희
자녀슬하 2남
학력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 석사
종교불교
활동 기간1992년 ~ 2011년
활동 분야등산
활동 지역
한국어 이름
한글박영석
한자朴英碩
로마자 표기Bak Yeongseok
문화어 표기박영석
관련 정보
탐험가 그랜드슬램세계 최초 달성

2. 생애

2005년 5월 1일(한국 시간 기준, 현지 시간 4월 30일)에 북극점에 도달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탐험가 그랜드슬램(Explorers Grand Slam)을 달성하여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또한 한국인 최초이자 세계에서 8번째로 히말라야 8000미터 이상의 봉우리 14좌를 완등한 산악인이기도 하며, 이는 세계 최단기간 기록이다.[12]

2011년 10월 18일 오후 4시경,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남벽 등반 중 실종되었다.[13] 함께 등반하던 신동민, 강기석 대원 2명과 함께 연락이 두절되었으며, 이후 대한산악연맹을 중심으로 두 차례 구조대가 파견되었으나 어떠한 흔적도 찾지 못했다.[14]

3. 주요 등반 및 탐험 기록

박영석은 세계 최초로 탐험가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으며, 한국인 최초이자 세계 최단 기간 히말라야 8000m 이상 고봉 14좌를 완등하는 등[12] 산악 및 탐험 분야에서 중요한 기록을 남겼다.

2011년 10월 18일 오후 4시경,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남벽 등반 중 실종되었다.[13] 당시 함께 등반하던 강기석, 신동민 대원과 함께 연락이 두절되었으며, 이후 대한산악연맹 주도로 두 차례 구조대가 파견되었으나 끝내 아무런 흔적도 찾지 못했다.[14]

3. 1. 7대륙 최고봉 및 3극점

2005년 4월 30일 (한국 시간 기준 5월 1일) 북극점에 도달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탐험가 그랜드슬램(Explorers Grand Slam)을 달성하여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또한 한국인 최초이자 세계에서 8번째로 히말라야 8000m 이상 고봉 14좌를 세계 최단기간에 완등한 기록도 가지고 있다.[12]

순서봉우리 이름고도 (m)정상 등정일
1에베레스트8,8481993년 5월 16일
2K28,6112001년 7월 22일
3칸첸중가8,5861999년 5월 12일
4롯체8,5162001년 4월 29일
5마칼루8,4632000년 5월 15일
6초오유8,2011997년 9월 27일
7다울라기리8,1671997년 4월 27일
8마나슬루8,1631998년 12월 6일
9낭가파르밧8,1251998년 7월 21일
10안나푸르나8,0911996년 5월 4일
11가셔브룸 1봉8,0681997년 7월 9일
12브로드 피크8,0472000년 7월 30일
13가셔브룸 2봉8,0351997년 7월 19일
14시샤팡마8,0272000년 10월 2일
15아콩카구아6,9592002년 1월 11일
16데날리6,1951994년 6월 2일
17킬리만자로5,8951997년 2월 17일
18엘브루스5,6422002년 7월 7일
19빈슨 매시프4,8972002년 11월 25일
20카르스텐스 피라미드4,8842002년 5월 11일
21코시어스코2,2802001년 9월 21일
22남극점2,8352004년
23북극점해수면2005년 4월 30일
24에베레스트
남북 횡단
8,8482006년 5월 11일


3. 2. 기타 등반

남북 횡단8,8482006년 5월 11일


4. 로체 등정 논란

1997년 로체 등정에 도전하여 무선으로 정상 등정을 발표했으나, 실제로는 정상에서 약 50m 아래 지점까지만 도달했다.[11] 이후 등정 성공 여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자 박영석은 이를 인정하였고, 4년 뒤인 2001년에 로체에 다시 도전하여 등정에 성공했다.[11]

5. 안나푸르나 실종

2011년 10월 18일 오후 4시,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남벽 등반 중 신동민, 강기석 대원과 함께 실종되었다.[13] 앞서 2011년 10월, 박영석, 신동민, 강기석은 안나푸르나 남벽 등반을 다시 시도하기로 결정했다. 원정에 앞서 박영석은 자신의 탐험가로서의 운명과 도전에 대한 의지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4]

:나는 점점 죽음에 가까워지고 있다. 매일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지만, 정착하는 등반가는 등반가가 아니다… 호랑이가 야성을 잃으면 아직도 호랑이인가? 나는 탐험가의 운명을 타고났기에 죽는 날까지 탐험하고 산에 오를 것이다.

박영석과 그의 팀원들은 2011년 10월 18일 마지막 교신 이후 연락이 두절되었다.[5] 베이스캠프 무전기에 기록된 그의 마지막 말은 "저걸 어떻게 건너가지?"였다.[6]

실종 직후 대한산악연맹은 즉시 수색 및 구조 작전을 시작했다. 10일간의 구조 작전에도 불구하고 실종된 세 대원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연맹은 이들이 등반 중 낙석으로 인해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고, 2011년 10월 28일 수색 작전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7][8][14]

이후 대한산악연맹은 실종된 세 등반가를 위한 합동 "산악인 장례식"을 거행했으며, 추모 제단에는 4,000명이 넘는 조문객이 다녀갔다.[9]

6. 사후

2016년, 박영석의 고향인 상암동 인근에서 박영석 산악문화센터 건립이 시작되었다. 2019년에 기지캠프가 개장했다. 이 시설은 실내 암벽 등반을 위한 도시 공원, 전시 공간 및 공연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0]

7. 서훈

참조

[1] 웹사이트 Mr. Park completes the Grand Slam http://www.everestne[...] 2005-05-01
[2] 웹사이트 Korean Everest Sea to Summit marred by tragedy https://www.thebmc.c[...] 2013-05-27
[3] 뉴스 박영석씨 등 5명, 남극원정 성공 http://www.donga.com[...] 2004-01-13
[4] 웹사이트 "박영석·신동민·강기석, 그들은 불굴의 도전정신을 남겼다" https://www.khan.co.[...] 2011-11-03
[5] 웹사이트 The Chosun Ilbo (English Edition): Daily News from Korea – Korean Mountaineer Missing on Annapurna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6] 웹사이트 안나푸르나의 별이 된 박영석, 그이는 지금도 긴 원정 중 https://www.joongang[...] 2018-10-13
[7] 웹사이트 Everest K2 News Explorersweb – the pioneers checkpoint http://explorersweb.[...] Explorersweb.com 2011-10-31
[8] 웹사이트 With Park Gone, Korea Loses Its Trailblazer – Korea Real Time – WSJ https://blogs.wsj.co[...] Blogs.wsj.com 2011-10-31
[9] 웹사이트 "박영석·신동민·강기석, 그들은 불굴의 도전정신을 남겼다" https://www.khan.co.[...] 2011-11-03
[10] 웹사이트 자연으로 돌아갈 인공의 산: 박영석 베이스캠프 https://vmspace.com/[...]
[11] 뉴스 今回が初めてではない、疑惑が絶えないヒマラヤ高峰登頂 조선일보 2010-09-09
[12] 웹사이트 박영석 대장 등반기록 http://news1.kr/arti[...]
[13] 뉴스인용 (3보) 실종 박영석 헬기 구조대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 http://news1.kr/arti[...] news1코리아 2011-10-20
[14] 뉴스인용 [현장 21] ③ '안나푸르나' 그 후 1년 http://news.sbs.co.k[...] SBS 2012-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