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강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강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주요 강으로, 드라켄스버그 산맥에서 발원하여 북케이프주의 킴벌리 남서쪽에서 오렌지 강과 합류하며, 총 길이는 약 1,120km이다. 가우텡주를 포함한 여러 지역의 산업, 농업, 도시 용수를 위한 주요 수원이며, 댐과 물 이전 계획을 통해 수자원을 관리한다. 역사적으로 트란스발 공화국과 오렌지 자유국의 경계를 이루었으며, 랜드 워터와 같은 기관을 통해 수자원 개발이 이루어졌다. 현재는 산업 및 생활 오염 문제와 관광, 레저 활동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강 - 림포포강
아프리카 남부의 림포포강은 마리코 강과 크로커다일 강이 합류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보츠와나 국경을 거쳐 모잠비크에서 인도양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넓은 유역에 많은 인구가 거주하지만 홍수, 오염,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소설에도 등장한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강 - 오렌지강
오렌지강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드라켄즈버그 산맥에서 발원하여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총 길이 2,432km의 강으로, 농업, 산업, 광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이아몬드 채굴이 활발하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발강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바알강 / ǀ하이 |
원어 이름 | ǀHaiǃarib |
다른 이름 | 레크와, 일리크와 |
어원 | ǀHai "창백한" + ǃArib "강" |
![]() | |
지리 | |
국가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지역 | 프리스테이트 주, 하우텡 주, 노던케이프 주, 음푸말랑가 주 |
길이 | 약 1,458km |
유역 면적 | 약 196,438km² |
평균 방류량 | 125m³/s |
수원 | 브레이턴 근처 |
하구 | 오렌지 강 |
하구 위치 | 더글러스 근처 |
하구 고도 | 약 1,241m |
왼쪽 지류 | 페트 강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Vaal |
아프리칸스어 발음 | /ˈfɑːl/ |
2. 지리
요하네스버그 동쪽 음푸마랑가주 드라켄스버그 산맥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흐르며, 북케이프주의 주도 킴벌리 남서쪽에서 오렌지 강과 합류한다. 총 길이는 약 1120km이다. 강을 경계로 북쪽은 음푸마랑가 주, 가우텡주, 북서주가 되고, 남쪽은 프리테이트주가 된다.
발 강은 요하네스버그 도시권과 프리테이트 주 대부분 지역에서 각종 산업을 위해 물을 끌어다 쓰고 있으며, 주요 관개용수 취수원인 Vaal-Hartz 계획의 하나이기도 하다. 발 강에서 공급되는 물은 가우텡 주에서 1,200만 명에게 공급되고 있다.[5]
2. 1. 유역 (River Basin)

비와 지하수는 웅덩이, 습지 및 하천에 모이고, 이들이 연결되는 곳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발강(Vaal River)이 시작된다. 강은 서쪽으로 흐르다 스탠더튼(Standerton), 음푸말랑가(Mpumalanga) 근처의 그로트드라이 댐(Grootdraai Dam)에 이른다. 베레니히잉(Vereeniging)의 발 댐(Vaal Dam)으로 향하는 동안 여러 지류가 합류한다. 작은 발강(Little Vaal River)은 에르멜로(Ermelo) 근처의 절벽에서 시작된다. 프리토리아(Free State)의 메멜(Memel) 근처에는 클립강(Klip River)이 시작된다. 와터벌스강(Watervals River)은 세쿤다(Secunda), 음푸말랑가(Mpumalanga)에서 시작된다. 윌지강(Wilge River)은 1938년 발 댐(Vaal Dam)이 건설되기 전까지 발강과 합류했지만, 현재는 물이 댐으로 직접 흘러들어간다.[5] 크로멜름부그슈프루이트(Kromelmboogspruit)는 발 배러지(Vaal Barrage) 근처에서 발강과 합류한다.

발강은 요하네스버그 동쪽의 음푸마랑가주 드라켄스버그 산맥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흐르며, 북케이프주의 주도 킴벌리 남서쪽에서 오렌지 강과 합류한다. 총 길이는 약 1120km이다. 강을 경계로 북쪽은 음푸마랑가주, 가우텡주, 북서주가 되고, 남쪽은 프리테이트주가 된다.
발 강은 요하네스버그 도시권과 프리테이트주 대부분 지역에서 각종 산업을 위해 물을 끌어다 쓰고 있으며, 주요 관개용수 취수원인 Vaal-Hartz 계획의 하나이기도 하다. 발 강에서 공급되는 물은 가우텡주에서 1,200만 명에게 공급되고 있다.
2. 2. 발 댐 (Vaal Dam)

발강 강(Vaal River)의 지표 유출은 불규칙적이어서, 강줄기를 따라 물을 모으기 위해 대규모 댐들이 건설되었다. 과거 발강 강이 가우텡 지역의 공식적인 수자원으로 확립되기 전에는, 농부들이 관개를 위해 소규모 댐들을 여러 개 건설했다.
1938년에 발강 댐(Vaal Dam) 건설이 완료되면서, 댐이 가득 차지 않더라도 매년 물 공급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댐은 다양한 사업을 통해 여러 유역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았다.[5]
요하네스버그 도시권과 프리테이트주 대부분 지역에서는 각종 산업을 위해 발 강에서 물을 끌어다 쓰고 있다. 발 강은 주요 관개용수 취수원인 Vaal-Hartz 계획의 하나이기도 하다. 발 강에서 공급되는 물은 가우텡 주에서 1,200만 명에게 공급되고 있다.
3. 역사
발강은 19세기 중반 모쇼에슈 1세의 바소토 왕국의 북쪽 경계이자, 보어 공화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트란스발 주)과 오렌지 자유국 사이의 경계였다. "트란스발"은 "발강 너머"라는 뜻이다. 당시 유럽인 정착지는 케이프 식민지와 내털 등 발강 남쪽에 있었다.[5]
19세기 후반 휘트워터스랜드에서 금이 발견되자 이주민이 급증했고, 발강은 주요 수원이 되었다. 초기에는 가우텡 서부 주르베콤 우물을 사용했으나 고갈되면서 가정, 농업, 산업용수 확보가 필요해졌다.[5]
이에 따라 민간 부문에서 수자원 계획을 수립했다. 1893년 브람폰테인 수자원 회사의 피어폰테인 신디케이트, 1887년 요하네스버그 수도 및 탐사 회사의 시브라이트 양보 등이 있었으나, 물은 비싸서 주민 대다수가 이용하기 어려웠다.[6]
“발강(Vaal)”은 네덜란드어 “밝은 색(Tky-Gariep)”에서 유래했는데, 홍수 때 많은 침전물로 인해 강물이 회색으로 변하는 현상에서 비롯되었다. 발강은 과거 트란스발 공화국과 오렌지 자유국의 경계였으며, “트란스발” 지명도 “발강 건너편”을 의미한다. 케이프 식민지와 나탈의 유럽인들도 발강을 경계로 남쪽에 거주했다.
3. 1. 랜드 워터 (Rand Water)
랜드 워터는 1903년 설립되어 민간 부문의 운영을 인수하고 지속 가능한 수자원 공급 및 상하수도 서비스 조사 임무를 맡았다. 1905년 비트와터스랜드에 대량의 물을 공급하며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했다. 기관 구성원은 요하네스버그 시의회, 광산협회(The Chamber of Mines) 및 비트와터스랜드 내 다른 지방 자치 단체 관계자들로 구성되었다.[6]랜드 워터는 1913년 비트와터스랜드 주민들에게 제한을 두는 방식으로 물 부족에 대응하고,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수자원 계획을 개발했다. 1914년부터 1998년까지 다양한 정부 및 민간 기관과 파트너십을 맺고 발 강 계획과 댐(1914~1924)을 추진했다. 발 강 계획은 물 분배 관리를 위해 설립되었다. 랜드 워터는 베레니깅 펌핑 스테이션(1924), 즈와르트코프예스 펌핑 스테이션, 발 댐(1938), 즈이커보쉬 펌핑 스테이션(1949), 레소토 고지대 수자원 프로젝트(1998)도 설립했다.[6]
3. 2. 투겔라-발 강수 이전 계획 (Tugela-Vaal Transfer Scheme)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사이에 당시 프레토리아-휘트워터스랜드-베레에닝겐 복합 단지로 알려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제 중심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다른 유역에서 발 강으로 물을 유입하는 두 가지 물 이전 계획이 개발되었다. 여기에는 레소토 고지대 수자원 프로젝트와 콰줄루나탈의 투겔라-발 강수 이전 계획이 포함된다.[7] 투겔라-발 강수 이전 계획은 1974년에 완료되어 콰줄루나탈의 투겔라 강에서 운하, 파이프라인 및 댐을 통해 발 강 시스템으로 물을 이전했다.[5]3. 3. 레소토 고지대 수자원 프로젝트 (Lesotho Highlands Water Project)
레소토 고지대 수자원 프로젝트는 1997년에 최종적으로 시작되었으며, 레소토에서 발강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3단계 건설을 포함하여 4개의 주요 댐을 건설하는 것을 포함한다. 1954년부터 자원 개발 위원회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인접국 레소토에서 물을 받는 것을 제안했다. 두 국가 간 협상은 197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다. 이 계획 개발에 대한 조약은 1987년 10월 24일에 레소토,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럽 연합, 국제 연합, 그리고 세계 은행 대표들에 의해 체결되었다. 당시 프로젝트 1단계에만 91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었다.[6]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공급된 물을 모두 사용하든 사용하지 않든 매년 레소토에 1.5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를 지불한다.[6]
4. 산업 및 농업
발강은 요하네스버그 대도시권과 프리토리아 주의 상당 부분의 산업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물을 공급받는다. 1881년 킴벌리 상수도 회사는 발강에서 케이프 다이아몬드 광산에 1임페리얼갤런(imperial gallon)당 1실링(shilling)의 비용으로 물을 공급했다.[9][10]
발-하르츠 계획의 일환으로, 발강은 관개용수의 주요 원천이다. 발강에서 끌어온 물은 가우텡과 그 주변 지역의 1,200만 명의 소비자를 지원한다.[11]
발 강은 요하네스버그 도시권과 프리테이트주 대부분 지역에서 각종 산업을 위해 물을 끌어다 쓰고 있다. 또한 발 강은 주요 관개용수 취수원인 Vaal-Hartz 계획의 하나이기도 하다. 발 강에서 공급되는 물은 가우텡 주에서 1,200만 명에게 공급되고 있다.
5. 현재 이용 및 환경 문제
발강 댐 상류의 발강 유역 대부분의 물은 광산, 석탄 광산, 사솔(Sasol)의 에너지 및 화학 관련 활동과 같은 산업 용도, 도시 용수 및 발전에 사용된다. 댐 하류에서는 물이 주로 도시 용수에 사용되고,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상당량이 광산 및 산업, 관개, 그리고 발전에도 사용된다.[12] 강 상류는 정기적으로 오염이 발생하며, 이는 하류 이용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2019년에는 레크와 지방 자치구의 스탠더턴에 있는 주요 정수장이 파손되어 만성적인 오염 문제를 야기했다. 하류 이용자를 돕기 위해, 높은 염도를 희석하고자 깨끗한 물을 강으로 퍼 올려야 했고, 이로써 귀중한 자원이 엄청난 양 낭비되었다.[13] 2021년, 남아프리카 인권위원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하수가 그대로 강으로 유입되는 등 발강이 허용 수준을 넘어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14][15]
요하네스버그 도시권과 프리테이트주 대부분 지역에서는 각종 산업을 위해 발 강에서 물을 끌어다 쓰고 있다. 발 강은 주요 관개용수 취수원인 Vaal-Hartz 계획의 일환이기도 하다. 발 강에서 공급되는 물은 가우텡주에서 1,200만 명에게 공급되고 있다.
6. 관광
발 강은 50km의 수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 유역은 연중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는 다양한 여가용 수상 활동을 제공한다. 주요 활동으로는 보트 타기, 요트, 수상 스키 등이 있다.
데네이스빌은 발 강의 자유주 쪽에 있는 도시로, 수영, 카이트보딩, 요트, 보트, 카타마란 크루징, 제트 스키, 윈드서핑, 스노클링, 낚시 등을 즐길 수 있는 인기 있는 수상 스포츠 센터이다.
7. 생태
호건에 따르면, 유역의 상류 지역은 파충류의 높은 고유종 비율을 보이며, 하류 지역으로 갈수록 소형 포유류의 고유종 비율이 높아진다.[8]
참조
[1]
서적
Times Comprehensive Atlas
Times Books
[2]
웹사이트
9 longest rivers
http://www.sa9.co.za[...]
2018-04-02
[3]
서적
Travels and Adventures in Southern Africa I
Henry Colburn
[4]
서적
Suid-Afrikaanse berg- en riviername
Tafelberg-uitgewers
[5]
웹사이트
Water Origination
https://web.archive.[...]
Rand Water
2019-02-07
[6]
웹사이트
Background / History of Rand Water
https://web.archive.[...]
Rand Water
2019-02-07
[7]
웹사이트
Rivers of South Africa
http://www.waterwise[...]
2018-03-31
[8]
웹사이트
Vaal River
http://www.eoearth.o[...]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9]
뉴스
The Kimberley Waterworks
1881-06-30
[10]
뉴스
The Kimberley Waterworks
1881-07-07
[11]
웹사이트
State of the Environment of South Africa (SOESA), Annual National State of the Environment Report
https://web.archive.[...]
2012-02-26
[12]
웹사이트
Upper Vaal WMA: Overview of water resources availability and utilisation
http://www.dwaf.gov.[...]
2018-04-02
[13]
뉴스
Tens of millions spent on repairs but sewage still flows in the Vaal
https://mg.co.za/art[...]
2019-11-22
[14]
논문
Pollution of the Vaal River System in South Africa: A Case Study
https://www.witpress[...]
Wits Press
2022
[15]
웹사이트
Flow of raw sewage into Vaal River a violation of human rights, SAHRC rules
https://www.news24.c[...]
2023-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