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도탱 방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도탱 방언은 프랑코프로방스어의 일종으로, 이탈리아 발레다오스타주에서 주로 사용된다. 발레다오스타는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국어로 이 언어를 널리 사용하는 유일한 지역이며, 지역 인구의 약 58%가 이 언어를 이해한다. 발도탱 방언은 상부 계곡과 하부 계곡으로 나뉘며, 상부 계곡은 사보이 및 발레주 방언과 유사하고, 하부 계곡은 피에몬테어의 영향을 받았다. 아오스타 시의 방언은 중립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발도탱 방언은 음성학과 어휘 면에서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문학 및 음악 분야에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발도탱 방언 | |
---|---|
일반 정보 | |
이름 | 발도탱 |
자기 이름 | valdotèn |
발음 (IPA) | /valdotɛ̃/ |
다른 표기 | Valdŏtèn Valdouhtan patoué |
언어 정보 | |
사용 국가 | 이탈리아 |
사용 지역 | 발레다오스타주 |
사용자 수 | 약 68,000명 (2003년)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이탈리아어파 |
어군 | 로망스어군 |
하위 분류 | 서부 로망스어군 갈리아로망스어 아르피타니아어 |
문자 | 라틴 문자 |
표준 | BREL (지역 민족 및 언어 사무국) |
ISO 639-3 | 코드 종류: 예외 코드: dialect |
Glottolog | 코드: vall1249 이름: Valle d'Aosta |
IETF | frp-u-sd-it23 |
지위 | |
국가 | 이탈리아 |
보호 | 법령에 의해 발레다오스타주에서 보호됨 |
2. 분포 및 분류
프랑코프로방스어 지역에서 발레다오스타주는 현재 이 언어가 모든 연령대의 인구가 모국어로 널리 사용되는 유일한 지역이다.[3] 2001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거의 58%가 프랑코-프로방스어를 알고 있다고 보고되었다.[4] 2003년의 또 다른 연구는 프랑코-프로방스어의 지위를 다중 언어 사용이 많은 다수 인구의 주요 언어로 확인했다.[5]
발도탱 방언은 음운론과 어휘 면에서 고유한 특징을 보이는 여러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발도탱은 아오스타의 지역 민족학 및 언어학 연구소(BREL)와 생니콜라의 프랑코프로방스 연구 센터에서 자세히 연구되었다.[1]
발도탱 방언은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아오스타 계곡에는 종탑만큼이나 많은 방언 형태가 있다고 한다.[6] 이는 발도탱 프랑코-프로방스어 내의 높은 언어적 다양성을 언급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크게 두 개의 주요 분기로 분류할 수 있는데, 서쪽의 상부 계곡(haute Vallée|오트 발레프랑스어, alta valle|알타 발레it)과 아오스타시 동쪽의 하부 계곡(basse Vallée|바스 발레프랑스어, bassa valle|바사 발레it)이 있다.[6] 상부 계곡의 발도탱 방언은 더 혁신적인 경향이 있으며 국경을 넘어 사보이와 발레주에서 사용되는 방언과 더 유사하다.[6] 한편, 하부 계곡의 방언은 피에몬테어의 영향을 받아 더 보수적인 경향이 있다.[6]
아오스타 자체의 도시 방언(patoué de la Veulla|도시 방언frp)은 특히 현지 언어 미디어에서 '중립적'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7]
3. 어휘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서부 중앙-북부 중앙-동남부 동부 라 튀유 라 살 레메 생 조르주 발사바렌체 코녜 사르 생토아앙 오야스 콰르트 페니 샹포르셰 발투르난슈 아야스 에마레세 아르나 가비 rastrello râteau rassi râhé rahi rahi raté rati râti râti raté râti rati râté rahtél rahté rahté rahtél fiore fleur flôr fleu fleur fleure fieur fleur flôr fleu fleur fleur fior flour fiour fiour fiour fiour volpe renard, goupil rèinâr rèinâ rèinar rèinâr rèinèar rèinâr rèinâ rèinâr rèinâr rèinal verpeuill gorpeul gorpéi gorpeui gorpeui voulp sì oui, ouais voué vouè vouè ouè vouài ouè ouè vouè vouè ouè ouèi ò òi òi òi òi
4. 언어 연구
5. 문학 및 예술
하위 섹션에서 시를 다루고 있으며, 이 외에도 루이 드 자리오, 마우라 수산나, 마귀 베떵과 같은 가수 겸 작곡가들이 발도탱 방언으로 된 현대 음악을 선보이고 있다. 트루베르 발도탱 밴드는 발도탱 방언과 프랑스어로 된 전통 아오스타 노래를 중심으로 활동한다.
5. 1. 시
앙드레 페레(생-뱅상, 1904-1954)
:
:
:
: [1]
팔미르 아르바네-파르코즈(두에스, 1900 - 아오스타, 1980)
:
:
:
:
: [2]
''라 파스토랄라'', 장-바티스트 셀로뉴(생-니콜라, 1826 - 생-피에르, 1910)
:
:
:
:
:
:
:
:
: [3]
체사린 비넬(샹드프라, 1897 - 1956)
:
:
:
:
:
:
:
: [4]
아나이스 롱-데자이모넷(아르푸이에, 1890 - 아오스타, 1955)
:
:
:
:
:
:
:
:
:
: [5]
5. 2. 음악
발도탱의 주요 현대 가수 겸 작곡가는 다음과 같다.
발도탱과 프랑스어로 된 전통 아오스타 노래는 밴드 트루베르 발도탱(Trouveur valdotèn)의 활동의 핵심을 이룬다.
6. 참고 문헌
- Jules Brocherel, ''Le patois et la langue française en Vallée d'Aoste'', V. Attinger, Neuchâtel프랑스어
- Aimé Chenal, ''Le franco-provençal valdôtain. Morphologie et syntaxe'', Musumeci, Aoste, 1986|8870322327프랑스어
- Alexis Bétemps, ''Le français de la Vallée d'Aoste de nos jours, 1945~'', T.D.L., Milan프랑스어
- Hans-Erich Keller, Études linguistiques sur les parlers valdôtains, A. Francke S.A., Berne, 1958프랑스어
- Ernest Schüle, Histoire linguistique de la Vallée d'Aoste, dans "Bulletin du Centre d'études francoprovençales", n. 22, Imprimerie valdôtaine, Aoste, 1990프랑스어
- Xavier Favre, ''Histoire linguistique de la Vallée d'Aoste'', in ''Espace, temps et culture en Vallée d'Aoste'', Imprimerie valdôtaine, Aoste, 1996프랑스어
- François-Gabriel Frutaz, ''Les origines de la langue française en Vallée d'Aoste'', Imprimerie Marguerettaz, Aoste, 1913프랑스어
- Édouard Bérard, ''Le français en Vallée d'Aoste'', Aoste, 1861프랑스어
- Alexis Bétemps, ''Les Valdôtains et leur langue'', préface de Henri Armand, Imprimerie Duc, Aoste, 1979프랑스어
- Alexis Bétemps, ''Le bilinguisme en Vallée d'Aoste : problèmes et perspectives'', in ''Les minorités en Europe'' de A.-L. Sanguin, L'Harmattan, Paris, 1993, pp. 131-135프랑스어
- Bétemps, Alexis, ''Le francoprovençal en Vallée d'Aoste. Problèmes et perspectives'', in ''Langue et communication symbolique dans la culture walser'', VI. Walsertreffen (VIe Rencontre des Walser), Fondazione Monti, Anzola d'Ossola, 1989, p. 355-372프랑스어
참조
[1]
웹사이트
Sondage linguistique de la Fondation
http://www.fondchano[...]
[2]
간행물
Norme in materia di tutel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storiche
http://www.parlament[...]
Italian parliament
[3]
웹사이트
Site du Centre d'études francoprovençales : "Au temps de Willien : les ferments de langue"
https://www.centre-e[...]
[4]
논문
Une interprétation sociolinguistique de phénomènes prosodiques: le cas de Cogne (Vallée d'Aoste)
https://www.fondchan[...]
Fondation Émile Chanoux
2003
[5]
논문
Una Valle d'Aosta, tante Valli d'Aosta? Considerazioni sulle dimensioni del plurilinguismo in una comunità regionale
https://iris.unito.i[...]
2003-01-01
[6]
웹사이트
Francoprovençal patois en Vallée d'Aoste
https://www.patoisvd[...]
2023-11-05
[7]
웹사이트
Trans-border communities in Europe and the emergence of "new" languages : From "Francoprovençal patois" to "Arpitan" and "Arpitania"
https://www.theses.f[...]
Perpignan
2016-09-02
[8]
웹사이트
Sondage linguistique de la Fondation
http://www.fondcha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