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밴 (컴퓨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밴(ban)은 앨런 튜링과 I.J. 굿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니그마 암호 해독을 위해 개발한 정보 측정 단위이다. 밴버리즘 과정에서 정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데시밴(deciban)은 밴의 하위 단위이다. 데시밴은 로그 확률 및 베이즈 요인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확률비의 무게를 나타낸다. 10 데시밴은 10:1의 확률비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보의 단위 - 제타바이트
    제타바이트는 컴퓨터 저장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로, 킬로바이트, 메가바이트 등과 함께 사용되며 십진 접두어와 이진 접두어의 혼동에 주의해야 한다.
  • 정보의 단위 - 테라비트
    테라비트는 1조 비트를 나타내는 정보량 단위로, 테라바이트와 혼동될 수 있으며, 컴퓨터 분야에서는 테비비트가 사용되기도 하고, 고속 네트워크 속도나 고용량 메모리 용량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된다.
밴 (컴퓨팅)
기본 정보
단위 계열SI 단위
측정량정보량 (정보 이론)
기호dit
명명 유래랠프 하틀리
환산
1 dit (십진수)log10 비트 (≒ 3.3219 비트)
nat (≒ 2.3026 nat)
1 비트10}} dit (≒ 0.3010 dit)
1 natln(10) dit (≒ 0.4343 dit)
참고 사항
다른 이름decit
hartley
설명1 하틀리는 10개의 가능한 값 중 하나를 구별하는 데 필요한 정보의 양이다.
정보량 단위
정보 이론샤논 (이진수)
nat (밑 e)
하틀리 (밑 10)
데이터 저장비트 (이진)
트릿 (삼진)
디트 (십진)
양자 정보큐비트 (이진)
큐트릿 (삼진)
큐디트 (d차원)

2. 역사

정보량 단위에는 여러 이름이 사용되어 왔다. '밴(ban)'과 '데시밴(deciban)'은 1940년 앨런 튜링과 I. J. Good이 블레츨리 파크에서 에니그마 암호 해독을 위해 발명한 단위이다.[1] '하틀리(Hartley)'는 1928년 정보량 측정을 제안한 랄프 하틀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3]

과거에는 클로드 섀넌비트 대신 사용했던 '섀넌'이라는 용어도 있었으나,[4] 21세기 초 IEC 80000-13 표준에서는 정보량 단위로 '하틀리'를 사용하도록 명시했다.[4] 한편, '디트(dit)'는 'decimal digit'의 약자이다.

2. 1. 앨런 튜링과 I.J. 굿의 공헌

밴과 데시밴은 1940년 앨런 튜링과 어빙 존 "잭" 굿에 의해 발명되었다.[1] 이 단위들은 제2차 세계 대전블레츨리 파크의 암호 해독자들이 독일 해군의 에니그마 암호 기계 설정을 알아내기 위해 사용한 밴버리즘 절차에서 정보의 양을 측정하는 데 활용되었다.

'밴(Ban)'이라는 이름은 이 과정에서 사용된 방대한 양의 카드가 약 약 48.28km 떨어진 영국 밴버리 마을에서 인쇄되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I.J. 굿은 특정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의 가중치를 측정하기 위해 데시밴 값을 순차적으로 더하는 방식이 본질적으로 베이즈 추론과 같다고 주장했다.[1] 반면, 도널드 A. 길리스는 밴이 칼 포퍼가 제시한 검증의 엄격성 척도와 사실상 동일하다고 보았다.

2. 2. 랄프 하틀리와 하틀리

정보 단위의 동의어인 '하틀리'는 랄프 하틀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3] 랄프 하틀리는 1928년에 정보를 표현하는 데 있어 구별 가능한 상태의 수와 동일한 로그 밑수를 사용하여 정보량을 측정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십진수의 정보량을 측정할 경우 밑수 10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3. 확률의 단위로써의 사용

데시밴(deciban)은 특히 로그 확률이나 로짓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단위이다. 정보 이론에서는 베이즈 요인이나 증거 가중치와 같은 정보의 척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5] 예를 들어, 10 데시밴은 10:1의 확률비에 해당하며, 20 데시밴은 100:1의 확률비에 해당한다. 통계학자 I. J. 굿은 1 데시밴 정도의 증거 가중치 변화(확률비가 동일 확률 1:1에서 약 5:4로 변하는 정도)가 인간이 어떤 가설에 대한 믿음의 정도를 합리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는 가장 미세한 정도라고 보았다. 정수 데시밴 값과 이에 해당하는 확률비 및 확률 간의 관계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확률비와 데시밴

데시밴은 로그 오즈(log-odds) 또는 로짓(logit)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단위로, 정보 이론에서는 베이즈 인자(Bayes factor)나 증거 가중치(weight of evidence)와 같은 정보의 척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5] 정보의 가중치는 확률비(odds)로 표현되는데, 데시밴은 이 확률비의 상용로그 값에 10을 곱한 값이다.

예를 들어, 확률비가 10:1이면 10 데시밴에 해당하고, 확률비가 100:1이면 20 데시밴에 해당한다. 통계학자 I. J. 굿(I. J. Good)은 1 데시밴 정도의 증거 가중치 변화(이는 확률비가 1:1에서 약 5:4로 변하는 정도에 해당)가 인간이 어떤 가설에 대한 믿음의 정도를 합리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라고 보았다.[5]

정수 데시밴 값에 해당하는 확률비는 아래 표와 같이 간단한 정수 비율로 근사할 수 있다. 확률은 소수점 아래 두 자리까지 계산한 근사치이며, 필요에 따라 더 정확한 비율이 제시된다.

데시밴 (dBan)확률비 (Odds)
(정확값: 10dBan/10)
근사 확률비근사 비율정확한 비율
(필요시)
확률 (%)
0111:150
11.2589...1.265:456
21.5848...1.583:28:561
31.9952...2.002:167
42.5118...2.515:271.5
53.1622...3.163:119:6, 16:576
63.9810...3.984:180
75.0118...5.015:183
86.3095...6.316:119:3, 25:486
97.9432...7.948:189
10101010:191


3. 2. 데시밴-확률 변환표

데시밴은 특히 로그 확률이나 로짓(로그 오즈)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단위이다. 정보 이론에서는 베이즈 요인이나 증거 가중치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10 데시밴은 10:1의 오즈(odds)에 해당하고, 20 데시밴은 100:1의 오즈에 해당한다. 통계학자 I.J. 굿(I. J. Good)은 1 데시밴 정도의 증거 가중치 변화(오즈가 동일 확률 1:1에서 약 5:4로 변하는 정도)가 인간이 어떤 가설에 대한 믿음의 정도를 합리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정수 데시밴 값에 해당하는 오즈는 종종 간단한 정수 비율로 근사할 수 있다. 아래 표는 각 데시밴 값에 해당하는 정확한 오즈 값, 근사값, 근사 비율 (약 5% 오차 내), 더 정확한 비율 (1% 오차 내), 그리고 해당 오즈가 나타내는 확률(%)을 보여준다.

데시밴정확한
근사
근사
비율
정확한
비율
확률
0100/1011:150%
1101/101.265:456%
2102/101.583:28:561%
3103/102.002:167%
4104/102.515:271.5%
5105/103.163:119:6, 16:576%
6106/103.984:180%
7107/105.015:183%
8108/106.316:119:3, 25:486%
9109/107.948:189%
101010/101010:191%


참조

[1] 저널 Studies in the History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XXXVII A. M. Turing's statistical work in World War II
[2] 저널 Transmission of Information http://dotrose.com/e[...] 1928-07
[3] 서적 An Introduction to Information Theory. Dover
[4] 웹인용 GCHQ boss: Crypto-genius Turing brought tech to British spooks http://www.theregist[...] 2013-07-08
[5] 저널 Weight of Evidence: A Brief Survey http://www.waterboar[...] 2012-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