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라 7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라 7호는 1970년 8월 17일 발사되어 1970년 12월 15일 금성에 착륙한 소련의 탐사선이다. 최대 18 MPa의 압력과 580 °C의 온도에서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금성 대기 진입 후 낙하산 문제로 인해 자유 낙하하여 금성 표면에 충돌했다. 충돌 후 약 20분 동안 금성 표면에서 신호를 전송했으며, 이를 통해 금성 표면 온도가 475±20°C이고 압력이 9.0±1.5MPa임을 확인했다. 베네라 7호는 금성 표면에서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소련 - 루노호트 1호
루노호트 1호는 1970년 소련이 발사한 달 탐사차로, 322일 동안 10,540미터를 이동하며 2만 장 이상의 사진과 과학 데이터를 전송했으며 1971년 임무가 종료되었다. - 1970년 소련 - 모스크바 조약 (1970년)
모스크바 조약 (1970년)은 서독과 소련이 체결한 조약으로, 서독이 오데르-나이세 선을 국경선으로 인정하고 영유권을 포기하며 양국 간의 무력 사용 포기, 국경선 인정, 국제 평화 노력을 담고 있으며, 서독과 동유럽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 - 베네라 계획 - 베네라 8호
베네라 8호는 1972년 소련에서 발사되어 금성 표면에 도달, 표면 온도, 압력, 토양 성분 측정 및 구름이 높은 고도에만 존재하고 표면 암석이 화강암과 유사한 성분임을 밝혀 금성 탐사에 기여한 탐사선이다. - 베네라 계획 - 베네라 9호
베네라 9호는 소련의 금성 탐사 계획인 베네라 계획의 일부로, 금성 궤도선과 착륙선으로 구성되어 금성 대기 연구 및 표면 이미지를 전송하며 금성의 지질학적 특징과 대기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 1970년 발사한 우주선 - 아폴로 13호
아폴로 13호는 달 착륙을 목표로 발사되었으나, 산소 탱크 폭발 사고로 달 착륙이 취소되었지만, 승무원들은 달 착륙선을 이용하여 무사히 지구로 귀환하여 "성공적인 실패"라는 별칭을 얻은 미국의 아폴로 계획 중 세 번째 유인 우주 탐사 임무이다. - 1970년 발사한 우주선 - 루노호트 1호
루노호트 1호는 1970년 소련이 발사한 달 탐사차로, 322일 동안 10,540미터를 이동하며 2만 장 이상의 사진과 과학 데이터를 전송했으며 1971년 임무가 종료되었다.
베네라 7호 | |
---|---|
기본 정보 | |
![]() | |
임무 유형 | 금성 착륙선 |
운영 주체 | 라보치킨 |
COSPAR ID | 1970-060A |
SATCAT | 4489 |
임무 기간 | 궤도선: 1970년 12월 15일 05:00:00 (궤도 진입 후) 착륙선: 최종 23분 |
우주선 | 4V-1 No. 630 |
제조사 | 라보치킨 |
발사 질량 | 1,180 kg |
착륙 질량 | 500 kg |
발사 날짜 | 1970년 8월 17일, 05:38:22 UTC |
발사 로켓 | 몰니야 8K78M |
발사 장소 | 바이코누르 31/6 |
마지막 교신 | 1970년 12월 15일, 06:00 UTC |
궤도 기준 | 태양 중심 |
궤도 근일점 | 0.69 AU (1억 3백만 km) |
궤도 원일점 | 1.01 AU (1억 5천1백만 km) |
궤도 경사 | 2.0° |
궤도 주기 | 287일 |
궤도 특징 | 태양 헬리오나이트 |
행성 간 | 착륙선 |
접근 천체 | 금성 |
도착 날짜 | 1970년 12월 15일, 05:37:10 UTC |
위치 | 금성 좌표 및 사분면: 5° S, 351° E |
프로그램 | 베네라 |
이전 임무 | 베네라 6호 |
다음 임무 | 코스모스 359호 |
장비 목록 | |
장비 1 | COP-18-4M |
장비 2 | GS-4 |
장비 3 | ITD |
장비 4 | DOW-1M |
기타 | |
![]() |
2. 설계
착륙선은 최대 18MPa의 압력과 580°C의 온도에서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2] 이는 예상보다 훨씬 큰 수치였지만, 금성의 표면 온도와 압력에 대한 상당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설계자들은 큰 오차 범위를 선택했다.[2] 이러한 경화 정도는 탐사선 자체와 행성간 버스 모두에서 과학 장비에 사용할 수 있는 질량을 제한했다.[2] 행성간 버스는 태양풍 하전 입자 감지기와 우주선 감지기를 탑재했다.[2] 착륙선에는 온도 및 압력 센서뿐만 아니라 대기 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계가 장착되었다.[2] 또한, 탐사선은 레이더 고도계도 탑재했다.[2]
1970년 8월 17일 05시 38분 UTC에 탐사선이 지구에서 발사되었다. 이 탐사선은 3MV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행성간 버스와 착륙선으로 구성되었다.[1] 금성으로 향하는 비행 중, 버스에 탑재된 KDU-414 엔진을 사용하여 두 차례 궤도 수정을 수행했다.[1]
3. 발사
4. 착륙
베네라 7호는 1970년 12월 15일에 금성의 대기에 진입했다.[3] 착륙선은 대기 진입 초기 단계에서 행성 간 버스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었는데, 이는 버스가 가능한 오랫동안 착륙선을 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3] 대기 충돌로 행성 간 버스가 지구와의 연결이 끊어지자 착륙선이 분리되었다.[3]
5는 베네라 7호의 착륙 좌표이다.[3]
60 km 높이에서 낙하산이 펼쳐졌고, 대기 테스트 결과 대기는 97%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3] 낙하산은 처음에는 리프화되어 1.8 m2까지 축소되었으며, 13분 후 리프 라인이 설계대로 녹아 2.5 m2로 펼쳐졌다.[4] 리프 해제 후 6분 만에 낙하산에 문제가 발생하여 계획보다 더 빠르게 하강하게 되었다.[4][3] 낙하산은 결국 완전히 고장났고, 탐사선은 자유 낙하 상태로 진입했다.[4] 그 결과, 착륙선은 UTC 05:37:10에 약 의 속도로 금성 표면에 충돌했다.[3]
4. 1. 착륙 후 데이터 전송
베네라 7호는 1970년 12월 15일에 금성의 대기에 진입했다.[3] 착륙선은 대기 진입 초기 단계에서 행성 간 버스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었는데, 이는 버스가 가능한 오랫동안 착륙선을 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3] 대기 충돌로 행성 간 버스가 지구와의 연결이 끊어지자 착륙선이 분리되었다.[3] 60 km 높이에서 낙하산이 펼쳐졌고, 대기 테스트 결과 대기는 97%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3] 낙하산은 처음에는 리프화되어 1.8 m2까지 축소되었으며, 13분 후 리프 라인이 설계대로 녹아 2.5 m2로 펼쳐졌다.[4] 리프 해제 후 6분 만에 낙하산에 문제가 발생하여 계획보다 더 빠르게 하강하게 되었다.[4][3] 낙하산은 결국 완전히 고장났고, 탐사선은 자유 낙하 상태로 진입했다.[4] 그 결과, 착륙선은 UTC 05:37:10에 약 의 속도로 금성 표면에 충돌했다.[3] 착륙 좌표는 5이다.[3]
탐사선은 충돌 시 침묵한 것으로 보였지만, 녹음 테이프는 계속 돌아갔다.[4] 몇 주 후, 전파 천문학자 올레그 르지가가 테이프를 검토한 결과, 23분 분량의 매우 약한 신호가 발견되었다.[4] 우주선은 금성에 착륙했으며, 아마도 옆으로 튕겨져 나가 중간 게인 안테나가 지구로 제대로 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4]
탐사선은 지구에 53분 동안 정보를 전송했는데, 여기에는 표면에서 약 20분간 전송된 정보가 포함되었다.[5] 금성 표면의 온도는 로 밝혀졌다.[5][3] 이 온도와 대기 모델을 사용하여 9±의 압력이 계산되었다. 우주선의 급격한 정지 (0.2초 이내에 낙하에서 정지)를 통해 탐사선이 먼지가 적은 단단한 표면에 충돌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탐사선은 두꺼운 대기 베일로는 볼 수 없었던 금성 표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이 우주선은 인류가 금성 표면에서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행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했다.[5]
참조
[1]
간행물
Science: Onward from Venus
https://web.archive.[...]
1971-02-08
[2]
웹사이트
Venera 7
https://nssdc.gsfc.n[...]
NASA
2019-10-06
[3]
서적
The Data Book of Astronomy
CRC Press
2000
[4]
웹사이트
Larry Klaes, ''The Soviets and Venus, Part 1'', 1993.
https://web.archive.[...]
2015-09-29
[5]
웹사이트
Итоги работы станции "Венера-7"
http://galspace.sp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