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노니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노니아족은 리아베족과 자매 분류군으로 여겨지며, 남부 아프리카 또는 마다가스카르에서 기원하여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되었다. 이 족에 속하는 종의 약 80%는 베르노니아속에 분류되며, 일부 학자들은 더 많은 수의 작은 속으로 나눈다. 베르노니아족에는 김난테뭄아족, 디스테파누스아족 등 여러 아족과 분류 불확실 속에 포함되는 속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커리아과 - 플라티카르파족
플라티카르파족은 백악기에 번성한 멸종된 해양 파충류 분류군으로, 플라티카르푸스속, 아르로사우루스속 등을 포함하며 전 세계에서 화석이 발견되고, 2009년과 2014년 연구에 따라 치커리아과에 속하는 특정 분지군을 형성한다. - 치커리아과 - 리아붐족
리아붐족은 치커리아과에 속하며, 리아붐아족 등을 포함하고 치커리족의 자매군으로 분류되는 식물 분류군이다. - 1819년 기재된 식물 - 길뚝개꽃족
길뚝개꽃족은 국화과의 하위 분류군으로 왜떡쑥족과 함께 참취족과 자매 관계이며, 국화아과 내에서 특정한 계통학적 위치를 차지하는 다양한 아족과 속을 포함한다. - 1819년 기재된 식물 - 해바라기족
해바라기족은 국화과의 큰 족으로, 해바라기, 돼지감자, 금계국, 코스모스 등 다양한 식물들을 포함하며 돼지풀과 같은 문제성 잡초도 속해 있고, 분류학적 연구가 진행 중이다.
베르노니아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베르노니아족 | |
![]() | |
학술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군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군 | 국화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아과 | 치커리아과 |
족 | 베르노니아족 (Vernonieae) |
명명자 | Cassini, 1819 |
하위 분류 | |
아족 | Centrapalinae Chrestinae Dipterocypselinae Distephaninae Elephantopinae Erlangeinae Gymnantheminae Hesperomanniinae Leiboldiinae Lepidaploinae Linziinae Lychnophorinae Mesanthophorinae Pacourininae Piptocarphinae Rolandrinae Sipolisiinae Stokesiinae Trichospirinae Vernoniinae |
2. 분류
베르노니아족은 리아베족과 자매 분류군으로 여겨진다.[1][2][3] 이 족은 남부 아프리카 또는 마다가스카르에서 기원하여 적어도 두 번의 서로 다른 사건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되었다.
베르노니아족에는 여러 아족이 있으며, 각 아족에 속하는 속(Genus)들은 하위 분류에 표로 정리되어있다. 많은 연구에서 베르노니아족 종의 약 80%가 베르노니아속으로 분류되지만, 해럴드 E. 로빈슨과 같은 학자들은 더 많은 수의 작은 속으로 나누기도 한다.[1]
2. 1. 하위 분류
베르노니아족에는 다음과 같은 아족들이 있다.[1][2][3]아족 | 속(Genus) |
---|---|
김난테뭄아족(Gymnantheminae) | Ananthura, Brenandendron, Decaneuropsis, Gymnanthemum, Lampropappus, Monosis, Myanmaria, Strobocalyx, Tarlmounia, Uniyala |
디스테파누스아족(Distephaninae) | Distephanus |
딥테로킵셀라아족(Dipterocypselinae) | Allocephalus, Dipterocypsela, Heterocypsela, Manyonia |
레이볼디아아족(Leiboldiinae) | Bolanosa, Leiboldia, Lepidonia, Stramentopappus |
레피다플로아아족(Lepidaploinae) | Aynia, Chrysolaena, Echinocoryne, Harleya, Lepidaploa, Lessingianthus, Mattfeldanthus, Pseudopiptocarpha, Stenocephalum, Stilpnopappus, Struchium, Xiphochaeta |
롤란드라아족(Rolandrinae) | Rolandra, Spiracantha |
리크노포라아족(Lychnophorinae) | Albertinia, Anteremanthus, Bishopalea, Blanchetia, Centratherum, Chronopappus, Eremanthus, Gorceixia, Heterocoma, Irwinia, Lychnophora, Maschalostachys, Minasia, Paralychnophora, Piptolepis, Prestelia, Proteopsis, Sipolisia, Vinicia, Xerxes |
린지아아족(Linziinae) | Adenoon, Aedesia, Baccharoides, Khasianthus, Lachnorhiza, Linzia, Neurolakis, Pleurocarpaea, Vernonella |
메산토포라아족(Mesanthophorinae) | Acilepidopsis, Mesanthophora, Telmatophila |
베르노니아아족(Vernoniinae) | Cololobus, Cyrtocymura, Dasyanthina, Eirmocephala, Quechualia, Trepadonia, Vernonanthura, Vernonia |
스토케시아아족(Stokesiinae) | Stokesia |
에를랑게아아족(Erlangeinae) | Ageratinastrum, Ambassa, Bothriocline, Cyanthillium, Decastylocarpus, Diaphractanthus, Erlangea, Ethulia, Gutenbergia, Herderia, Hoffmannanthus, Hystrichophora, Jeffreycia, Kinghamia, Kurziella, Lettowia, Muschleria, Oiospermum, Okia, Omphalopappus, Oocephala, Orbivestus, Parapolydora, Paurolepis, Rastrophyllum, Vernoniastrum |
엘레판토푸스아족(Elephantopinae) | Caatinganthus, Elephantopus, Orthopappus, Pseudelephantopus, Soaresia |
켄트라팔루스아족(Centrapalinae) | Acilepis, Bechium, Brachythrix, Cabobanthus, Camchaya, Centauropsis, Dewildemania, Hilliardiella, Iodocephalopsis, Iodocephalus, Koyamasia, Msuata, Nothovernonia, Oliganthes, Phyllocephalum |
크레스타아족(Chrestinae) | Chresta, Glaziovianthus, Pithecoseris, Pycnocephalum |
트리코스피라아족(Trichospirinae) | Trichospira |
파코우리나아족(Pacourininae) | Pacourina |
핍토카르파아족(Piptocarphinae) | Critoniopsis, Cuatrecasanthus, Dasyandantha, Ekmania, Huberopappus, Joseanthus, Piptocarpha, Piptocoma |
헤스페로만니아아족(Hesperomanniinae) | Hesperomannia |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Acanthodesmos, Argyrovernonia, Crystallopollen, Eremosis, Gossweilera, Hololepis, Lychnocephalus, Pulicarioidea, Strophopappus, Yariguianthus |
다음은 2009년 펑크(Funk) 등과 2014년 파네로(Panero) 등의 연구에 기초한 치커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4]
[1]
웹사이트
187d. Asteraceae Martinov tribe Vernonieae Cassini
http://www.efloras.o[...]
많은 연구에서 베르노니아족 종의 약 80%가 베르노니아속으로 분류되지만, 해럴드 E. 로빈슨과 같은 학자들은 더 많은 수의 작은 속으로 나누기도 한다.[1]
3. 계통 분류
{| class="wikitable"
|-
! 치커리아과
|-
|
{| class="wikitable"
|-
! 치커리족
|-
|
{| class="wikitable"
|-
! 에레모탐누스족
|-
|
{| class="wikitable"
|-
! 아르크토티스족
|-
|
{| class="wikitable"
|-
! 플라티카르파족
|-
|
{| class="wikitable"
|-
! 리아붐족
|-
|모퀴니아족 베르노니아족
|}
|}
|}
|}
|}
|}
베르노니아족은 리아붐족과 자매 분류군으로 여겨진다.[1][2][3] 이 족은 남부 아프리카 또는 마다가스카르에서 기원하여 적어도 두 번의 서로 다른 사건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되었다.
많은 연구에서 이 족에 속하는 종의 약 80%가 베르노니아속에 분류된다. 해럴드 E. 로빈슨과 같은 다른 학자들은 이 족을 더 많은 수의 작은 속으로 나눈다.[1]
참조
[2]
논문
A phylogeny of the "evil tribe" (Vernonieae: Compositae) reveals Old/New World long distance dispersal: support from separate and combined congruent datasets (trnL-F, ndhF, ITS)
[3]
논문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https://www.biodiver[...]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2002-12-30
[4]
간행물
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 88: 203–204
1819
[5]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12(1): 224
1999
[6]
간행물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448 (450)
2009
[7]
간행물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448
2009
[8]
간행물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Botany 89: 8
1999
[9]
간행물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450–451
2009
[10]
간행물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313
1829
[11]
간행물
Genera Plantarum 2: 171
1873
[12]
간행물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451
2009
[13]
간행물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451
2009
[14]
간행물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31
1829
[15]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12(1): 216
1999
[16]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12(1): 222
1999
[17]
간행물
Linnaea 5: 135
1830
[18]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12(1): 223
1999
[19]
간행물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Botany 89: 11
1999
[20]
간행물
Linnaea 6: 690
1831
[21]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12(1): 218
1999
[22]
간행물
Phytologia 46: 426
1980
[23]
간행물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450
2009
[24]
서적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the Compositae
IAPT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