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광회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광회전은 α-아노머와 β-아노머와 같이 서로 다른 비선광도를 갖는 부분입체 이성질체가 수용액에서 서로 전환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순수한 α-아노머 또는 β-아노머의 수용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평형 상태에 도달하며, 이때 광학 활성이 변한다. 변광회전은 편광계를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으며, 각 아노머의 광학 활성 및 비율을 계산하는 데 활용된다. 글루코스와 갈락토스의 경우, α-아노머와 β-아노머의 선광도 차이와 평형 혼합물의 비선광도, 그리고 α와 β의 비율을 예시로 설명한다. α-아노머와 β-아노머의 상호 전환은 산-염기 촉매 반응 메커니즘을 통해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당류 - 케토스
    케토스는 분자 구조 내에 케톤기를 가진 단당류로, 탄소 원자 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광합성과 에너지 대사 등 생체 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알도스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 단당류 - 당화
    당화는 아밀라아제 효소나 산을 이용하여 다당류인 전분을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누룩이나 맥아를 사용하여 일본주, 소주, 맥주, 위스키, 엿, 감주 등 다양한 식품 및 주류 제조에 활용된다.
  • 탄수화물 화학 - 당단백질
    당단백질은 탄수화물이 단백질에 공유결합된 복합체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세포의 생물학적 과정에서 구조 유지, 물질 수송, 면역 반응, 세포 부착 및 인식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 분자이다.
  • 탄수화물 화학 - 당화
    당화는 아밀라아제 효소나 산을 이용하여 다당류인 전분을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누룩이나 맥아를 사용하여 일본주, 소주, 맥주, 위스키, 엿, 감주 등 다양한 식품 및 주류 제조에 활용된다.
  • 유기화학 - 유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은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과거 생기론으로 여겨졌으나 뵐러의 요소 합성으로 폐기되었고, 이후 다양한 유기 화합물 합성 및 고분자 개발에 기여했지만 환경 친화적 접근이 과제로 남아 있으며, 구조, 용도 등으로 분류되고 천연물, 합성 화합물 등으로 연구된다.
  • 유기화학 - 유기물
    유기물은 생물체 구성 성분으로서 생태계 내에서 영양분 순환,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개선, pH 조절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탄소, 산소, 수소, 질소 등으로 구성된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변광회전
일반 정보
명칭변광회전
정의아노머의 상호 전환으로 인한 카이랄성 물질의 광학 회전 변화

2. 측정

α-아노머와 β-아노머는 서로 부분입체 이성질체 관계이므로,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고유 광회전도를 갖는다. 순수한 α-아노머 또는 β-아노머의 수용액은 평면 편광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수용액의 광학 활성은 각 아노머의 광학 활성과 수용액 내에서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7]

편광계를 사용하여 시료의 광학 활성을 측정하고, 각 순수 아노머의 광학 활성을 알면, 두 아노머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글루코스

아노머선광도평형 혼합물 비율
α-D-글루코피라노스+112°36.4%
β-D-글루코피라노스+18.7°63.6%
평형 혼합물의 비선광도52.7°



;갈락토스

아노머선광도평형 혼합물 비율
α-D-갈락토피라노스+150.7°27%
β-D-갈락토피라노스+52.8°73%
평형 혼합물의 비선광도80.2°


2. 1. 아노머의 상호전환

α-아노머와 β-아노머는 서로 부분입체 이성질체 관계이며,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고유 광회전도를 갖는다. 순수한 α-아노머 수용액이나 액체 시료는 순수한 β-아노머와 반대 방향으로 평면 편광을 회전시킬 수 있다. 수용액에서 광학 활성은 각 아노머의 광학 활성과 수용액 내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β-D-글루코피라노스 수용액의 고유 광학 활성은 +18.7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β-D-글루코피라노스 일부가 α-D-글루코피라노스 (광학 활성 +112.2)로 변환되는 변광회전이 일어난다. 따라서 수용액의 광학 활성은 +18.7에서 +52.5 평형값으로 증가한다. 평형 혼합물은 대략 64%의 β-D-글루코피라노스와 36%의 α-D-글루코피라노스로 구성된다. α-아노머는 n-σ* 하이퍼컨주게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안정화 에너지를 가지는 아노머 효과 때문에 주된 형태 이성질체이다.[7]

α-D-글루코피라노스와 β-D-글루코피라노스 간의 상호전환


관찰된 시료의 광학 활성은 각 아노머의 광학 활성과 그 양을 가중 평균한 값이다. 따라서 각 순수 아노머의 광학 활성을 알면, 편광계로 시료의 광학 활성을 측정하여 두 아노머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2. 1. 1. 반응 메커니즘

α-아노머와 β-아노머의 상호전환 과정 반응 메커니즘


α-아노머와 β-아노머의 상호전환 과정은 산-염기 촉매 반응 메커니즘을 통해 진행된다.

3. 구체적인 예시

글루코스갈락토스는 대표적인 아노머의 예시이다.

아노머α-D-아노머 선광도β-D-아노머 선광도평형 혼합물 비선광도수중 평형 상태 비율 (α:β)
글루코스+112°+18.7°52.7°36.4:63.6
갈락토스+150.7°+52.8°80.2°27:73



글루코스와 갈락토스의 아노머

3. 1. 글루코스



α-D-글루코피라노스의 선광도는 +112°이고, β-D-글루코피라노스의 선광도는 +18.7°이며, 평형 혼합물의 비선광도는 +52.7°이다.[7] 수용액에서 평형 상태에 도달했을 때, α와 β의 비율은 36.4:63.6이다.

3. 2. 갈락토스

α-D-갈락토피라노스의 선광도는 +150.7°이고, β-D-갈락토피라노스의 선광도는 +52.8°이며, 평형 혼합물의 비선광도는 +80.2°이다. 수용액에서 평형 상태에 도달했을 때, α와 β의 비율은 27:73이다.

참조

[1] IUPAC mutarotation http://goldbook.iupa[...]
[2] 논문 The Development of Carbohydrate Chemistry and Biology
[3] 논문 Augustin-Pierre Dubrunfaut—An early sugar chemist
[4] IUPAC mutarotation http://goldbook.iupa[...]
[5] 저널 The Development of Carbohydrate Chemistry and Biology
[6] 논문 Augustin-Pierre Dubrunfaut—An early sugar chemist http://pubs.acs.org/[...]
[7] 서적 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