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령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령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보령군 전 지역을 관할했던 선거구이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서천군·보령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임석규, 김영선, 이원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령시의 정치 - 부여군·서천군·보령군
    부여군·서천군·보령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88년 부여군, 서천군, 대천시·보령군으로 재편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보령시의 정치 - 보령시·서천군
    충청남도 보령시와 서천군을 관할하는 보령시·서천군 선거구는 2000년 신설되었으며, 보수세가 강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층도 있어 선거마다 접전이 벌어지는 지역이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보령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보령군
의회국회
큰 지도충청남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서천군·보령군
의원수1인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보령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서천군·보령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1948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1950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1954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1958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1960년)에서 충청남도 보령군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충청남도 보령군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임석규대동청년단12,22631.91
김상억무소속8,59422.43
이항규무소속7,19718.78
최영재조선민족청년단4,55111.88
최용한대한독립촉성국민회3,1208.14
심복진무소속1,7884.66
구연걸무소속8312.16
합계38,307100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영선무소속6,93215.87%
이풍구무소속4,99811.44%
김재일무소속4,38010.02%
신용균무소속4,3089.86%
김기만무소속4,2559.74%
백남진대한국민당3,7608.60%
이상률무소속3,2697.48%
김윤배무소속3,0316.93%
이덕희무소속2,7366.26%
박창화무소속2,4985.71%
최익무소속1,2082.76%
유수찬무소속1,0732.45%
윤호무소속8431.93%
김승원민주국민당3860.88%
합계
43,677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청남도 보령군 선거구의 결과이다.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 김영선 후보가 51.12%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영선자유당21,96351.12
김상억자유당17,04639.67
백기홍무소속2,3765.53
구연걸무소속1,5743.66
합계42,959100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보령군 선거구에서는 자유당 이원장 후보가 58.3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당 김영선 후보는 38.33%로 2위, 무소속 백기홍 후보는 3.32%, 무소속 백남진 후보는 0%를 득표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원장자유당26,76758.33
김영선민주당17,59038.33
백기홍무소속1,5253.32
백남진무소속00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보령군 선거구에서 민주당 김영선 후보가 67.4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영익 후보는 32.56%를 득표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영선민주당32,93067.43
김영익무소속15,90432.56
합계48,834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