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 콘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구 콘솔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시스템 오류 발생 시, 명령 줄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을 복구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이다. 다양한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렉터리 관리, 파일 조작, 부팅 파일 복구, 디스크 검사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윈도우 설치 CD 또는 플로피 디스크로 부팅하여 하드 디스크 복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파일 시스템 접근에 제한이 있으며,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는 사용할 수 없다. 복구 콘솔은 윈도우 설치 디스크로 부팅하거나 하드 디스크에 미리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팅 불가 상황에서 운영체제 재설치 전에 시도해 볼 수 있는 마지막 수단으로 고려된다.
복구 콘솔은 간단한 명령 줄 인터프리터(CLI)를 가지고 있다. 사용 가능한 많은 명령어는
복구 콘솔은 윈도우 운영체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시스템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관리자 권한을 가진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사용할 수 있다.[4]
2. 기능
cmd.exe
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와 매우 유사하다. 예를 들어 attrib
, copy
, del
등이 있다.
복구 콘솔에서 관리자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다.bootcfg
명령어를 사용하여 부트 파일을 복구할 수 있다.fixmbr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새로운 마스터 부트 레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fixboot
명령어를 사용하여 볼륨에 새로운 볼륨 부트 레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chkdsk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복구 콘솔은 고급 지식을 가진 사용자만 사용하도록 주의하고 있으며[4], 사용법을 잘못하면 시스템을 완전히 파괴하여 복구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복구 콘솔 사용 시에는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 (대표적으로는 내장 계정인 "Administrator")의 비밀번호 입력을 필요로 한다. Windows 설치 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에서 부팅할 수 있으므로, 하드 디스크에서 Windows를 부팅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하드 디스크 복구 작업 또는 CD-ROM이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파일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서비스의 활성화와 비활성화 등도 유효한 복구 수단이 될 수 있다.
사용하는 명령어의 대부분은 명령 프롬프트와 유사하기 때문에, 사용 시에는 MS-DOS를 사용하는 지식이 요구된다. 또한, Windows 2000에서는 명령줄 외에 부트 로더 (NTLDR) 및 Windows의 시스템 파일을 자동으로 복구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2. 1. 제한 사항
복구 콘솔의 파일 시스템 접근은 보안을 위해 매우 제한된다. 관리자는 부팅 볼륨을 제외한 모든 볼륨에 대해 읽기 전용 권한만 가지며, 부팅 볼륨에서도 루트 디렉토리와 Windows 시스템 디렉토리(예: \WINNT)에만 접근할 수 있다. 보안 정책을 변경하여 전체 파일 시스템에 대한 읽기/쓰기 권한을 활성화할 수 있지만, 이는 권장되지 않는다.
3. 사용 방법
복구 콘솔은 다음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3. 1. 명령어
복구 콘솔에서는 `cmd.exe`와 유사한 다양한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사용 가능한 명령어 목록의 일부이다.
명령어 | 설명 |
---|---|
attrib | 파일 속성 변경 |
batch | 텍스트 파일에 지정된 명령어들을 실행 |
bootcfg | 부팅 구성 및 복구 (윈도우 XP에 도입) |
cd 또는 chdir | 디렉토리 변경 |
chkdsk | 디스크 검사 및 복구 |
cls | 화면 지우기 |
copy | 파일 복사 |
del 또는 delete | 파일 삭제 |
dir | 디렉토리 내용 표시 |
disable | 서비스 또는 장치 드라이버 비활성화 |
diskpart | 디스크 파티션 관리 |
enable | 서비스 또는 장치 드라이버 활성화 |
exit | 복구 콘솔 종료 |
expand | 압축 파일 풀기 |
fixboot | 부트 섹터 복구 |
fixmbr | 마스터 부트 레코드 복구 |
format | 디스크 포맷 |
help | 명령어 도움말 표시 |
listsvc | 사용 가능한 서비스 및 드라이버 목록 표시 |
logon | 복구 콘솔 로그인 |
map | 드라이브 문자 매핑 정보 표시 |
md 또는 mkdir | 디렉토리 생성 |
more 또는 type | 텍스트 파일 내용 표시 |
rd 또는 rmdir | 디렉토리 삭제 |
ren 또는 rename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 변경 |
set | 환경 변수 설정 (윈도우 XP에 도입) |
systemroot | 현재 시스템 루트 디렉토리로 설정 |
`help` 명령어를 통해 전체 명령어 목록과 간략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1][2]
3. 2. 실행 방법
복구 콘솔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복구 콘솔 사용 시에는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일반적으로 "Administrator")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한다.[4]- 하드 디스크에 설치된, 문제를 일으킨 Windows와 동일한 버전의 Windows 설치 광 디스크(CD 또는 DVD)에서 시스템을 시작한다. 설치 디스크에서 시작할 때에는 컴퓨터의 BIOS 설정에서 광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의 부팅이 명시적으로 허용되어 있어야 한다.
- 하드 디스크에서 부팅할 수 있도록 미리 하드 디스크에 복구 콘솔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작업을 수행하면 시스템 부팅 시 사용 가능한 운영 체제 목록에 복구 콘솔 선택 항목이 추가된다. 단, 이 방법을 이용하려면 Windows 설치 디스크 또는 이에 상응하는 파일을 준비해야 하며, 여기에 포함된 `winnt32.exe`를 `cmdcons` 옵션을 사용하여 실행하여 복구 콘솔 사용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하드 디스크에 설치된다.
- 예시: x86 버전의 Windows 설치 디스크가 삽입된 드라이브 문자를 D라고 가정하면, 명령 프롬프트에 입력해야 하는 전체 경로는 다음과 같다.
: `D:\i386\winnt32.exe /cmdcons`
- 복구 콘솔을 시작하여, 명령 프롬프트에서 `help`라는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목록과 사용 목적 정도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운영 체제 목록조차 표시되지 않는 장애의 경우 광 디스크에서 부팅을 시도한다.
4. 주의 사항
마이크로소프트는 복구 콘솔은 고급 지식을 가진 사용자만 사용하도록 주의하고 있으며[4], 사용법을 잘못하면 시스템을 완전히 파괴하여 복구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복구 콘솔을 사용해도 부팅할 수 없게 된 Windows 시스템을 반드시 복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 문헌에 따르면 우선 안전 모드 등의 수단으로 복구 방법을 시도해야 한다. 만약 그것이 불가능한 상태라면, 운영 체제의 재설치를 각오하고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사전에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중요한 데이터를 복구해 두는 것이 더 안전하다.
참조
[1]
웹사이트
Description of the Windows 2000 Recovery Console
http://support.micro[...]
2011-11-04
[2]
웹사이트
Description of the Windows XP Recovery Console
http://support.micro[...]
2014-09-08
[3]
웹사이트
Primer: Creating A Windows XP Recovery Console CD Image
http://www.ehsco.com[...]
[4]
TechNet
回復コンソールの概要
http://www.microsoft[...]
マイクロソフト
2005-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