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사회정보포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사회정보포럼은 사회 현안 논의, 정책 대안 제시, 회원 간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이다. 정기적인 세미나와 토론회를 개최하고,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며, 사회적 논의를 이끌어내는 활동을 한다. 2003년 부산청년포럼으로 창립되어, 한국PR전문가포럼, 한국사회정책포럼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 사회단체로 재등록 후, 미얀마 민주화 투쟁 지지, 튀르키예 지진, 우크라이나 인도적 지원 캠페인,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활동 등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라인 비영리 단체 - 칸 아카데미
    칸 아카데미는 살만 칸이 2008년에 설립한 비영리 교육 기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교육용 비디오와 연습 문제, 학습 관리 도구 등을 무료로 제공하며 숙달 학습 및 거꾸로 학습을 지원한다.
  • 온라인 비영리 단체 - PhET 인터랙티브 시뮬레이션스
    PhET 인터랙티브 시뮬레이션스는 칼 와이먼 교수가 설립한 과학 및 수학 교육용 인터랙티브 시뮬레이션 개발 프로젝트이며, 다양한 분야의 시뮬레이션을 무료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개념 이해와 과학적 사고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 대한민국의 비영리 단체 - 대한적십자사
    대한적십자사는 1905년 대한제국 칙령으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지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으로 재건, 1949년 재조직되었으며, 재난구호, 혈액사업, 사회봉사, 국제협력, 남북 적십자 회담 등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인도주의 단체이다.
  • 대한민국의 비영리 단체 - 반크
    반크는 1999년 박기태 단장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민간 외교 단체로, 초기 사이버 펜팔을 통해 한국을 알리는 활동을 시작하여 일본 역사 왜곡 대응, 독도 및 동해 관련 국제 홍보, 한국 관련 오류 수정 및 자료 제작·배포 등의 활동을 전개하며 긍정적 평가와 함께 논란도 존재한다.
  • 2003년 설립된 단체 - USAG 대구
    USAG 대구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미국 육군 주둔지로, 캠프 헨리, 워커, 조지, 캐럴 등으로 구성되어 대한민국 남부 지역의 미군, 카투사, 민간인을 지원하며 한미 동맹 강화 및 지역 사회와의 협력에 기여한다.
  • 2003년 설립된 단체 - 천안신대초등학교
    천안신대초등학교는 2003년 설립 인가를 받아 2004년 개교했으며, 2005년 첫 졸업생을 배출하고 2012년 36학급으로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부산사회정보포럼
기본 정보
부산사회정보포럼 심볼
부산사회정보포럼 심볼
명칭부산사회정보포럼
영문 명칭Busan Social Information Forum
약칭BSIF
설립일2003년 3월 1일
유형권리능력 없는 사단 (임의단체)
목적부산 중심의 타 지역 간 교류 및 발전
활동 지역정보 교류
회원수약 275명
사용 언어한국어
사무총장(정보 없음)
회장하승무
관련 인물고문 이영해 박사 외
설립자하승무
웹사이트BSIF 공식 사이트
이전 명칭부산청년포럼
한국PR전문가포럼
한국사회정책포럼
기타명예회장 이영해 전포련 상임대표
위치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2. 사업

부산사회정보포럼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및 비전문가 간 온라인 네트워킹을 구축하여 부산 지역의 건전한 정보 소통과 계층 간 상호 교류를 도모하고, 각종 사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한다.[5][6]

2003년 4월 11일부터 전국포럼연합[4]의 회원 단체로 참여하여 2016년 해당 연합이 해산될 때까지 부산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포럼 활동을 전개했다. 창립 이후 전국포럼연합과 함께 160여 회 이상의 정기 세미나 및 토론회를 개최했으며, 연합 해산 이후에는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건전한 포럼 문화 확산에 힘쓰고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세미나 및 토론회 개최: 사회 각 분야의 현안을 논의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기적인 세미나, 토론회,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 회원 상호 간 친목 및 교류: 회원 간의 네트워킹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교류 및 비즈니스 활동을 지원한다.
  • 정책 대안 도출 및 확산: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대안을 연구하고 제시하며, 이를 사회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 국가 중요 사안 의견 발표: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안에 대해 포럼의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사회적 논의를 이끌어낸다.
  • 지역 및 국가 발전 기여: 부산 지역 사회 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 취업 정보 제공: 회원 및 지역 주민들에게 유용한 취업 정보를 제공하고 취업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3. 연혁

2003년 4월 11일, 전국에 흩어져 있는 33개 지역포럼의 연합체인 전국포럼연합[4][2][3]의 회원 단체로 사단법인 부산포럼과 함께 참여하여 2016년 전국포럼연합이 해산될 때까지 부산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포럼 활동에 참여했다. 이후 전국 각지의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 및 비전문가들 간의 온라인 네트워킹을 구축하여 부산 지역의 건전한 정보 소통을 위해 활동하고 있으며, 정보 및 인적 교류를 통해 계층 간 상호 교류 및 각종 사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5][6] 창립 이후 전국포럼연합과 함께 정기 세미나 및 토론회를 160여 회 이상 개최했으며, 전국포럼연합 해산 이후에는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타 지역 간 건전한 포럼 문화 확산에 힘쓰고 있다.


  • 2003년 3월 1일: 부산청년포럼 창립
  • 2003년 4월 11일: 전국포럼연합 창립 발기 및 회원 단체로 참여 (하승무 대표 전포련 부대표 겸 제1기 홍보위원장 선임)
  • 2006년 4월 1일: 하승무 대표, 전국포럼연합 및 21세기분당포럼 이영해 상임대표로부터 공로패 수상
  • 2007년 6월 21일: 부산청년포럼에서 '한국PR전문가포럼(KPRF)'으로 단체명 변경
  • 2015년 6월 10일: 한국PR전문가포럼(KPRF)에서 '한국사회정책포럼'으로 단체명 변경
  • 2017년 9월 14일: 하승무 대표 청와대 예방 (대한민국 병역명문가 선정)
  • 2020년 2월 24일: 전국포럼연합 해체에 따라 임의단체에서 사회단체로 재등록 신청, 한국사회정책포럼에서 ‘부산사회정보포럼’으로 단체명 변경 및 정관 개정
  • 2020년 3월 6일: 부산사회정보포럼 비영리 사회단체 재등록 완료
  • 2021년 3월 5일: 미얀마 민주화투쟁 지지 선언
  • 2021년 12월 1일: 튀르키예 지진 사태 인도적 지원 캠페인
  • 2022년 3월 2일: 우크라이나 인도적 지원 캠페인
  • 2022년 3월 15일: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 범시민 홍보 활동 개시 및 2030부산월드엑스포범시민유치위원회 단체회원 가입

4. 활동

2004년 4월 11일, 전국에 흩어져 있는 33개의 지역 포럼 연합체인 전국 포럼 연합[2][3]의 멤버 단체로 사단법인 부산 포럼과 함께 참여하였다. 2016년 전국 포럼 연합이 해산될 때까지 전국적인 포럼 활동에 참여했다.

이후 부산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와 비전문가 간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적 교류를 활성화하고 계층 간 상호 교류를 도모하며, 각종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데 힘쓰고 있다.

4. 1. 사회 공헌 활동

부산사회정보포럼은 국내외 현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미얀마 민주화 운동 지지 선언 (2021년): 2021년 3월 5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군부 쿠데타에 반대하며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미얀마 국민들의 투쟁을 지지하는 공식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는 국제 사회의 민주주의 가치 수호에 동참하는 의미를 가진다.
  • 튀르키예 지진 피해 지원 (2021년): 2021년 12월 1일,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인도적 지원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국제적인 재난 구호 활동에 참여하였다.
  • 우크라이나 인도적 지원 (2022년): 2022년 3월 2일, 러시아의 침공으로 인해 인도적 위기에 처한 우크라이나 국민들을 지원하기 위한 캠페인을 전개하였다. 전쟁 피해자들을 위한 구호 활동에 힘을 보탰다.

4. 2.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활동

2022년 3월 15일, 부산사회정보포럼은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를 위한 범시민 홍보 활동을 시작했다. 같은 날, 2030부산월드엑스포범시민유치위원회에 단체 회원으로 가입하여 엑스포 유치 활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cafe.naver.co[...] 2020-03-21
[2] 뉴스 鄭雲燦元首相、全国フォーラム連合招待講演会で講演
[3] 뉴스 全国フォーラム連合、均衡と分権に 支障あっては
[4] 뉴스 정운찬 전 총리, 전국포럼연합 초청강연회서 강연 https://news.v.daum.[...] 전자신문
[5] 뉴스 전국포럼연합, 균형과 분권에 차질 없어야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6] 웹사이트 부산사회정보포럼 단체설립 목적 https://m.cafe.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