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천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부천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였다. 1963년 부천군 일부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됨에 따라 영등포구 갑 선거구와 시흥군·부천군·옹진군 선거구로 분리되어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유선, 박제환, 장경근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천시의 정치 - 부천시 원미구 갑
부천시 원미구 갑은 1996년 신설되어 2016년까지 총 6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선거구로, 안동선, 김기석, 임해규, 김경협 등이 역대 당선자이다. - 부천시의 정치 -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는 1993년 신설되어 1996년부터 2016년까지 운영되었으며 김문수, 차명진, 김상희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 보수와 진보정당 간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였으나 2016년 구 폐지로 부천시 병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부천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연도 | 1948 |
폐지 | 1963 |
이전 선거구 | 해당 없음 |
이후 선거구 | 시흥군·부천군·옹진군 영등포구 갑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천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1월, 부천군 오정면 일부(오곡리·오쇠리)와 소사읍 일부(항리·온수리·궁리·천왕리·오류리·개봉리·고척리) 지역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다. 이에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해당 지역이 영등포구 갑 선거구에 편입되었으며 나머지 부천군 지역은 시흥군, 옹진군과 함께 시흥군·부천군·옹진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이유선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유선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4,238 | 44.79% |
전종남 | 무소속 | 9,052 | 28.47% |
김순호 | 한국민주당 | 3,119 | 9.81% |
남경우 | 무소속 | 2,857 | 8.98% |
임윤배 | 무소속 | 1,464 | 4.60% |
홍성철 | 무소속 | 1,058 | 3.32% |
김현호 | 무소속 | 0 | 0% |
3.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박제환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박제환 | 무소속 | 8,804 | 27.72% | |
김종남 | 무소속 | 8,000 | 25.19% | |
이유선 | 대한국민당 | 7,500 | 23.61% | |
김수천 | 무소속 | 4,150 | 13.06% | |
장최근 | 무소속 | 1,500 | 4.72% | |
석보경 | 무소속 | 1,200 | 3.77% | |
박송 | 무소속 | 600 | 1.88% | |
합계 | 31,754 |
3.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장경근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장경근 | 자유당 | 12,992 | 35.27% |
박제환 | 무소속 | 10,927 | 29.66% |
김종남 | 무소속 | 6,472 | 17.57% |
이유선 | 무소속 | 3,918 | 10.63% |
김종벽 | 무소속 | 2,525 | 6.85% |
합계 | 36,834 | 100% |
3.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장경근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3.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한국어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박제환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제환 | 무소속 | 11,092 | 23.10 |
송석홍 | 민주당 | 8,593 | 17.90 |
박승희 | 민주당 | 5,820 | 12.12 |
이계무 | 무소속 | 3,949 | 8.22 |
장석삼 | 무소속 | 3,713 | 7.73 |
김일청 | 무소속 | 3,423 | 7.13 |
김연성 | 무소속 | 3,180 | 6.62 |
배종식 | 무소속 | 1,414 | 2.94 |
김호영 | 무소속 | 1,238 | 2.57 |
김기태 | 무소속 | 1,234 | 2.57 |
심상영 | 무소속 | 1,197 | 2.49 |
조종규 | 무소속 | 801 | 1.66 |
엄기옥 | 무소속 | 723 | 1.50 |
김선적 | 무소속 | 671 | 1.39 |
김헌경 | 무소속 | 481 | 1.00 |
김기수 | 무소속 | 474 | 0.98 |
합계 | 48,003 | 100.00 |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이유선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4,238 | 44.79% |
전종남 | 무소속 | 9,052 | 28.47% | |
김순호 | 한국민주당 | 3,119 | 9.81% | |
남경우 | 무소속 | 2,857 | 8.98% | |
임윤배 | 무소속 | 1,464 | 4.60% | |
홍성철 | 무소속 | 1,058 | 3.32% | |
김현호 | 무소속 | 0 | 0% | |
합계 | 31,788 | |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박제환 | 무소속 | 8,804 | 27.72% |
김종남 | 무소속 | 8,000 | 25.19% | |
이유선 | 대한국민당 | 7,500 | 23.61% | |
김수천 | 무소속 | 4,150 | 13.06% | |
장최근 | 무소속 | 1,500 | 4.72% | |
석보경 | 무소속 | 1,200 | 3.77% | |
박송 | 무소속 | 600 | 1.88% | |
합계 | 31,754 | |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장경근 | 자유당 | 12,992 | 35.27% |
박제환 | 무소속 | 10,927 | 29.66% | |
김종남 | 무소속 | 6,472 | 17.57% | |
이유선 | 무소속 | 3,918 | 10.63% | |
김종벽 | 무소속 | 2,525 | 6.85% | |
합계 | 36,834 | |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장경근 | 자유당 | 29,393 | 67.68% |
박제환 | 무소속 | 7,794 | 17.94% | |
김용성 | 민주당 | 6,236 | 14.36% | |
합계 | 43,423 | |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박제환 | 무소속 | 11,092 | 23.10% |
송석홍 | 민주당 | 8,593 | 17.90% | |
박승희 | 민주당 | 5,820 | 12.12% | |
이계무 | 무소속 | 3,949 | 8.22% | |
장석삼 | 무소속 | 3,713 | 7.73% | |
김일청 | 무소속 | 3,423 | 7.13% | |
김연성 | 무소속 | 3,180 | 6.62% | |
배종식 | 무소속 | 1,414 | 2.94% | |
김호영 | 무소속 | 1,238 | 2.57% | |
김기태 | 무소속 | 1,234 | 2.57% | |
심상영 | 무소속 | 1,197 | 2.49% | |
조종규 | 무소속 | 801 | 1.66% | |
엄기옥 | 무소속 | 723 | 1.50% | |
김선적 | 무소속 | 671 | 1.39% | |
김헌경 | 무소속 | 481 | 1.00% | |
김기수 | 무소속 | 474 | 0.98% | |
합계 | 48,003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