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스트랩 (금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트스트랩(Bootstrapping)은 금융에서 수익률 곡선을 구성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시장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투입 증권의 선택이 중요하며, 다양한 쿠폰 빈도를 가진 투입 증권의 선택도 중요하다. 부트스트래핑은 제로 쿠폰 곡선을 보정하여 입력 가격을 반환하도록 하며, 각 입력 상품에 대해 만기가 증가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최근에는 2007-2008년 금융 위기 이후 다중 곡선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스왑 가치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융 모형 - 블랙-숄즈 모형
블랙-숄즈 모형은 피셔 블랙과 마이런 숄스가 개발한 옵션 가격 계산 모형으로, 자산 가격 변동의 확률적 분석을 통해 옵션 가격 결정에 기여하며 파생 상품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금융 모형 - 블랙-리터만 모형
블랙-리터만 모형은 투자자가 시장에 대한 주관적인 견해와 객관적인 시장 데이터를 결합하여 최적의 자산 배분 전략을 수립하도록 돕는 포트폴리오 이론이다. - 금융경제학 - 서브프라임 모기지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신용등급이 낮은 차입자에게 제공되는 고금리 주택담보대출로, 주택 가격 상승 둔화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여 2007년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촉발한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낸 사례이다. - 금융경제학 - 수수료
수수료는 거래나 서비스 이용의 대가로 지불되는 금액으로, 법률, 회계,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방식과 규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비자 보호와 투명성 강화를 위한 체계 개선 및 법규 제정 움직임이 있다. - 이자율 - 금융정책위원회
금융정책위원회(MPC)는 영국의 통화 정책을 책임지는 기구로, 물가 안정을 목표로 연 8회 회의를 통해 금리 결정 등 통화 정책을 결정한다. - 이자율 - 재할인율
재할인율은 중앙은행이 시중 은행에 자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로서, 통화 공급량 조절, 인플레이션 억제, 환율 안정 등 국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정책 수단이다.
| 부트스트랩 (금융) | |
|---|---|
| 부트스트래핑 (금융) | |
![]() | |
| 개요 | |
| 유형 | 고정 소득 |
| 분야 | 금융 |
| 하위 분야 | 수익률 곡선 구축 |
| 상세 정보 | |
| 목적 | 수익률 곡선 구축 |
| 방법 | 내삽 수학 최적화 |
| 관련 주제 | |
| 관련 주제 | 고정 소득 가격 결정 수익률 곡선 채권 가격 결정 금리 파생 상품 가격 결정 고정 소득 속성 |
| 추가 정보 | |
| 다른 이름 | 스트립핑 금리 스트립핑 |
2. 방법론
부트스트래핑 방법론은 시장에서 관찰되는 금융 상품(주로 채권)의 가격과 수익률 정보를 이용하여 이론적인 무이표채 수익률 곡선을 추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시장에는 거래되는 상품의 종류나 만기가 제한적이고 각 상품의 특성(예: 쿠폰 지급 방식)이 다양하여 모든 만기에 대한 금리 정보를 직접 얻기 어렵기 때문에[2], 부트스트래핑 기법이 사용된다.
이 방법론은 일반적으로 관찰된 시장 데이터와 일치하면서도 이론적으로 차익 거래가 불가능한 수익률 곡선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특정 가정(예: 보간법)을 사용하거나, 전진 대입법과 같은 수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단계적으로 금리를 계산해 나간다. 구체적인 계산 절차와 알고리즘, 그리고 보간법의 선택 등 세부적인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일반적인 방법론
부트스트래핑은 시장에서 관찰되는 채권(주로 이표채)의 가격과 수익률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론적인 무이표채(zero-coupon bond)의 수익률 곡선을 추정하는 방법론이다. 시장에는 거래되는 채권의 종류와 만기가 제한적이고, 각 채권의 쿠폰 지급 방식도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만기에 대한 금리 정보를 직접 얻기 어렵다.[2] 따라서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통해 부족한 데이터를 보완하고 일관된 수익률 곡선을 구축한다.이 과정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만기의 금리를 추정하기 위해 특정 가정, 예를 들어 보간법의 사용이 필요하다.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구축된 수익률 곡선은 입력된 채권 가격과 일치하도록 만들어지며, 이는 차익 거래가 불가능한 이론적 가격을 산출하는 데 기반이 된다. 또한, 모든 구간에서의 선도 금리가 양수가 되도록 하고, 곡선의 매끄러움(smoothness)을 확보하는 것[3][4] 역시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구체적인 계산 과정과 알고리즘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1. 부트스트래핑 (Bootstrapping)
| 분석 예시: |
부트스트래핑은 일반적으로 수익률 곡선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이다. 수익률 곡선을 그리는 데 필요한 데이터 포인트는 시장에 존재하는 금융 상품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부족한 경우가 많다.[2] 특히, 투입되는 증권들이 다양한 쿠폰 지급 빈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떤 증권을 선택하는지가 중요하다. 따라서 추가적인 외부 정보 없이도 모든 만기의 현물 금리나 선도 금리를 평가할 수 있도록, 쿠폰이 없는 가상의 무이표채(zero-coupon bond) 수익률 곡선을 구성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 과정에서는 특정 가정, 예를 들어 보간법 사용이 항상 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인 부트스트래핑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 수익률을 계산할 대상이 되는 금융 상품 집합(주로 쿠폰이 있는 채권)을 정의한다.
# 각 상품의 만기 시점까지의 할인 계수를 도출한다. 이는 해당 채권의 만기수익률과 관련된다.
# 이 할인 계수들을 이용하여, 입력된 채권들의 시장 가격과 일치하는 무이표채 수익률 곡선을 '부트스트랩' 방식으로 구축한다. 즉, 곡선을 보정하여 입력 가격을 정확히 반환하도록 만든다.
세 번째 단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수익률 곡선 구성 방법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각 입력 상품에 대해 만기가 짧은 순서부터 긴 순서로 진행한다.
- 가능하다면, 제로 금리(무이표채 금리)를 분석적 방법으로 직접 계산한다(오른쪽 예시 참조).
- 분석적 계산이 어렵다면, 해당 상품의 시장 가격이 곡선을 통해 정확하게 계산되도록 반복적인 방법으로 금리를 찾는다(초기 추정치를 사용). 이때 해당 상품의 만기에 해당하는 금리를 계산하며, 이전에 계산된 금리와 현재 계산된 금리 사이의 값들은 보간법을 사용하여 추정한다.
- 금리 계산이 완료되면 해당 금리를 저장하고 다음 만기가 긴 상품으로 넘어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산된 수익률 곡선은 입력으로 사용된 채권들의 시장 가격과 정확히 일치하므로, 이론적으로 차익 거래 기회가 없는 곡선이 된다. (고정 수입 증권의 합리적 가격 결정 및 채권 평가의 차익 거래 없는 가격 결정 참조). 일부 분석가들은 시장 가격과 정확히 일치시키는 대신, 최적적합(best-fit) 방식으로 곡선을 구성하기도 하며, 이때 넬슨-지겔 모형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어떤 접근 방식을 사용하든, 구축된 곡선은 또 다른 의미에서도 차익 거래가 없어야 한다. 즉, 모든 선도 금리가 양수(+)여야 한다. 정확한 일치 또는 최적적합을 목표로 하는 더 정교한 곡선 구성 방법들은 추가적으로 곡선의 매끄러움(smoothness)을 목표로 하기도 한다.[3][4] 이 과정에서 직접 계산되지 않은 금리들을 추정하는 보간법의 선택이 중요해진다.
2. 1. 2. 보간법 (Interpolation)
수익률 곡선에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포인트가 부족하기 때문에(시장에 고정된 수의 상품만 존재) 투입 증권의 선택이 중요하다. 더욱이 투입 증권이 다양한 쿠폰 빈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입 증권의 선택은 더욱 중요해진다. 추가적인 외부 정보 없이 선물 또는 현물 관계없이 모든 수익률을 평가할 수 있는 무쿠폰 상품의 곡선을 구성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2] 특정 가정, 예를 들어 보간법이 항상 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일반적인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 수익률을 창출하는 상품의 집합을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쿠폰이 있는 채권이 된다.
# 해당 기간에 대한 할인 계수를 도출한다. 이는 채권의 내부 수익률이다.
# 제로 쿠폰 곡선을 '부트스트랩'하여 이 곡선을 보정하여 입력 가격을 반환하도록 한다.
세 번째 단계에 대한 일반적인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시장 데이터에서 전체 수익률 곡선 구성을 참조한다.
각 입력 상품에 대해 만기가 증가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 가능하면 제로 금리에 대해 분석적으로 풀이한다.
- 그렇지 않은 경우, 곡선을 사용하여 계산할 때 해당 상품의 가격이 정확하게 출력되도록 반복적으로 풀이한다(초기 근사치 사용). 이 상품의 만기에 해당하는 금리가 풀이되며, 이 날짜와 이전에 풀이된 상품의 만기 사이의 금리는 보간된다.
- 풀이가 완료되면 이러한 금리를 저장하고 다음 상품으로 진행한다.
여기에 설명된 대로 풀이되면 곡선은 선택된 가격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의미에서 차익 거래가 없는 곡선이 된다. 고정 소득 증권의 합리적 가격 책정 및 채권 평가의 차익 거래 없는 가격 책정 접근 방식을 참조한다. 일부 분석가들은 정확한 일치 대신 최적합을 산출하도록 곡선을 구성하며, Nelson-Siegel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접근 방식에 관계없이, 두 번째 의미에서 곡선이 차익 거래가 없어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 있다. 즉, 모든 선도 금리가 양수여야 한다. 정확한 일치 또는 최적합을 목표로 하는 곡선 구성에 대한 더 정교한 방법은 추가적으로 곡선 "매끄러움"을 출력으로 목표로 하며,[3][4] 직접 지정되지 않은 금리에 대한 보간법 선택이 중요해진다.
2. 2. 전진 대입법 (Forward substitution)
전진 대입법은 부트스트랩 과정의 각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법론이다. 이는 특정 만기의 무이표채(zero-coupon bond) 수익률, 즉 현물 금리를 순차적으로 도출하는 데 사용된다. 무이표채는 만기 이전에 중간 이자 지급 없이, 모든 이자와 원금이 만기일에 한꺼번에 지급되는 채권을 말한다.이 방법은 채권의 이론적 가격이 미래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 합계와 같다는 기본적인 원리에 기반한다. 특히, 발행 시점에 액면가로 가격이 결정되는 채권(예: 금리 스왑)의 경우, 미래 현금 흐름과 원금의 현재 가치 총합은 1(또는 100%)이 되어야 한다.
이를 이용하여 n번째 기간의 할인 계수()는 이미 계산된 이전 기간(1부터 n-1까지)의 할인 계수들을 바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활용하여 다음 단계의 미지수인 특정 기간의 할인 계수를 구하는 방식이다.
n년 만기 채권의 가격 결정 공식을 할인 계수 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전진 대입 공식을 얻는다.
:
여기서 을 구하기 위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각 변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 n년 만기 채권의 쿠폰 금리
- : 기간 의 길이, 즉 일수 계산 관행에 따른 연 단위 기간(year fraction)
- : i번째 기간의 할인 계수
- : 전체 기간(n년)의 할인 계수. 이 값을 이용하여 n년 만기 제로 쿠폰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3. 최근 동향 (한국의 관점)
2007-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스왑 가치 평가 방식에 변화가 나타났다. 과거에는 "자가 할인" 접근 방식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다중 곡선 프레임워크" 및 담보를 고려하여 가치를 결정한다. 이 새로운 프레임워크의 핵심은 예상 현금 흐름을 할인할 때 리보 금리가 아닌 OIS 기반 곡선의 익일물 금리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3. 1. 다중 곡선 프레임워크
2007-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스왑 가치는 일반적으로 "다중 곡선 및 담보" 프레임워크에 따라 결정된다. 반면에 이전 방식은 "자가 할인" 접근 방식이다.새로운 프레임워크에서 리보(Libor) 기반 스왑을 평가할 때:
- (i) 예상 현금 흐름은 리보 곡선에서 파생된다.
- (ii) 그러나 이러한 현금 흐름은 리보 금리가 아닌 OIS 기반 곡선의 익일물 금리로 할인된다.
결과적으로 실제로 곡선은 개별적으로 구축되지 않고 "세트"로 구축되며, 이에 따라:
- (i) ''각'' 변동 금리 리보 테너에 대해 "예측 곡선"이 구성된다.
- (ii) 할인은 동시에 구성되어야 하는 단일 공통 OIS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화의 이유는 금융 위기 이후 익일물 금리가 대부분의 CSA에 따라 상대방이 게시한 담보(변동 마진)에 대해 지불되는 금리이기 때문이다. 익일물 금리의 선물 가치는 익일물 금리 스왑 곡선에서 읽을 수 있다. "OIS 할인"은 이제 표준이며 때로는 "CSA 할인"이라고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파생 상품 가격 결정 및 가치 평가 및 가격 결정을 참조하라.
참조
[1]
웹사이트
Bootstrapping "What Is Bootstrapping?"
http://www.investope[...]
Investopedia staff
2023
[2]
논문
A Practical Guide to Swap Curve Construction
http://www.bankofcan[...]
Bank of Canada
2000
[3]
간행물
Fitting Yield Curves and Forward Rate Curves With Maximum Smoothness
https://web.archive.[...]
The Journal of Fixed Income
1994
[4]
간행물
Methods for Constructing a Yield Curve
http://www.math.ku.d[...]
Wilmott Magazine
20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