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의 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질의 부통령은 대통령과 함께 단일 선거 연대로 선출되며, 임기는 4년이고 연임은 2선까지 가능하다. 부통령은 대통령 유고 시 그 직무를 승계하며, 대통령과 동일한 입후보 자격을 갖는다. 1889년 브라질 공화국 선포 이후, 8명의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부통령은 플라나우투 궁전의 별관에서 근무하며, 공식 관저는 자부루 궁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브라질의 부통령 | |
---|---|
직위 개요 | |
직위 명칭 | 브라질 연방 공화국 부통령 |
원어 명칭 | Vice-Presidente da República Federativa do Brasil |
![]() | |
스타일 | 보통: 미스터 부통령 공식: 각하 |
임명 방식 | 대통령 직접 선거 (필요시 결선 투표) |
임기 | 4년, 1회 연임 가능 |
소속 | 내각 국가방위위원회 |
관저 | 자부루 궁전 |
소속 정부 | 브라질 연방 정부 |
승계 순위 | 1순위 |
설립 | 1891년 2월 26일 |
근거 | 브라질 연방 공화국 헌법 |
초대 부통령 | 플로리아누 페이쇼투 |
월급 | R$ 39,293.32 (브라질 헤알) |
웹사이트 | 브라질 부통령 공식 웹사이트 |
현직 | 제라우두 아우키민 |
현직 취임일 | 2023년 1월 1일 |
역할 및 권한 | |
주요 역할 | 대통령 유고 시 대통령직 승계, 대통령 부재 시 직무 대행 |
기타 | |
약칭 | (정보 없음) |
2. 역사
브라질 부통령직은 1889년 공화국 선포 이후 1891년 브라질 헌법을 통해 창설되었다. 이 직책은 여러 번 폐지와 복원을 반복했다.
초대 부통령은 플로리아누 페이쇼투였으며, 그는 데오도루 다 폰세카 대통령의 사임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이후 부통령직은 공석, 대통령 권한대행, 대통령직 승계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다.
1930년 혁명으로 워싱턴 루이스 대통령과 멜루 비아나 부통령이 축출된 후, 부통령직은 1934년 헌법에 의해 폐지되었다가 1946년 헌법에 의해 복원되었다.
1964년 군사 쿠데타 이후 부통령직은 군사 정권 하에서 유지되었으며, 페드루 알레이쇼 부통령은 코스타 이 실바 대통령이 건강 문제로 해임된 후 대통령직 승계를 방해받기도 했다.
1985년 민주화 이후 조제 사르네이 부통령이 대통령 당선인 탄크레두 네베스의 사망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이후 이타마르 프랑코, 미셰우 테메르 등이 부통령직을 거쳐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2. 1. 역대 부통령
(출생–사망)
(1839–1895)
–
1891년 11월 23일

(1853–1902)
–
1898년 11월 15일
(연방)

(1857–1929)
–
1902년 11월 15일

(1847–1909)
–
1906년 11월 15일

(1867–1924)
–
1909년 6월 14일
(플루미넨세)

(1868–1966)
–
1914년 11월 15일

(1859–1922)
–
1918년 11월 15일

(1868–1920)
–
1919년 1월 16일
(1868–1920)
–
1920년 7월 1일

(1861–1928)
–
1922년 11월 15일

(1872–1937)
–
1926년 11월 15일

(1878–1954)
–
1930년 10월 24일
부통령직 폐지 (1934년 7월 16일 – 1946년 9월 19일)

(1888–1958)
–
1951년 1월 31일

(1899–1970)
–
1954년 8월 24일

(1919–1976)
–
1961년 8월 25일
1960년
(1901–1974)
–
1967년 3월 15일

(1901–1975)
–
1969년 8월 31일

(1905–1985)
–
1974년 3월 15일
(1905–1984)
–
1979년 3월 15일

(1929–2003)
–
1985년 3월 15일

(1930년생)
–
1985년 4월 21일
(대통령 당선인)

(1929–2011)
–
1992년 12월 29일

(1940–2021)
–
2003년 1월 1일
1998년

(1931–2011)
–
2011년 1월 1일
2006년

(1940년생)
–
2016년 8월 31일
2014년

(1953년생)
–
2023년 1월 1일

(1952년생)
–
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