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릴키니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릴키니아족은 벼과의 포아풀아과에 속하는 족의 하나이다. 브릴키니아속과 Koordersiochloa 등을 포함하며, 핵심 포아풀아과에 속한다. 포아풀아과의 계통 분류 연구를 통해 그 위치가 밝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기재된 식물 - 아리스티다족
아리스티다족은 벼과의 한 족으로 아리스티다속, 사르티디아속, 스티파그로스티스속을 포함하며, 과거에는 아리스티다아과의 유일한 족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벼과에 속하고, 특히 스티파그로스티스속은 사하라 사막과 남부 아프리카 건조 지역에서 발견되는 불안정한 모래 서식지에 특화된 35종의 풀을 포함한다. - 1960년 기재된 식물 - 여로 (식물)
여로는 한국, 만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 꽃이 피고 삭과 열매를 맺으며, 뿌리줄기는 살충제나 약재로 사용되지만 잎과 뿌리에 독성 성분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 포아풀아과 - 맥류
맥류는 벼과 잎새풀아과에 속하는 식물로, 밀, 보리, 호밀, 귀리 등이 있으며 식용, 사료용, 목초, 잡초 등으로 활용된다. - 포아풀아과 - 참새귀리속
참새귀리속은 벼과에 속하며 한해살이, 두해살이, 여러해살이풀 등 다양한 형태로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에 분포하는 약 100종의 식물군이다.
브릴키니아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Brylkinieae Tateoka (1960) |
이명 | Brylkiniinae Ohwi (1941) |
하위 분류 | |
속 | 브릴키니아속(Brylkinia) |
2. 하위 분류
포아풀아과는 계통학적으로 여러 하위 그룹으로 분류된다.[5] 가장 먼저 담상이삭풀족이 분기하며, 이후 크게 나르두스상족(Nardodae)과 나머지 그룹으로 나뉜다.[5] 나머지 그룹 내에서는 산기장족이 초기에 분기하고, 그 다음으로 브릴키니아족과 쌀새족이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5] 이들과 자매군 관계에 있는 더 큰 분기군에는 암펠로데스모스족, 나래새족, 용수염족, 그리고 핵심 포아풀아과(core Pooideae)가 포함된다.[5] 핵심 포아풀아과에는 숲개보리족, 포아풀족, 그리고 보리상족(Triticodae) 등이 속한다.[5]
2. 1. 나르두스상족
나르두스상족은 리게움족과 나르두스족을 포함한다.[5]2. 2. 핵심 포아풀아과
포아풀아과 내에서 산기장족 다음으로 분기된 그룹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하나는 브릴키니아족과 쌀새족이 이루는 분기군이고, 다른 하나는 암펠로데스모스족, 나래새족, 용수염족, 그리고 핵심 포아풀아과가 포함된 분기군이다.[5]핵심 포아풀아과는 암펠로데스모스족과 나래새족 그룹, 그리고 용수염족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며, 구체적으로는 숲개보리족과 포아풀족(및 그 하위 그룹인 보리상족)을 포함하는 분기군을 지칭한다.[5]
2. 2. 1. 브릴키니아족
- 브릴키니아속(''Brylkinia'' F.Schmidt)
- ''Koordersiochloa'' Merr.
2. 3. 보리상족
보리상족은 포아풀아과의 핵심 포아풀아과 분류군에 속하며, 포아풀족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5] 보리상족은 계통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족으로 구성된다.[5]- 리틀레달레아족
- 참새귀리족
- 보리족
이 중에서 리틀레달레아족이 가장 먼저 분기했으며, 참새귀리족과 보리족은 서로 더 가까운 유연 관계를 가진 자매군이다.[5]
3. 계통 분류
- 포아풀아과 (Pooideae)
- * 담상이삭풀족 (Phaenospermateae)
- * 나르두스상족 (Nardodae)
- ** 리게움족 (Lygeae)
- ** 나르두스족 (Nardeae)
- * 산기장족 (Meliceae)
- * 브릴키니아족 (Brylkinieae)
- * 쌀새족 (Stipeae)
- * 암펠로데스모스족 (Ampelodesmeae)
- * 나래새족 (Duthieeae)
- * 용수염족 (Diarrheneae)
- * 핵심 포아풀아과 (core Pooideae)
- ** 숲개보리족 (Brachyelytreae)
- ** 포아풀족 (Poeae)
- ** 보리상족 (Triticodae)
리틀레달레아족 (Littledaleeae)
참새귀리족 (Bromeae)
보리족 (Triticeae)
참조
[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2]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3]
간행물
Canadian Journal of Botany 38: 962
[4]
저널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5]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