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로데이웨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로데이웨드는 웨일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영웅 레우 라우 기페스가 인간 아내를 가질 수 없다는 저주를 풀기 위해 마법사들에 의해 만들어진 여성이다. 블로데이웨드는 펜린의 영주 그로누 페브르와 불륜을 저지르고 레우를 살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부엉이로 변한다. 이 이야기는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었으며, 앨런 가너의 소설 《올빼미 봉사》, 루이스 M. 휴잇의 소설 《픽티시 스피릿》 시리즈 등에서 다루어졌다. 또한, 한국의 구미호 설화와 비교 연구되기도 하며,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재조명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통 - 불륜
    불륜은 혼인 또는 연애 관계에서 배우자나 연인 외의 상대와 낭만적이거나 성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기준과 처벌이 다르고 도덕적 문제로 여겨지지만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 간통 - 르윈스키 스캔들
    르윈스키 스캔들은 1990년대 후반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백악관 인턴 모니카 르윈스키 간의 부적절한 관계로 촉발된 정치적 스캔들로, 클린턴 대통령이 위증 혐의로 탄핵 소추되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미국 정치와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 신화의 여자 -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사자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신화 속 존재로,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파라오의 권위, 사악함, 액막이 등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 신화의 여자 - 세이렌
    세이렌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 파멸시키는 존재로, 본래는 여성의 머리와 새의 몸을 가졌으나 후에는 인어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유혹과 파멸의 상징으로서 여러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현대에는 스타벅스 로고나 사이렌의 어원으로 사용된다.
  • 신화의 맹금류 - 호루스
    호루스는 매의 머리를 가진 고대 이집트 신화의 하늘의 신으로, 아버지 오시리스의 복수를 위해 세트와 싸워 이집트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그의 눈은 보호와 왕권을 상징하고 파라오는 그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 신화의 맹금류 - 자타유
    자타유는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거대한 독수리로 라마의 친구이자 라바나의 시타 납치를 막으려다 죽었으며, 그의 희생은 라마의 시타 구출 여정에 영향을 주었고 용기, 헌신, 정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블로데이웨드
블로데이웨드
웨일스 신화
관련 문헌마비노기의 네 가지
브리튼 이야기
웨일스 사대고서
나무들의 전투
프러데인섬의 삼제시
막센 울레딕의 꿈
묘지의 구절
거인 이야기
루드와 허펠리스
등장인물아파온 밥 탈리에신
아마에손 밥 돈
아라운
아르얀로드 베르흐 돈
아르서르 벤드라곤
아팔라흐
벨리 마우르
블레이든
블로데이웨드
카이
카라독 압 브란
카스왈라운
케리드웬
킬레드 윌르트
키레일리
키그파
크레이딜라드
쿨후흐
키히레스
키논

드루와스
덜란 아일 돈
디웰 밥 에르빈
에데른 압 누드
엘렌
엘핀 압 그위드노
엘리윌로드
에우피드 밥 돈
에우로수이드
게라인트
길바이수이 밥 돈
글레을뤼드 가펠파으
고이윈
고반논 밥 돈
고레우 밥 쿠스텐닌
그로누 페브르
그와울
그웨른
구리르
그위드노 가란히르
구이디온 밥 돈
그윈 압 니드
그위시르
그왈흐메이
하프간
헤페이드
후에일 맙 카으
히흐든
히든
이독 압 머니오
이드리스
허펠리스
러이 라우 거페스
리르 렌댜이스
루드 라우 에라인트
글뤼드 압 킬 코에드
마본 압 모드론
마독 압 우서르
막센 울레딕
말트 어 노스
마나워단 밥 리르
마스 밥 마소누이
마솔루흐
메누
모드론
모르피드
모르프란
니시엔
올루엔
페나르딘
펜핀기온
페레두르
프러데리 밥 푸일
푸일 펜 아눈
리아논
성 킬린
성 에이겐
산데프
세이세닌
탈리에신
테기드 포엘
테어르논 투러프 릴란트
어스바다덴 벤카우르
인간 외아다르 루흐 그윈
아다르 리아논
아반크
카발
케필 두르
케우리
코블리나우
코라니아이드
쿤 아눈
키히레스
드레이기아우
그윌기
그윌리온
람히긴 어 두르
마리모르간
플렌틴 네위드
푸카
투르흐 트뤼스
털루이스 테그
카스 팔루그
장소프러데인
아눈
콘월
켈리윅
케르 시디
칸트레르 그웰로드
더베드
아버스
그왈레스
귀네드
아버프로
아르폰
아르두뒤
케르 다실
에린
런던
루드게이트
그외칼레드풀흐
칼리번
롱고미니아드
갈라틴
파이르 다데니
플레흐 로누
프러데인섬의 13대 비보

2. 웨일스 전통에서의 역할

레우 라우 기페스는 어머니 아리안로드에게 인간 아내를 가질 수 없다는 튕게드(저주)를 받았다. 이 저주를 풀기 위해 마법사 마스와 그위디온은 꽃으로 아름다운 여인을 만들어 내고, 그녀에게 '블로데이웨드'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블로데우에드가 그론우를 만난다.


블로데우에드는 펜린의 영주 그론우 페브르와 불륜을 저지르고, 두 사람은 레우를 살해할 계획을 세운다. 레우는 특정한 조건에서만 죽을 수 있었는데, 블로데우에드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그를 속여 죽음에 이르게 한다. 레우는 독수리로 변해 날아가지만, 그위디온에 의해 다시 인간으로 돌아온다. 그위디온은 블로데우에드를 부엉이로 만들어 벌하고, 그론우는 레우의 창에 맞아 죽는다. 아르두드위에 있는 구멍난 돌은 ''레치 론우''(그론우의 돌)로 알려져 있다.[2]

로버트 그레이브스와 다른 사람들은 ''카드 고데우''의 142–153행을 "블로데우에드의 노래"로 간주한다.

2. 1. 창조

마법사 마스와 그위디온은 참나무, 빗자루, 조팝나무 꽃을 이용해 아름다운 여성을 창조하고, 그녀에게 블로데이웨드(꽃 얼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2]

2. 2. 배신과 죽음

레우 라우 기페스가 집을 비운 사이, 블로데이웨드는 펜린의 영주인 그론우 페브르와 사랑에 빠진다. 두 사람은 레우를 살해할 음모를 꾸민다.[2] 블로데우에드는 류가 낮이나 밤, 실내나 실외, 말을 타거나 걷거나, 옷을 입거나 벗고 있을 때, 그리고 합법적인 무기로는 죽일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하여 그를 속여 죽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낸다.[2] 류는 블로데우에드에게 자신이 황혼에, 그물에 싸여, 한 발은 욕조에, 다른 발은 검은 염소 위에, 강둑 옆에서, 모든 사람이 미사에 참석하는 동안 1년 동안 제작된 창에 의해서만 죽을 수 있다고 털어놓는다.[2]

이 정보를 바탕으로 블로데우에드는 류를 죽일 계획을 세운다. 그론우가 던진 창에 맞은 레우는 독수리로 변해 날아간다.[2] 기디온은 기디온의 엥글린으로 알려진 엥글린을 불러 류를 떡갈나무에서 유인해낸 뒤, 류를 다시 인간의 모습으로 되돌린다.[2]

2. 3. 벌

그위디온은 도망치는 블로데우에드를 따라잡아 부엉이로 만들고, 다른 모든 새들이 싫어하는 존재로 만들었다.[2] 그리고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

감히 낮에 얼굴을 드러내지 못할 것이고, 그것은 너와 다른 모든 새들 사이의 적대감 때문일 것이다. 그들이 너를 발견하는 곳마다 너를 괴롭히고 경멸하는 것이 그들의 본성이 될 것이다. 그리고 너는 너의 이름을 잃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항상 "블로데우에드 (꽃 얼굴)"가 될 것이다.|"감히 낮에 얼굴을 드러내지 못할 것이고, 그것은 너와 다른 모든 새들 사이의 적대감 때문일 것이다. 그들이 너를 발견하는 곳마다 너를 괴롭히고 경멸하는 것이 그들의 본성이 될 것이다. 그리고 너는 너의 이름을 잃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항상 "블로데우에드 (꽃 얼굴)"가 될 것이다."cy[2]

‘블로데우에드’는 오늘날 언어로 ‘부엉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그것 때문에 새와 부엉이 사이에 적대감이 있으며, 부엉이는 여전히 ‘블로데우에드’로 알려져 있다.|"‘블로데우에드’는 오늘날 언어로 ‘부엉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그것 때문에 새와 부엉이 사이에 적대감이 있으며, 부엉이는 여전히 ‘블로데우에드’로 알려져 있다."cy[2]

한편, 그론우는 펜린으로 도망쳐 레우에게 용서를 구하는 사절을 보냈으나, 레우는 이를 거절하고 그론우가 키네파엘 강둑에 서서 자신의 창에 맞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론우는 자신의 부대원 중 누군가가 대신 창을 맞아줄 것을 필사적으로 요청했지만, 부하들은 이를 거절하였다. 결국 그론우는 자신과 레우 사이에 큰 돌을 놓는 조건으로 공격에 동의했고, 레우는 이를 허락했다. 레우는 창을 던져 돌을 관통하고 그론우를 죽였다. 아르두드위의 구멍난 돌은 여전히 ''레치 론우''(그론우의 돌)로 알려져 있다.

3. 문학에서의 묘사

블로데이웨드 이야기는 여러 문학 작품에서 다양하게 변주되어 나타난다. 타이류안 웬에서도 블로데이웨드 이야기가 언급된다.

3. 1. 앨런 가너의 "올빼미 봉사" (1967)

앨런 가너의 소설 ''올빼미 봉사''(1967)는 블로데이웨드의 이야기가 웨일스 계곡에서 매 세대마다 반복되는 영원한 순환으로 나타난다고 묘사한다. 이 순환을 깨는 유일한 방법은 블로데이웨드 캐릭터가 자신이 올빼미가 아닌 꽃이어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3. 2. 루이스 M. 휴잇의 "픽티시 스피릿" 시리즈

루이스 M. 휴잇은 소설 시리즈 ''픽티시 스피릿''의 두 번째 책 ''바람''(2017)과 세 번째 책 ''꽃''(2017)에서 페미니즘적 관점으로 블로데이웨드와 마스 압 마소느위의 이야기를 탐구한다. 소설 속에서 로신과 픽티시 스피릿 용감한 전사들 그룹 사이에서 마스 압 마소느위 이야기의 세 명의 중요한 여성, 고에윈, 아리안로드, 블로데이웨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이는 ''꽃''의 마지막 장 810~814페이지에서 로신의 이야기 "재해석"으로 절정에 달한다.[1]

3. 3. 프랜시스 레드위지의 "루의 아내"

프랜시스 레드위지의 시 "루의 아내"에서 블로데이웨드의 창조가 섬세하게 묘사된다.

3. 4. 존 코퍼 포이스의 "포리우스: 암흑 시대의 로맨스" (1951)

존 코퍼 포이스의 소설 ''포리우스: 암흑 시대의 로맨스''(1951)에서 간통을 저지른 블로데이웨드는 머린(멀린) 왕의 마법에 의해 "부리와 깃털의 감옥에서 풀려난다".

3. 5. 존 스타인벡의 "달콤한 목요일" (1954)

존 스타인벡의 소설 ''달콤한 목요일''(1954)에는 블로데이웨드 이야기가 간략하게 언급된다. 소설 속에서 닥은 수지와 약속된 데이트를 하면서 그녀의 손에 들린 야생 붓꽃을 보며 그 이야기를 해준다.

4. 한국 문화와의 비교 연구

한국 설화, 특히 구미호 설화와 비교하여 여성의 변신, 배신 모티프를 연구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eiriadur Prifysgol Cymru https://welsh-dictio[...]
[2] 서적 The Four Branches of the Mabinogi
[3] 서적 Wales on Screen Seren
[4] 서적 John Cowper Powys in Search of a Landscape Barnes and Nob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