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크 (브라우저 엔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링크는 구글이 개발하고 크로미움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웹 브라우저 엔진이다. 초기에는 WebKit을 사용했으나, 크로미움의 멀티 프로세스 구조로 인한 WebKit 프로젝트와의 복잡성 및 혁신 속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ebKit에서 분기되었다. 블링크는 렌더링 라이브러리인 Skia를 사용하고, 멀티 프로세스 구조를 통해 빠른 동작을 지원하며, html5test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다. 블링크는 기술 혁신을 통해 오픈 웹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크로미움 오픈소스 프로젝트 공동체 내부에서 크로미움을 위한 렌더링 엔진임을 표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웹키트 기반 소프트웨어 - 구글 크롬
구글 크롬은 구글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크로미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오픈 소스 코드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능과 운영체제 지원을 통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 정책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웹키트 기반 소프트웨어 - 사파리 (웹 브라우저)
사파리는 애플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2003년 처음 출시되어 웹킷 엔진을 기반으로 빠른 속도와 웹 표준 지원을 제공하며, macOS, iOS, iPadOS 등에서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된다. - 소프트웨어 포크 - 자바 데스크톱 시스템
- 소프트웨어 포크 - 마테 (소프트웨어)
MATE는 그놈 2에서 파생되어 전통적인 데스크톱 인터페이스 유지를 목표로 하는 데스크톱 환경이며, 마테차에서 이름을 따왔고, 여러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 가능하다. - 모바일 소프트웨어 - 구글 워크스페이스
구글 워크스페이스는 구글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생산성 및 협업 도구 모음으로, Gmail, 구글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며, 마이크로소프트 365와 경쟁하며 생성형 AI 기능을 도입했다. - 모바일 소프트웨어 - 웨이즈
웨이즈는 사용자 참여형 실시간 교통 정보 기반 내비게이션 앱으로, 정확한 길 안내와 다양한 기능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정보 공유 논란, 개인 정보 문제, 보안 취약성 및 국가 안보 우려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블링크 (브라우저 엔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종류 | 브라우저 엔진 |
개발 | 크로뮴 프로젝트 |
최초 릴리스 | 2013년 4월 3일 |
프로그래밍 언어 | C++ |
라이선스 | BSD 및 LGPLv2.1 |
웹사이트 | 크로뮴 프로젝트 Blink 공식 웹사이트 |
상세 정보 | |
개발자 | 크로뮴 프로젝트, 구글, Opera Software ASA, Intel, Samsung 외 |
운영체제 | 크로스 플랫폼 |
2. 개발 배경
블링크는 크로미움을 위한 렌더링 엔진으로, 크로미움 오픈소스 프로젝트 공동체 내부에서 그 역할을 선언하고 있다.[28][29] 블링크는 기술 혁신과 훌륭한 시민권을 통해 오픈 웹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27]
한편, 블링크를 포함하는 크로미움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파이어폭스를 개발한 모질라 재단의 CEO 크리스 비어드는 온라인 생활 기반 구조를 거의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을 정도로 하나의 기술에 집중되는 것이 웹 브라우저 선택의 자유와 함께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30]
2. 1. 크로미움의 WebKit 사용
크로미움은 초기에는 렌더링 엔진으로 WebKit을 사용했다. 그러나 크로미움은 탭, 확장 기능, 애플리케이션마다 별도의 프로세스로 작동하는 멀티 프로세스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WebKit 프로젝트 커뮤니티가 복잡해지고 혁신 속도가 느려진다는 문제가 크로미움 프로젝트 내에서 제기되었다.[10]2. 2. Blink의 분기
처음에는 크로미움은 렌더링 엔진으로 WebKit을 사용했지만, 다른 WebKit 채택 웹 브라우저와는 달리, 크로미움은 탭이나 확장 기능, 애플리케이션마다 하나의 프로세스로 동작하는 멀티 프로세스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WebKit 프로젝트와의 커뮤니티 복잡화, 나아가 전체적인 혁신 속도가 저하되었다는 지적이 크로미움 프로젝트 내에서 제기되었다.[10]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WebKit에서 분기하여 크로미움에 최적화된 엔진을 개발함으로써 프로젝트 혁신을 촉진하고 장기적인 웹 생태계를 건전하게 만들고자 했다.
분리된 WebKit 측에서는 V8, JavaScriptCore 이외 사양, 렌더링 라이브러리인 Skia, 구글의 빌드 시스템 GYP 등이 제거되었다.[13]
분리된 Blink 측도 렌더링 라이브러리는 Skia만,[14] 빌드 시스템은 GYP만 남기고, 450만 행의 소스 코드를 삭제했다.[15]
3. 특징
블링크는 멀티 프로세스 구조를 빠르게 도입하여, 애드온마다 별도의 프로세스를 열어 빠른 동작을 지원한다. 2019년 9월 19일 현재 html5test 점수는 535점으로 최고 점수를 유지하고 있다.[18] PDF 출력에는 Skia/PDF m79 (PDF Version 1.4)가 사용된다.
3. 1. 멀티 프로세스 구조
크로미엄 기반 브라우저는 모두 멀티 프로세스 구조를 사용한다. 크로미엄 사양서는 "싱글 프로세스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권장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16] 애드온마다 프로세스가 열려 빠르게 동작한다. "애드온을 추가할수록 브라우저가 점점 느려진다"는 문제는 개발자들 사이에서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지만,[17]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렌더링 엔진이다.3. 2. 성능
블링크는 멀티 프로세스를 빠르게 도입한 브라우저 엔진으로, 애드온마다 프로세스가 열려 빠르게 동작한다. 크로미엄 사양서에는 "싱글 프로세스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권장하지 않는다"라고 명시되어 있으며[16], 크로미엄 기반 브라우저는 모두 멀티 프로세스를 사용하고 있다.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애드온을 추가할수록 브라우저가 점점 느려진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지만[17],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렌더링 엔진이다.2019년 9월 19일 기준, html5test 점수는 535점으로 최고 점수를 유지하고 있다.[18] PDF 출력에는 Skia/PDF m79 (PDF Version 1.4)가 사용된다.
4. 블링크의 사명
블링크의 사명은 기술 혁신과 훌륭한 시민 정신을 통해 오픈 웹을 개선하는 것이다.[27] 블링크는 크로미움 오픈소스 프로젝트 공동체 내부에서 크로미움을 위한 렌더링 엔진임을 표방한다.[28][29]
한편, 파이어폭스의 모질라 재단 크리스 비어드(Chris Beard) CEO는 블링크를 포함하는 크로미움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광범위한 사용 확산에 대해, 온라인 생활 기반 구조를 거의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을 정도로 어느 하나의 기술에 집중되는 것이 웹 브라우저 선택 가능성이라는 사용자의 자유와 함께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지 않는가라는 맥락에서 이를 완곡하게 언급한 바 있다.[30]
참조
[1]
웹사이트
Blink: A rendering engine for the Chromium project
https://blog.chromiu[...]
2013-04-03
[2]
웹사이트
Chrome <3s WebKit
https://blog.chromiu[...]
2008-09-05
[3]
웹사이트
Google going its own way, forking WebKit rendering engine
https://arstechnica.[...]
Conde Nast
2013-04-03
[4]
뉴스
Google Forks WebKit And Launches Blink, A New Rendering Engine That Will Soon Power Chrome And Chrome OS
https://techcrunch.c[...]
TechCrunch
2013-04-03
[5]
뉴스
Google parts ways with Apple over WebKit, launches Blink
https://www.cnet.com[...]
CNet
2013-04-03
[6]
뉴스
Firefox 23 finally kills "blink" tag
https://www.pcpro.co[...]
PC Pro
2013-08-07
[7]
웹사이트
Hypercritical: Code Hard or Go Home
http://hypercritical[...]
Hypercritical.co
2013-04-12
[8]
웹사이트
Blink Developer FAQ
https://www.chromium[...]
[9]
웹사이트
Google going its own way, forking WebKit rendering engine
http://arstechnica.c[...]
Ars Technica
2013-04-04
[10]
웹사이트
Chromium プロジェクトの新しいレンダリングエンジン Blink のご紹介 - Google Japan Developer Relations Blog
http://googledevjp.b[...]
Google
2013-04-04
[11]
웹사이트
"Hello Blink"
http://www.brucelaws[...]
2013-04-03
[12]
뉴스
Opera、Chromiumベースのデスクトップブラウザ「Opera Next 15」公開 - ITMedia
https://www.itmedia.[...]
[13]
문서
webkit-dev Cleaning House
https://lists.webkit[...]
[14]
문서
Philip Rogers - A graphics developer’s perspective on Blink
https://plus.google.[...]
[15]
문서
Chromium プロジェクトの新しいレンダリングエンジン Blink のご紹介
http://googledevjp.b[...]
[16]
웹사이트
사양
https://www.chromium[...]
[17]
뉴스
新ブラウザ「Vivaldi」の挑戦 - 狙うは1000万のOpera 12ユーザ
https://news.mynavi.[...]
mynavi
2015-05-25
[18]
웹사이트
how well does your browser support html5?
https://html5test.co[...]
html5test.com
2018-10-11
[19]
웹인용
"[chrome] Log of /releases/28.0.1463.0/DEPS"
https://src.chromium[...]
2016-12-31
[20]
웹인용
Google Forks WebKit And Launches Blink, A New Rendering Engine That Will Soon Power Chrome And Chrome OS
http://techcrunch.co[...]
TechCrunch
2013-04-03
[21]
웹인용
Contents of /trunk/src/AUTHORS
https://src.chromium[...]
[22]
웹인용
Google, Opera Fork WebKit. Samsung Joins Firefox to Push Servo
http://www.infoq.com[...]
[23]
웹인용
Which webkit revision is Blink forking from?
https://groups.googl[...]
blink-dev mailing list
2013-04-18
[24]
웹인용
Blink: A rendering engine for the Chromium project
http://blog.chromium[...]
The Chromium Blog
2013-04-03
[25]
웹인용
Blink
http://www.quirksmod[...]
QuirksBlog
2013-04-04
[26]
웹인용
Google going its own way, forking WebKit rendering engine
http://arstechnica.c[...]
Ars Technica
2013-04-04
[27]
문서
크로미움-블링크
http://www.chromium.[...]
[28]
문서
Blink is the rendering engine used by Chromium. (크로미움-블링크)
http://www.chromium.[...]
[29]
문서
LG CNS -웹브라우저천하를 지배하다 '크로미움'
https://blog.lgcns.c[...]
[30]
문서
모질라재단
https://blog.mozil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