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브코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브코드는 천문학 및 물리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표준 식별자로, 원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SIMBAD 데이터베이스와 NASA/IPAC 은하 외 물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비브코드는 19개의 ASCII 문자로 이루어진 고정 길이 식별자이며, 출판 연도, 저널 이름, 권, 저널 섹션, 쪽 번호, 제1저자 성의 머릿글자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하버드 대학교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 관측소에서 관리하는 천체물리학 자료시스템(ADS)에서 주요 식별자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 문서 - 아카이벌 리소스 키
아카이벌 리소스 키(ARK)는 디지털, 물리적, 추상적 자원의 영구적인 식별을 위한 체계로, 분산된 웹 환경에서 관리 주체의 약속을 통해 객체의 보존과 접근성을 제공하며, ARK Alliance가 국제적인 사용을 장려하고 한국에서도 활용된다. - 전자 문서 - 디지털 서명
디지털 서명은 공개 키 암호 방식을 기반으로 전자 문서의 위변조 방지 및 발신자 인증을 제공하며, 키 생성, 서명 생성, 검증의 세 가지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올바른 서명 키로 생성된 서명은 항상 승인되어야 하고 공개 키만으로 유효한 서명을 생성하는 것이 계산적으로 불가능해야 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 천문학 책 - 루돌프 표
루돌프 표는 요하네스 케플러가 티코 브라헤의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한 천문표로, 1,005개의 별과 행성의 위치, 세계 지도를 포함하며 수성 및 금성의 태양면 통과 예측과 중국 역법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 천문학 책 - 세계의 조화
요하네스 케플러가 1619년에 발표한 "세계의 조화"는 천체의 운동, 음악, 기하학 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탐구하며 행성 운동 제3법칙을 제시하고 다면체 연구를 포함하는 책이다.
비브코드 | |
---|---|
식별 | |
이름 | 비브코드 |
영어 이름 | Bibcode |
전체 이름 | 서지 코드 |
약어 | 해당 없음 |
숫자 | 19 |
확인 숫자 | 없음 |
예시 | 1924MNRAS..84..308E |
웹사이트 | SAO/NASA ADS 도움말 페이지 |
일반 정보 | |
시작 날짜 | 1990년대 |
조직 | 해당 없음 |
2. 역사
비브코드는 원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SIMBAD 데이터베이스와 NASA/IPAC 은하 외 물체 데이터베이스(Extragalactic Database|NED영어)를 위하여 도입되었으나, 지금은 천문학 및 물리학에서 일반적인 문헌 관리 식별자로 쓰인다.[1][2] 오늘날 비브코드는 미국 항공우주국과 하버드 대학교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 관측소(Smithsonian Astrophysical Observatory영어)에서 관리하는 '''천체물리학 자료시스템'''에서 주요 식별자로 쓰인다.
비브코드는 항상 19개의 아스키 문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갖는다.[1][2][3][4]
3. 형식
:YYYYJJJJJVVVVMPPPPA
각 항목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항목의 길이가 짧거나 없는 경우, 점(`.`)으로 채워 길이를 맞춘다. 출판 코드는 오른쪽에, 권 번호 및 페이지 번호는 왼쪽에 패딩을 적용한다.[1][2] 2007년 이후 arXiv 프리프린트의 경우, `JJJJV`는 "arXiv"이고, 나머지 `VVVMPPPPA`는 arXiv 코드이다. (2007년 이전 프리프린트의 경우 형식이 다르다.)[1][2] 1990년대 후반부터 Physical Review 출판사에서 사용된 6자리 기사 ID 번호(페이지 번호 대신)는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기사 ID의 처음 두 자리 숫자는 호수를 나타내며, 소문자(01 = a 등)로 변환되어 `M` 열에 삽입된다. 나머지 네 자리 숫자는 페이지 필드에 사용된다.[2]
다음은 비브코드의 예시이다.
비브코드 | 문헌 설명 |
---|---|
1974AJ.....79..819H | 1974년에 발표된 문헌으로, The Astronomical Journal (약기호: AJ) 잡지 제79권 819페이지부터 게재되었다. 마지막의 "H"는 저자의 성(Heintz)의 머리글자이다. |
1924MNRAS..84..308E | 1924년에 발표된 문헌으로,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약기호: MNRAS) 잡지 제84권 308페이지부터 게재되었다. 마지막의 "E"는 저자의 성(Eddington)의 머리글자이다. |
1970ApJ...161L..77K | 1970년에 발표된 문헌으로, Astrophysical Journal (약기호: ApJ) 잡지 제161권 77페이지부터 게재되었다. "L"은 서편(Letter)임을, 마지막의 "K"는 저자의 성(Kemp)의 머리글자를 나타낸다. |
4. 예시
비브코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비브코드의 길이는 19자로 고정되어 있으며, `YYYYJJJJJVVVVMPPPPA` 형식을 따른다.
- `YYYY`: 문헌이 발표된 서기
- `JJJJJ`: 발표 장소 (약기호)
- `VVVV`: 잡지 등의 계속 간행물의 경우 권수
- `M`: 섹션 (레터의 경우 "L" 등)
- `PPPP`: 게재 페이지의 시작
- `A`: 저자 성의 머리글자
각 영역이 규정된 문자 수보다 짧으면 "."(마침표)로 채운다. J는 왼쪽 정렬, V와 P는 오른쪽 정렬한다.[3][4]
4. 1. The Astronomical Journal (1974)
The Astronomical Journal|천문 저널영어(AJ) 79권 819페이지에 게재된 W. D. Heintz의 1974년 논문으로, 비브코드는 1974AJ.....79..819H이다.[3][4]비브코드 | 문헌 |
---|---|
1974AJ.....79..819H | 1974년에 발표된 문헌으로, The Astronomical Journal|천문 저널영어(약기호: AJ) 잡지 제79권 819페이지부터 게재되었다. 마지막의 "H"는 저자의 성(Heintz)의 머리글자를 나타낸다. |
4. 2.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924)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서영어 (MNRAS) 1924년 제84권 308페이지에 게재된 에딩턴(A. S. Eddington)의 논문에 대한 비브코드는 `1924MNRAS..84..308E`이다.[3][4] 이 논문은 별의 질량과 광도 사이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3]4. 3.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1970)
Kemp, J. C.영어 외 3인이 1970년에 발표한 논문으로, 천체물리학 저널 서한(ApJ) 제161권 L77페이지에 게재되었다.[3][4] 해당 논문의 비브코드는 1970ApJ...161L..77K이다.비브코드 | 문헌 |
---|---|
1970ApJ...161L..77K | Kemp, J. C.영어 외, 백색 왜성에서 원형 편광된 빛의 발견, 천체물리학 저널 서한, 161권, L77-L79쪽 |
4. 4. Physical Review Letters (2004)
Mukherjee영어 등[3]은 2004년에 Physical Review Letters (PhRvL) 제93권 150801(6자리 기사 ID)에 논문을 게재했다.[4] 이 논문의 비브코드는 2004PhRvL..93o0801M이다.4. 5. arXiv 프리프린트 (2005)
2005년에 arXiv에 등록된 양자물리학(quant-ph) 분야의 논문은 `arXiv:quant-ph/0512258`이며, 비브코드는 `2005quant.ph.12258R`이다.4. 6. 박사 학위 논문 (1976)
Bibcode|비브코드영어는 19자 길이로 고정된 형식이다.[3][4]'''YYYYJJJJJVVVVMPPPPA'''
각 영역이 규정된 문자 수보다 짧으면 "."(마침표)로 공백을 채운다. J는 왼쪽 정렬, V와 P는 오른쪽 정렬한다.[3][4]
비브코드 | 문헌 |
---|---|
1974AJ.....79..819H | 1974년 발표, The Astronomical Journal (약기호: AJ) 제79권 819페이지 게재, 저자: Heintz (H) |
1924MNRAS..84..308E | 1924년 발표,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약기호: MNRAS) 제84권 308페이지 게재, 저자: Eddington (E) |
1970ApJ...161L..77K | 1970년 발표, Astrophysical Journal (약기호: ApJ) 제161권 L77페이지 게재, 저자: Kemp 외 (K) |
4. 7.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1543)
비브코드는 19자리의 고정된 길이를 가지며, `YYYYJJJJJVVVVMPPPPA` 형식을 따른다.- `YYYY`: 문헌 발표 연도 (서기)
- `JJJJJ`: 발표 장소 (약기호)
- `VVVV`: 권수 (계속 간행물)
- `M`: 섹션 (레터는 "L")
- `PPPP`: 시작 페이지
- `A`: 저자 성의 머리글자
규정된 문자 수보다 짧으면 `.`(마침표)로 채운다. `J`는 왼쪽 정렬, `V`와 `P`는 오른쪽 정렬한다.[3][4]
참조
[1]
서적
Information & On-Line Data in Astronomy
http://cdsweb.u-stra[...]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11-06-22
[2]
웹사이트
The ADS Data, help page
http://adsabs.harvar[...]
NASA ADS
2007-11-05
[3]
간행물
NED and SIMBAD Conventions for Bibliographic Reference Coding
http://cdsweb.u-stra[...]
2009-12-06
[4]
웹사이트
SAO/NASA ADS Help Pages
http://adsabs.harvar[...]
SAO/NASA ADS
2009-12-06
[5]
웹인용
About the Data in the ADS
http://doc.adsabs.ha[...]
하버드 대학교
2015-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