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잡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잡지는 인쇄술 발달로 16세기부터 발행되기 시작하여, 시사적 변화를 반영하는 저널리즘의 한 형식으로 자리 잡았다. 영국의 《젠틀맨스 매거진》은 잡지의 시초로 여겨지며, 19세기 후반까지 언론 통제 속에서도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잡지는 발행 주기, 내용, 판형, 영리성에 따라 분류되며, 소매 판매, 택배, 디지털 판매 등 다양한 유통 방식을 통해 독자들에게 전달된다. 잡지 표지는 영광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독자 투고란, 백넘버 등 부가적인 요소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기간행물 - 깨어라!
    《깨어라!》는 여호와의 증인 관련 잡지로, 1919년 창간되어 다양한 언어로 발행되며, 사회, 종교, 건강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2022년부터 연 1회 발행되고 무료로 배포된다.
  • 정기간행물 - 파수대
    《파수대》는 찰스 테이즈 러셀이 창간한 여호와의 증인 공식 간행물로, "여호와의 왕국을 선포하는 파수대"라는 제목으로 400개 이상의 언어로 배포되며, 성경에 근거한 내용으로 일반 대중용 공개판과 연구용 연구판으로 나뉘어 자발적 기부금으로 운영된다.
  • 잡지 - 기관지
    기관지는 단체나 조직의 공식 의견과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내부 결속 강화와 외부 홍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조직의 목표 공유와 입장 표명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잡지 - 포린 어페어스
    포린 어페어스는 미국외교협회가 1922년 창간한 미국의 유력 국제 문제 전문지이며, 외교관, 금융인, 학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기고하고, 조지 F. 케넌의 봉쇄 정책 발표 등 중요한 논의를 이끌어왔다.
잡지
간행 정보
유형정기간행물
언어다국어
간행 빈도정기적
특징
내용다양한 기사, 이야기, 광고 등을 포함
형태인쇄 매체, 전자 매체
목적정보 제공, 오락, 광고
역사
기원17세기 유럽에서 학술지 형태로 시작
발전18세기 대중 잡지 등장, 19세기 급성장
현대디지털 매체 발전으로 온라인 잡지 증가
종류
주제별 분류시사
연예
스포츠
패션
과학
독자층별 분류아동
청소년
여성
남성
특정 직업군
발행 주기별 분류주간
월간
격월간
계간
연간
영향
사회적 영향여론 형성, 문화 전파, 소비 트렌드 주도
경제적 영향광고 시장 활성화, 출판 산업 발전
관련 용어
정기간행물정기적으로 발행되는 출판물 (신문, 잡지 등)
저널특정 분야의 학술 연구 결과를 담은 전문 학술지
매거진잡지를 영어식으로 표현한 용어

2. 역사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16세기부터 잡지가 발행되기 시작했지만, 19세기 후반까지는 각국 정부의 언론 통제로 인해 그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 잡지의 시초는 영국의 《젠틀맨스 매거진》(1731~1914)으로, 당시 영국 상류층의 상징이 될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가졌다. 프랑스의 《일뤼스트라시옹(L'Illustration)》(현 파리 마치의 전신)은 잡지에 현재와 같은 사진을 처음으로 싣기 시작했다.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잡지는 1665년 프랑스 파리에서 창간된 『주르날 데 사방』과 같은 해 영국 런던에서 창간된 『필로소피컬 트랜잭션즈』로 알려져 있다.

현재 미국의 잡지는 종류의 다양성과 압도적인 발행 부수로 다른 나라의 잡지 저널리즘을 선도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전국 미디어의 역할을 하며, 해외 잡지에 대한 영향력도 크다. 1920년대 이후 광고에 의존하면서 매스 매거진의 시대가 이어졌지만, 1950년대 중반 상업 텔레비전의 급속한 보급으로 광고 시장을 빼앗기고, 생산비 상승, 교육 수준 향상, 관심의 다양화에 대응하지 못하면서 많은 잡지들이 폐간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영국에는 인텔리 취향의 『이코노미스트』, 『뉴 스테이츠맨』, 유머지 『펀치』 등이 알려져 있다. 프랑스에서는 뉴스지, 화보지, 패션지 등이 있지만 판매 부수는 침체 상태이다. 독일에서는 『모델 슈피겔』, 『슈테른』, 『게오』, 『브리키테』 등이 유명하다. 러시아에서는 정부, 당, 노동조합 등에서 발행되는 잡지 외에 독특한 잡지들도 있다.[59]

한국 최초의 잡지는 1896년 민간구국단체인 대조선독립협회에서 발간한 《대조선독립협회회보》이다. 이후 1906년에는 《서우》, 《서북학회회보》, 대한자강회에서 발간한 《대한자강회회보》, 《소년한반도》가 발간되었다. 이들 중 《서우》, 《대한자강회회보》 등은 구국단체에서 발간한 학술지였다. 이후 개인, 시사, 아동, 문예 잡지 등이 서서히 등장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서광》, 《개벽》, 《소년》, 《아이들보이》, 《폐허》, 《창조》, 《금성》 등이 발간되었다.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잡지 수가 감소하기도 했으나, 1987년 6.29 선언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다양한 잡지들이 발간되고 있다.

2. 1. 세계 잡지의 역사

인쇄술의 발달로 16세기부터 잡지가 발행되기 시작했지만, 19세기 후반까지는 정부의 언론 통제로 인해 그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 잡지의 시초는 영국의 《The Gentleman's Magazine영어》(1731~1914)으로, 당시 영국 상류층의 상징이 될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가졌다. 프랑스의 《일뤼스트라시옹(L'Illustration)》(현 파리 마치의 전신)은 잡지에 현재와 같은 사진을 처음으로 싣기 시작했다.

1892년 10월 1일자 ''그림으로 보는 런던 뉴스(The Illustrated London News)'' 표지


1663년 독일에서 출판된 문학 및 철학 잡지인 ''에어바울리헤 모낫스 운터레둥겐(Erbauliche Monaths Unterredungen)''은 잡지의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6] 1741년 런던에서 처음 출판된 ''신사 잡지(The Gentleman's Magazine)''는 최초의 종합 잡지였다.[9] "실바누스 어번(Sylvanus Urban)"이라는 필명으로 ''신사 잡지''를 편집한 에드워드 케이브(Edward Cave)는 "잡지"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7] 1842년 허버트 잉그램(Herbert Ingram)이 창간한 ''그림으로 보는 런던 뉴스(The Illustrated London News)''는 최초의 삽화가 있는 주간 뉴스 잡지였다.[9]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소비자 잡지는 1739년에 처음 발행된 ''스코츠 매거진(The Scots Magazine)''이다.[10] 다만, 여러 차례 소유권 변경과 90년이 넘는 발행 중단 기간이 있었다. ''로이드 리스트(Lloyd's List)''는 1734년 에드워드 로이드의 영국 커피숍에서 창간되었으며, 2013년까지 274년간 인쇄 발행되었다.[11]

''가제트'', 1786년 12월 26일


프랑스 절대왕정 시대 가장 두드러진 잡지들은 메르퀴르 드 프랑스프랑스어, 1665년 과학자들을 위해 창간된 주르날 데 사방프랑스어, 그리고 1631년 창간된 가제트 드 프랑스프랑스어였다. 장 로레는 1650년부터 1665년까지 음악, 무용, 파리 사회의 주간 뉴스를 시로 전달했다.[12] 프랑스 언론은 영국보다 한 세대 뒤처졌다.[12]

정기 간행물은 파리 중앙 정부의 검열을 받았다. 왕정을 지지했으며 혁명을 자극하는 데는 작은 역할을 했다.[13] 혁명 기간 동안 새로운 정기 간행물은 여러 파벌의 선전 기관으로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장 폴 마라(1743–1793)는 가장 유명한 편집자였다. 그의 ''민중의 친구''는 마라가 증오했던 민중의 적들에 대항하여 하층민의 권리를 열렬히 옹호했다.[14] 1800년 이후 나폴레옹은 엄격한 검열을 다시 시행했다.[14]

나폴레옹이 1815년에 물러난 후 잡지들이 번성했다. 대부분 파리에 기반을 두었고 문학, 시, 소설을 중시했다. 종교, 문화, 정치 공동체에 기여했으며, 정치 위기 시대에는 독자들의 견해를 표명하고 형성하는 데 기여하여 변화하는 정치 문화의 주요 요소가 되었다.[15] 1830년 파리에는 8개의 가톨릭 정기 간행물이 있었다. 역사가 M. 패트리샤 도허티는 이 과정을 통해 교회와 새로운 군주 사이의 거리가 생겨 가톨릭 신자들이 교회와 국가의 관계와 정치 권력의 근원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고 말한다.[16]

《몽퇴르 오토망》(Moniteur Ottoman)은 프랑스어로 작성된 관보로, 1831년 마흐무트 2세의 명령에 따라 처음 발행되었다. 오스만 제국 최초의 공식 관보였다. 주간으로 발행되었으며, 《탁빔-이 베카이》(Takvim-i Vekayi)는 몇 달 후에 발행되었는데, 《몽퇴르》를 오스만 튀르크어로 번역한 것이었다. 그러나 여러 대사관의 반대에 직면하여 1840년대에 폐간되었다.[17]

터키의 풍자 잡지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가장 초기의 풍자 잡지 중 하나는 1869년에 창간된 ''디오젠''이다. 약 20개의 풍자 잡지가 있으며, 주요 잡지로는 ''펭귄'', ''LeMan'', ''Uykusuz''가 있다. 역사적인 예로는 오구즈 아랄의 잡지 ''그르그르''(1970년대에 50만 부 발행)와 1946년에 창간된 ''마르코 파샤''가 있다.

19세기 후반 문학 및 정치계의 중심지였던 ''하퍼스 매거진''


벤저민 프랭클린은 1741년 미국 식민지 최초의 잡지 중 하나인 ''General Magazine and Historical Chronicle''을 구상했다고 알려져 있다. 토머스 페인이 편집한 ''Pennsylvania Magazine''은 짧은 기간 동안만 발행되었지만 독립 전쟁 기간 동안 매우 영향력 있는 출판물이었다. 독립 선언문이 실린 마지막 호는 1776년에 출판되었다.[18]

19세기 중반, 월간 잡지가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뉴스, 단편 소설, 시, 역사, 정치 사건, 사회 논쟁 등 다양한 내용을 담은 일반적인 관심사를 다루는 잡지였다.[19] 신문과 달리, 월간 잡지는 당대 사건들을 기록하는 동시에 재미있는 이야기, 시, 그림 등을 제공했다. ''하퍼스''와 ''애틀랜틱''은 예술 육성에 중점을 두었다.[20] ''하퍼스''와 ''애틀랜틱''은 오늘날까지도 발행되고 있으며, ''하퍼스''는 문화 잡지로, ''애틀랜틱''은 주로 세계적인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초기 ''하퍼스''에는 ''모비 딕''의 초기 발표작이나 세계 최초의 대서양 횡단 전신 케이블 부설과 같은 유명한 사건들이 실리기도 했다.[21]

잡지의 발전은 문학 비평과 정치 논쟁을 활성화시켜 객관적인 신문보다 더 의견이 개입된 기사들이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다.[20] 인쇄 간격이 길어지고 더 많은 분량을 작성할 수 있게 되면서 학자와 비평가들이 공개적으로 논쟁을 벌일 수 있는 장이 마련되었다.[22]

1924년 7월 10일자 ''라이프'' 올림픽 특집호


1900년 이후 대중 순환 잡지가 훨씬 더 일반화되었으며, 구독자 수가 수십만 명에 달하는 잡지도 있었다. 1920년대에는 백만 명을 넘는 잡지도 생겨났다. 대중매체의 시대였다. 전국적인 광고의 급속한 확장으로 표지 가격은 10센트 정도로 급격히 떨어졌다.[23] 특히 ''매카커(Muckrakers)''들에 의한 정치, 지방 정부 및 대기업의 부패에 대한 집중적인 보도였다. 매카커들은 사회적, 정치적 죄악과 결점을 폭로하기 위해 대중 잡지에 기고한 언론인들이었다. ''맥클루어스(McClure's)''와 같은 매카커 잡지들은 기업 독점과 부패한 정치 조직을 다루는 동시에 만성적인 도시 빈곤, 안전하지 않은 작업 환경 및 아동 노동과 같은 사회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였다.[24]

린컨 스테펜스(Lincoln Steffens)를 포함한 다른 언론인들은 많은 대도시의 정치 부패를 폭로했고, 아이다 타벨(Ida Tarbell)은 존 D. 록펠러(John D. Rockefeller)의 스탠더드 오일(Standard Oil Company)을 공격했다. 새뮤얼 홉킨스 아담스(Samuel Hopkins Adams)는 1905년 많은 특허 의약품에 관련된 사기를 폭로했고, 업톤 싱클레어(Upton Sinclair)의 1906년 소설 ''정글(The Jungle)''은 고기 포장 방식을 끔찍하게 묘사했으며, 역시 1906년에 데이비드 그레이엄 필립스(David Graham Phillips)는 미국 상원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퍼부었다. 테어도어 루스벨트는 이 언론인들에게 모든 부정을 파헤친다고 불평하며 '머크레이커(muckraker, 추문 폭로자)'라는 별명을 붙였다.[25][26]

1932년 9월 12일자 알카와케브(Al-Kawakeb) 잡지 표지를 장식한 배우 파티마 루시디(Fatima Rushdi)


현재 미국의 잡지는 종류가 다양하고 발행 부수가 압도적으로 많아 다른 나라의 잡지 저널리즘을 앞지르고 있다. 한국에서는 전국 미디어의 역할을 하며, 해외 잡지에 대한 영향력도 크다. 1920년 이후 광고에 의존하면서 매스 매거진의 시대가 이어졌지만, 1950년대 중반 상업 텔레비전의 급속한 보급으로 광고 시장을 빼앗기고, 생산비 상승, 교육 수준 향상, 관심의 다양화에 대응하지 못해 『콜리어스』가 폐간되는 등 파국을 맞았다. 『라이프』는 연간 예약료를 대폭 인상했으나, 발행 부수를 850만 부까지 끌어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예약 구독자가 독자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광고주의 주장에 따라 우송료 인상 등의 벽에 부딪혀 『룩』과 함께 휴간했다. 1985년 상반기 매스 커뮤니케이션지 『갤러거 리포트』에 따르면, 1,000만 부를 넘는 잡지는 『리더스 다이제스트』, 『TV 가이드』,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 5개지이고, 100만 부를 넘는 것은 69개지에 이른다.

2009년 기준, 북미에서는 폐간된 잡지 수가 창간된 잡지 수보다 많았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는 두 수치 모두 감소했지만, 매년 창간된 잡지 수가 폐간된 잡지 수보다 많았다.[27] 2014년 상반기에만 93개의 새로운 잡지가 창간된 반면, 폐간된 잡지는 30개에 불과했다.[28] 존슨 출판사의 ''제트''는 정기 간행물 인쇄를 중단하고 디지털 형식으로 전환했다.[29] ''레이디스 홈 저널(Ladies' Home Journal)''은 월간 일정과 구독자에 대한 가정 배송을 중단하고 분기별 뉴스스탠드 전용 특별 관심 출판물이 되었다.[30]

2013년 말 통계에 따르면, 상위 25개 잡지 중 22개의 구독 수준이 2012년에서 2013년 사이에 감소했다.[31] 그러나 2024년까지는 특히 야외 활동 잡지와 같이 일부 잡지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2]

영국에는 인텔리 취향의 『이코노미스트』, 『뉴 스테이츠맨』, 유머지 『펀치』 등이 알려져 있다. 발행 부수 1위는 민간 방송을 다루는 『TV 타임스』와 BBC 프로그램을 다루는 『라디오 타임스』가 400만 부 전후로 경쟁하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뉴스지 『렉스프레스』, 『르 푸앙』, 『르 누벨 오브세르바퇴르』, 화보지 『파리 마치』, 고급 패션지 『엘르』 등이 있지만, 모두 판매 부수는 침체 상태이다. 독일에서는 『모델 슈피겔』, 세계 최대의 화보 주간지 『슈테른』, 인간과 자연을 주제로 한 『게오』, 가장 오랜 전통의 여성지 『브리키테』 등이 유명하다. 러시아에서는 대부분의 잡지가 정부, 당, 노동조합 등에서 발행되고 있지만, 600만 부가 넘는 풍자 만화지 『크로코딜』, 다이제스트지 『스푸트니크』 등 독특한 잡지도 있다.[59]

잡지는 백과사전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지식, 정보, 관점을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고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시작되었다.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잡지는 1665년 프랑스 파리에서 창간된 『주르날 데 사방』과 같은 해 영국 런던에서 창간된 『필로소피컬 트랜잭션즈』로 알려져 있다. "magazine"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731년 런던에서 창간된 『젠틀맨스 매거진』이다.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잡지는 1867년(게이오 3년) 10월에 란학(洋学者) 야나가와 슌조(柳河春三)가 창간한 『세이요자시』(西洋雑誌)로 알려져 있으며, "Magazine"의 번역어로 "잡지"를 사용하고 있다. 종합잡지로서는 『메이로쿠 잡지(明六雑誌)가 처음이다.[46]

2. 2. 한국 잡지의 역사

한국에서 잡지의 역사는 1896년 민간구국단체인 대조선독립협회회보에서 시작되었다. 비록 40여 쪽 분량에 뉴스, 외국 소식, 한국 독립에 대한 정보를 담은 간단한 내용이었지만, 한국 잡지의 시초로 인정받고 있다.[46]

이후 1906년에는 서우, 서북학회회보, 대한자강회에서 발간한 대한자강회회보, 소년한반도 등의 잡지가 발간되었다. 이 중 서우, 대한자강회회보 등은 구국단체에서 발간한 학술적 성격의 잡지였다. 이후 개인잡지, 시사잡지, 아동잡지, 문예잡지 등이 서서히 등장하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서광, 개벽, 소년, 아이들보이, 폐허, 창조, 금성 등의 잡지가 발간되었다.

아이들보이는 한국 최초로 표지를 천연색으로 발행한 잡지로 알려져 있으며, 소년의 창간일은 잡지의 날로 지정되었다. 해방 후에는 신천지, 학풍, 문예 등이 발간되었다.

1980년 언론 탄압으로 인해 잡지 수가 감소하기도 했으나, 1987년 6.29 선언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다양한 잡지들이 발간되고 있다.

2. 3. 어원

مخازن|makhāzinar에서 유래한 "잡지"라는 단어는 "창고, 저장소"(원래는 군사용 창고)를 의미하는 مخزن|makhzanar의 파생 복수형이다. 이 단어는 중세 프랑스어 magasinfrm와 이탈리아어 magazzinoit를 거쳐 영어로 유입되었다.[1] 원래 의미에서 "잡지"는 저장 공간이나 장치를 가리켰다.[1] 인쇄 매체의 경우, 여러 편의 글 기사들을 모아 놓은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잡지 출판물이 군사 장비, 예를 들어 화약고, 포병용 창고, 그리고 탄창과 같은 저장 장치와 같은 용어를 공유하는 이유를 설명한다.[2]

《젠틀맨스 매거진》의 편집장은 탄약고라는 뜻의 단어인 ‘매거진(magazine)’을 잡지라는 뜻으로 비유해 불렀다.

‘잡지(雜誌)’라는 번역어가 처음 쓰인 것은 19세기 후반이다. 존 맥고완(John Macgowan, 1835~1922)이 상하이에서 발간한 《중외잡지(中外雑誌)》(1862~1863), 1867년 일본에서 발간된 《서양잡지(西洋雑誌)》(1867~1869) 등이 있었다.[56]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잡지는 1867년(慶應 3년) 10월에 란학자(洋學者) 야나가와 슌조(柳河春三)가 창간한 『세이요자시』(西洋雑誌)라고 알려져 있으며, "Magazine"의 번역어로 "잡지"를 사용하고 있다. 종합잡지로서는 『명륙잡지』가 처음이다.[46]

3. 종류

현재 발행되는 잡지는 발행 주기, 내용, 판형, 영리성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57]


  • 발행주기별: 주간, 월간, 격월간, 계간, 연간 등
  • 내용별: 여성지, 아동지, 학생지, 수험·학습지, 종합지, 대중오락지, 문예지, 평론지, 학술·전문지, 회보(會報), 기관지, 홍보지(PR지), 카탈로그(誌), 무크(Mook), 동인지(同人誌), 타운정보지 등
  • 판형별: A6판, B6판, A5판, B5판, A4판, 타블로이드판 등
  • 영리성별: 상업잡지, 비상업지 등


; 일반잡지

: 시판을 목적으로 하는 잡지 전반을 가리키며, 그 범위는 매우 넓다. 발행 빈도는 주간에서 계간 사이가 대부분이며, 월간이 가장 많다.

; 상업잡지

: 상업 출판사가 영리를 주된 목적으로 발행하는 것이다. 일반잡지 외에 상업적으로 출판되는 학술잡지도 포함한다.

; 학술잡지

: 학술논문을 주로 게재하며, 특히 자연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매체이다.

; 관공서 잡지

: 중앙관청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것이다. 일부는 시판되기도 하지만, 일반 출판 유통에는 취급하지 않는 것이 많다.

; 단체·협회지

: 대부분 회원에게 배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시판되지 않는다. 기관지(기관잡지)를 참조.

; 동인지

: 동호인이 자신의 작품을 발표하기 위해 발행하는 것이다. (동인지 중에는 시리즈화나 정기 발행이 되지 않고, “잡지”라고는 할 수 없는 간행물도 포함된다).

; 기업잡지

: PR 잡지, 사보, 기술보 등.

일본잡지광고협회(日本雑誌広告協会) 잡지분류인정위원회가 정한 “잡지 장르·카테고리 구분”[47]은 다음과 같다.

잡지 종류
종합월간지
일반주간지
사진주간지
여성주간지
남성영(ヤング)지
남성영어덜트(ヤングアダルト)지
남성미들에이지(ミドルエイジ)지
여성틴즈(ティーンズ)지
여성영(ヤング)지
여성영어덜트(ヤングアダルト)지
여성미들에이지(ミドルエイジ)지
여성시니어(シニア)지
비즈니스·머니지
물건·트렌드 정보지
스포츠지
자동차지
오토바이지
퍼스널컴퓨터·컴퓨터지
생활실용정보지
음식·구르메 정보지
내추럴라이프지
뷰티코스메지
마터니티육아지
건강지
브라이덜 정보지
여행·레저지
지역정보지
문예·역사지
텔레비전 정보지
엔터테인먼트 정보지
게임·애니메이션 정보지
소년 대상 코믹지
남성 대상 코믹지
소녀 대상 코믹지
여성 대상 코믹지
차량 내·기내·회원지
프리매거진
건축·주택지
업계·기술 전문지
간호
아동지
아웃도어
주택(인테리어·익스테리어·잡화)
손수 만드는 것
원예
애완동물
시계
기모노
미용(기술자)
카메라
자연과학
아트·디자인
크로스워드 퍼즐
취미
도박·로또
어학
교양
교육(일반)
교육(실무자)
시각표
연감
무크


3. 1. 발행 주기별

현재 발행되고 있는 잡지들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발행 주기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57]

  • 주간
  • 격주간
  • 순간(旬刊)
  • 반월간
  • 월간
  • 격월간
  • 계간
  • 반연간
  • 연간

3. 2. 내용별

현재 발행되는 잡지들은 내용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57]

  • 여성지: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하며, 19세기에는 전통적인 성 역할을 강조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초기 여성 잡지로는 『고디스 레이디스 북(Godey's Lady's Book)』과 『하퍼스 바자(Harper's Bazaar)』 등이 있다. 『하퍼스 바자』는 꾸뛰르 패션과 액세서리에 집중한 최초의 잡지였다.[18] 1920년대에는 『디 다메(Die Dame)』와 『다스 블라트 데어 하우스프라우(Das Blatt der Hausfrau)』같은 잡지들이 등장하여 세련되고 경제적으로 독립적인 "뉴 걸(New Girl)"의 이미지를 제시했다.[33] 1852년에는 최초로 주부와 엄마를 대상으로 한 여성 잡지가 발행되었으며,[34] 이러한 잡지들은 육아와 관련된 기사, 조언, 광고 등을 통해 어머니됨과 자녀 양육에 대한 견해에 큰 영향을 미쳤다.[35] 미국의 대표적인 여성 잡지로는 "7자매"로 불리는 『레이디스 홈 저널(Ladies' Home Journal)』, 『굿 하우스키핑(Good Housekeeping)』, 『맥콜스(McCall's)』, 『우먼스 데이(Woman's Day)』, 『레드북(Redbook)』, 『패밀리 서클(Family Circle)』, 그리고 『베터 홈스 앤 가든스』가 있다.
  • 아동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잡지이다.
  • 학생지: 학생을 위한 잡지이다.
  • 수험·학습지: 수험생과 학습자를 위한 잡지이다.
  • 종합지: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잡지이다.
  • 대중오락지: 대중적인 오락거리를 제공하는 잡지이다.
  • 문예지: 문학 작품을 주로 다루는 잡지이다.
  • 평론지: 시사, 사회 문제 등에 대한 평론을 싣는 잡지이다.
  • 학술·전문지: 특정 학문 분야나 전문 분야를 다루는 잡지이다. 학술논문을 주로 게재하며, 특히 자연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매체이다.
  • 회보(會報): 특정 단체의 소식이나 정보를 담은 잡지이다.
  • 기관지: 특정 기관이나 단체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는 잡지이다.
  • 홍보지(PR지): 특정 기업이나 상품,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한 잡지이다.
  • 카탈로그(誌): 상품 목록을 싣는 잡지이다.
  • 무크(Mook): 잡지와 서적의 중간 형태로, 유통상 잡지로 취급된다.
  • 동인지(同人誌): 동호인들이 자신의 작품을 발표하기 위해 발행하는 잡지이다.
  • 타운정보지: 특정 지역의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잡지이다.
  • 전문 잡지: 특정 산업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잡지로, 업계 잡지 또는 기업 간 잡지라고도 한다. 해당 산업의 동향과 뉴스를 다루며, 전문 협회 회원 자격이 포함된 구독이 일반적이다. 광고나 광고 기사를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예로는 ''Advertising Age'', ''Automotive News'', Broadcast, The Bookseller'', 및 ''The Stage''가 있다.[39][40][41][42][43]
  • 종교 잡지: 종교 단체에서 종교 교리를 전파하고 전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잡지이다. 여호와의 증인의 주요 잡지인 ''파수대''는 찰스 테이즈 러셀이 1879년 7월 ''시온의 파수대와 그리스도의 임재의 전령''이라는 제목으로 창간했다. 공개판은 세계에서 가장 널리 배포되는 잡지 중 하나이며, 평균 발행 부수는 호당 약 부이다.[36]
  • 유명인 잡지: 유명인과 명사들의 이야기와 사진을 싣는 잡지로, 미국에서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다.[37] 2019년 ''피플''지는 총 명의 독자 수를 기록하며 ESPN 매거진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38]


일본잡지광고협회(日本雑誌広告協会) 잡지분류인정위원회가 정한 “잡지 장르·카테고리 구분”[47]에 따르면, 잡지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2021년 7월 기준, 틴즈(ティーンズ)는 19세 이하, 영(ヤング)은 20~24세, 영어덜트(ヤングアダルト)는 25~39세, 미들에이지(ミドルエイジ)는 40~59세, 시니어(シニア)는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다.)

장르명카테고리대상 독자 성별매체
종합월간지
일반주간지
사진주간지
여성주간지
남성영(ヤング)지
남성영어덜트(ヤングアダルト)지
남성미들에이지(ミドルエイジ)지
여성틴즈(ティーンズ)지
여성영(ヤング)지
여성영어덜트(ヤングアダルト)지
여성미들에이지(ミドルエイジ)지
여성시니어(シニア)지
비즈니스·머니지
물건·트렌드 정보지
스포츠지
자동차지
오토바이지
퍼스널컴퓨터·컴퓨터지
생활실용정보지
음식·구르메 정보지
내추럴라이프지
뷰티코스메지
마터니티육아지
건강지
브라이덜 정보지
여행·레저지
지역정보지
문예·역사지
텔레비전 정보지
엔터테인먼트 정보지
게임·애니메이션 정보지
소년 대상 코믹지
남성 대상 코믹지
소녀 대상 코믹지
여성 대상 코믹지
차량 내·기내·회원지
프리매거진
건축·주택지
업계·기술 전문지
간호
아동지
아웃도어
주택(인테리어·익스테리어·잡화)
손수 만드는 것
원예
애완동물
시계
기모노
미용(기술자)
카메라
자연과학
아트·디자인
크로스워드 퍼즐
취미
도박·로또
어학
교양
교육(일반)
교육(실무자)
시각표
연감
무크



위의 분류 외에도 다양한 분야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잡지가 존재한다.

3. 3. 판형별

현재 발행되고 있는 잡지들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57]

3. 4. 영리성별

영리성별로는 상업지와 비상업지로 나뉜다.[57]

; 상업잡지

: 상업 출판사가 영리를 주된 목적으로 발행하는 것이다. 일반잡지 외에, 상업적으로 출판되는 학술잡지도 포함한다.

; 학술잡지

: 학술논문을 주로 게재한다. 자연과학 분야에서 특히 중요한 매체이다.

; 관공서 잡지

: 중앙관청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것이다. 일부는 시판되기도 하지만, 일반 출판 유통에서는 취급하지 않는 것이 많다.

; 단체·협회지

: 대부분 회원에게 배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시판되지 않는다. 기관지(기관잡지)를 참고한다.

; 동인지

: 동호인이 자신의 작품을 발표하기 위해 발행하는 것이다. (동인지 중에는 시리즈화나 정기 발행이 되지 않고, “잡지”라고는 할 수 없는 간행물도 포함된다).

; 기업잡지

: PR 잡지, 사보, 기술보 등.

3. 5. 일본 잡지 분류

현재 발행되는 일본 잡지들은 발행 주기, 내용, 판형, 영리성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57]

  • 발행주기별: 주간, 격주간, 순간(旬刊), 반월간, 월간, 격월간, 계간, 반연간, 연간 등.
  • 내용별: 여성지, 아동지, 학생지, 수험·학습지, 종합지, 대중오락지, 문예지, 평론지, 학술·전문지, 회보(會報), 기관지, 홍보지(PR지), 카탈로그(誌), 무크(Mook), 동인지(同人誌), 타운정보지 등.
  • 판형별: A6판, B6판, A5판, B5판, A4판, 타블로이드판 등.
  • 영리성별: 상업지, 비상업지 등.


; 일반잡지

: 시판을 목적으로 하는 잡지로, 범위가 매우 넓다. 발행 빈도는 주간에서 계간 사이가 대부분이며, 월간이 가장 많다.

; 상업잡지

: 상업 출판사가 영리를 주된 목적으로 발행한다. 일반잡지 외에, 학술잡지 중 상업적으로 출판되는 것도 포함한다.

; 학술잡지

: 학술논문을 주로 게재하며, 특히 자연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매체이다.

; 관공서 잡지

: 중앙관청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한다. 일부는 시판되기도 하지만, 일반 출판 유통에는 취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단체·협회지

: 대부분 회원에게 배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시판되지 않는다. 기관지(기관잡지) 참조.

; 동인지

: 동호인이 자신의 작품을 발표하기 위해 발행한다. (동인지 중에는 시리즈화나 정기 발행이 되지 않고, “잡지”라고는 할 수 없는 간행물도 포함한다).

; 기업잡지

: PR 잡지, 사보, 기술보 등.

일본잡지광고협회(日本雑誌広告協会) 잡지분류인정위원회(雑誌分類認定委員会)가 정한 “잡지 장르·카테고리 구분”[47]은 다음과 같다. 분류 항목은 2021년 7월 기준이며, 장르명, 카테고리, 대상 독자의 성별, 매체, 잡지 발행사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 틴즈(ティーンズ): 19세 이하
  • 영(ヤング): 20~24세
  • 영어덜트(ヤングアダルト): 25~39세
  • 미들에이지(ミドルエイジ): 40~59세
  • 시니어(シニア): 60세 이상


잡지 종류
종합월간지
일반주간지
사진주간지
여성주간지
남성영(ヤング)지
남성영어덜트(ヤングアダルト)지
남성미들에이지(ミドルエイジ)지
여성틴즈(ティーンズ)지
여성영(ヤング)지
여성영어덜트(ヤングアダルト)지
여성미들에이지(ミドルエイジ)지
여성시니어(シニア)지
비즈니스·머니지
물건·트렌드 정보지
스포츠지
자동차지
오토바이지
퍼스널컴퓨터·컴퓨터지
생활실용정보지
음식·구르메 정보지
내추럴라이프지
뷰티코스메지
마터니티육아지
건강지
브라이덜 정보지
여행·레저지
지역정보지
문예·역사지
텔레비전 정보지
엔터테인먼트 정보지
게임·애니메이션 정보지
소년 대상 코믹지
남성 대상 코믹지
소녀 대상 코믹지
여성 대상 코믹지
차량 내·기내·회원지
프리매거진
건축·주택지
업계·기술 전문지
간호
아동지
아웃도어
주택(인테리어·익스테리어·잡화)
손수 만드는 것
원예
애완동물
시계
기모노
미용(기술자)
카메라
자연과학
아트·디자인
크로스워드 퍼즐
취미
도박·로또
어학
교양
교육(일반)
교육(실무자)
시각표
연감
무크


4. 기능

현대 사회에서 잡지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저널리즘 형식''': 잡지는 주간 또는 월간 등 일정 간격을 두고 발행되어 그 기간 동안의 시사적 변화를 반영한다. 일간 신문이나 텔레비전, 라디오 등에 비해 속보성은 떨어지지만, 시사성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이다.[58]
  • '''미니 커뮤니케이션''': 잡지는 특정 소그룹을 대상으로 편집되고 배포되는 '미니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속한다. 회사나 조직에서 발행하는 사내 잡지나 PR 잡지 등이 이에 해당하며, 발행 부수는 수백 부에서 수백만 부까지 다양하다. 이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매스 커뮤니케이션과는 차이가 있다.[58]

5. 유통

독일 인쇄 잡지


잡지는 우편, 신문 가판대, 서점 또는 기타 판매업체를 통한 판매, 또는 선택된 수령 장소에서 무료 배포를 통해 유통될 수 있다. 전자 배포 방법에는 소셜 미디어, 이메일, 뉴스 애그리게이터, 간행물의 웹사이트, 검색 엔진 결과의 가시성이 포함될 수 있다. 전통적인 구독 배포 비즈니스 모델은 다음 세 가지 주요 범주로 나뉜다.

  • 유료 발행 부수: 독자가 가격을 지불하고 잡지를 구매하며, 개별 구매 또는 정기 구독을 통해 잡지를 받는다. 유료 발행 부수는 명확한 독자 통계를 가능하게 한다.[3][4]
  • 무료 배포: 잡지가 무료로 배포된다. 예를 들어, 거리의 자동판매대, 항공편, 또는 다른 제품이나 간행물과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통계는 배포된 잡지 수만 나타낼 뿐 누가 읽었는지는 포함하지 않는다.
  • 관리 유통: 주로 전문 잡지에서 사용하는 모델로, 자격을 갖춘 독자에게만 무료로 배포된다. 이는 광고가 광고주의 목표 고객에게 전달될 가능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인쇄 및 배포 비용을 절감한다.[5]

5. 1. 소매 판매

소매점 판매는 가장 일반적인 유통 방식이다. 택배 판매나 디지털 판매와 같은 방법도 이용된다.[1] 유통을 통해 서점이나 역매점, 편의점 등에서 판매된다. 이 경우 잡지 코드 취득이 필수적이지만, 입수가 어렵다.[1]

간행 간격이 짧을수록 출판사에 대한 반품 기한도 짧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서점 진열대에 놓이는 기간은 짧아진다. 잡지에 따라서는 특약점이나 일부 서점에서 상시 비치하는 경우도 있으며, 서점 재고가 몇 권밖에 없을 경우에는 반품 기한이 지나도 반품하지 않고 그대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외의 서점에서는 과거에 간행된 호(백넘버)를 입수하기 어렵다. 또한, 온라인 서점에서는 유통 시스템의 관계상 백넘버는 원칙적으로 반품하지 않고 재고를 판매할 때까지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1]

유럽에는 서점 외에 잡지와 신문만을 취급하는 전문점이 있다. 일부는 논픽션 책도 갖추고 있기도 하다. 신문·잡지점과 같은 유형이다.[1]

5. 2. 택배 판매

소매점 판매가 가장 일반적인 유통 방식이며, 택배 판매나 디지털 판매와 같은 방법도 이용된다.

전문적인 분야의 잡지는 계약제로 기업이나 개인 주택에 직접 배송하기도 한다. 전문적이지 않더라도 독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정기구독 계약을 하면 배송해 주는 경우가 많다.

소매 판매와 배송을 모두 하는 잡지가 많지만, 배송 전문 잡지도 존재한다. 소매 판매와 배송을 모두 하는 잡지의 경우, 정기구독 계약을 하면 배송료가 무료가 되고 덤과 같은 혜택을 주기도 한다.

도서와 잡지는 일본의 문화 정책의 일환으로 우편 요금이 저렴하게 유지되고 있으며(ゆうメール), 특히 제3종 우편으로 지정된 정기간행물의 우편 요금은 저렴하다. 학술 간행물(학회지)의 경우 제4종 우편으로 더 저렴한 요금으로 보낼 수 있다. 우체국 이외의 민간 택배 업체에서도 메일 편의 대량 할인 등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배송할 수 있다.

5. 3. 디지털 판매

전자책의 일종인 디지털 잡지(디지털 매거진) 발행이 일본에서도 시작되었다. 기사 단위 판매나 소개가 아니라, 표지부터 뒷표지까지 기사와 광고 모두를 보여주는 형태이다. 이러한 디지털 잡지는 그 특성을 이용하여 잡지 내부 검색, 동영상 삽입, 편집 페이지나 광고 페이지에서 홈페이지로의 링크 연결 등의 기능을 추가하기도 한다.

2006년에는 주부의 친구사가 종이 매체로는 휴간한 『ef』를 『디지털 ef』로 디지털 판으로만 발행하였다. 2007년 초에는 『뉴스위크 일본판』과 『R25』가 디지털 판 유통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다른 많은 잡지들( 무료 잡지 포함)도 디지털 잡지로 발매 또는 발행되기 시작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2년경부터 디지털 잡지 판매가 시작되어 새로운 유통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6. 잡지 표지

특정 잡지의 표지를 장식하는 것은 영광이나 영예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타임'', ''롤링 스톤'', ''보그'',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등이 있다.


  • 타임지 표지 목록
  • 롤링스톤 미국판 표지 인물 목록
  • 보그(미국판) 표지 모델 목록
  •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수영복 특집 표지 모델 목록
  • 내셔널 지오그래픽 표지 기사 목록


표지 그림 문서도 참조할 수 있다.

잡지 표지 지표는 그다지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제 지표이지만, 때때로 기술 분석가들에 의해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7. 기타

잡지의 과월호는 '''백넘버'''(back number)라고 부른다. 발매 후 1년 이상 지난 백넘버는 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49] 잡지에 실린 기사나 작품(소설, 만화 등)은 단행본으로 나오기도 하지만, 잡지 전체 내용에 비하면 극히 일부여서 잡지 백넘버가 독서나 수집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헌책방 중에는 특정 장르의 잡지 백넘버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곳도 있고,[50] 인터넷 경매나 중고거래 앱을 통해 개인 간 거래도 이루어진다.

백넘버를 볼 수 있는 곳으로는 잡지 전문 도서관인 오야 소이치 문고(도쿄도 세타가야구)가 있다. 2018년 6월 10일 폐관된 “육월사”(도쿄도 신주쿠구)도 잡지 전문 도서관이었다.[51][52]

백넘버라는 말은 일본식 영어로 알려져 있지만,[53] 잡지 과월호를 뜻하는 back number라는 영어 표현이 실제로 존재하므로, 일본식 영어가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영어에서는 back issue라는 표현이 일반적이다).[54]

7. 1. 독자 투고란

잡지는 독자 투고란을 마련하는 경우가 많다. 상업적인 이유로 적절한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편집부의 선별을 거친 것이 게재된다. 이것이 독자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글을 써야 한다는 규범을 심어주고, 지적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여겨진다.[1]

7. 2. 백넘버

잡지의 과월호는 '''백넘버'''(back number)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발매 후 1년 이상 지난 백넘버는 입수가 어렵다고 여겨진다.[49]

잡지에 게재된 기사나 작품(소설, 만화 등)은 단행본으로 출판되기도 하지만, 잡지 내용 전체에 비하면 아주 일부분이다. 이 때문에 잡지 백넘버가 독서·감상이나 수집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헌책방 중에는 특정 장르의 잡지 백넘버를 전문으로 또는 일부 취급하는 곳도 있다.[50] 그 외에 인터넷 경매나 중고거래 앱 등을 통해 개인 간에 거래되는 경우도 있다.

백넘버를 열람할 수 있는 곳으로는 잡지 전문 도서관인 다이타쿠 소이치 문고(도쿄도 세타가야구)가 있다. 유사한 잡지 전문 도서관이었던 “육월사”(도쿄도 신주쿠구)는 2018년 6월 10일에 폐관되었다.[51][52]

참고로 백넘버라는 말은 이른바 일본식 영어의 하나로 여겨지기도 하지만,[53] 잡지 과월호를 의미하는 back number라는 영어 표현 자체는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의심하는 견해도 있다(단, 영어에서는 back issue라는 표현이 일반적이라고 여겨진다).[54]

참조

[1] 웹사이트 magazine {{!}} Origin and meaning of magazine https://www.etymonli[...] 2019-10-02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Magazine https://www.merriam-[...] 2019-09-18
[3] 뉴스 Circulation 101: U.S. Newspaper Terms for Paid and Business/Traveler Circulation https://knowledge.au[...] 2018-11-18
[4] 웹사이트 Research Guides: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Circulation data https://libguides.ma[...] 2020-10-09
[5] 웹사이트 Home Page – PPA http://www.ppa.co.uk[...] 2017-02-12
[6] 웹사이트 History of magazines http://www.magazined[...] Magazine Designing 2013-10-10
[7] 웹사이트 Magazine –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 Samuel Johnson – 1755 http://johnsonsdicti[...] 2012-07-16
[8] 백과사전 Magazine
[9] 뉴스 The History of Magazines https://www.magazine[...] Magazines.com 2016-09-16
[10] 웹사이트 App launches for The Scots Magazine - allmediascotland…media jobs, media release service and media resources for all http://www.allmedias[...] 2019-09-18
[11] 웹사이트 Lloyd's List set to become a totally digital service on 20 December 2013 https://www.lloydsli[...] 2018-02-07
[12] 논문 The periodical press in eighteenth-century English and French society: a cross-cultural approach 1981
[13] 서적 The French press in the age of Enlightenment Taylor & Francis 2002
[14] 서적 Revolution in Print: the Press in France, 1775–1800 1989
[15]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Creation of Modern Political Culture: The transformation of the political culture, 1789–1848 1989
[16] 논문 The French Catholic press and the July Revolution 1998
[17] 웹사이트 Usually a periodical publication: MAGAZINE http://hozir.org/usu[...] 2019
[18] 서적 As Seen in Vogue: A Century of American Fashion in Advertising https://books.google[...] Texas Tech University Press 2004
[19] 서적 Media Now: Understanding Media, Culture, and Technology Nelson Education 2015
[20] 서적 Media Impact: An Introduction to Mass Media, 2013 Update Cengage Publishing 2013
[21] 간행물 About http://harpers.org/h[...] 2018
[22] 서적 A History of American Magazines, 1865–1885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8-08-20
[23] 서적 The A to Z of the Progressive Er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4] 서적 The muckrakers and American society Heath 1968
[25] 서적 The Muckrakers: Evangelical Crusaders Praeger 2000
[26] 논문 American Muckrakers and Muckraking: The 50-Year Scholarship 1979
[27] 웹사이트 Number of magazine launches and closures in North America 2015 {{!}} Statistic http://www.statista.[...] 2016-05-06
[28] 웹사이트 93 Magazines Launch in First Half of 2014 http://www.mediapost[...] 2014-07-01
[29] 웹사이트 Jet Magazine to Shift to Digital Publishing Next Month {{!}} Johnson Publishing Company https://web.archive.[...] 2014-05-07
[30] 뉴스 Ladies' Home Journal to Become a Quarterly https://www.nytimes.[...] 2014-04-24
[3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Magazines and Subscriptions http://www.magazined[...] MagazineDeals.com 2014-06-29
[32] 뉴스 In a Digital Age, High-End Outdoors Magazines Are Thriving in Print https://www.nytimes.[...] 2024-06-17
[33] 논문 Before Cosmopolitan: The Girl in German women's magazines in the 1920s 2007
[34] 웹사이트 Women's magazines down the ages http://www.theguardi[...] 2020-11-25
[35] 논문 The Question of the Spotted Muumuu: How the Australian Women's Weekly Manufactured a Vision of the Normative School Mother and Child, 1930s–1980s 2018-05
[36] 간행물 Contents page
[37] 웹사이트 Top 20 Best-Selling Magazines In Supermarkets https://www.supermar[...] 2021-01-21
[38] 웹사이트 Reach of popular magazines in the United States in June 2019 https://www.statista[...] 2021-01-21
[39] 웹사이트 Q. What is a trade publication or trade magazine? https://libanswers.m[...] Middle Tennessee State University 2022-02-04
[40] 웹사이트 LIS1001: Resource Types https://libguides.un[...] University of North Florida 2022-02-04
[41] 웹사이트 Journals & Magazines https://library.pied[...] Piedmont University 2022-02-04
[42] 웹사이트 Informa closes two B2B news brands covering TV business https://pressgazette[...] 2024-11-11
[43] 웹사이트 The Stage and Bookseller shift resources towards digital future https://pressgazette[...] 2024-11-11
[44] 웹사이트 本の基礎知識 http://www.nihon-zas[...] 2018-09-30
[45] 웹사이트 雑誌の「休刊」と「廃刊」、何が違う? https://www.ajpea.or[...] 2018-09-30
[46] 서적 出版界おもしろ豆事典 北辰堂出版
[47] 웹사이트 「雑誌ジャンル・カテゴリ区分」最新表 http://www.zakko.or.[...] 日本雑誌広告協会 2021-11-09
[48] 웹사이트 広告料金の例(日経ビジネス) - 最も高額なページはページ単価(見開き)が500万円以上に設定されている。 http://adweb.nikkeib[...]
[49] 웹사이트 書店用語基礎知識 http://www.booksaz.c[...] オサダ文昭堂 2024-08-27
[50] 웹사이트 magnif:古本の街 神田神保町に店を構える、“雑誌”をテーマにした古書店です。 http://www.magnif.jp[...] 2018-09-30
[51] 뉴스 「大宅文庫」に次ぐ規模--高田馬場の雑誌図書館 閉館へ「六月社」10万冊処分の危機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06-05
[52] 웹사이트 雑誌図書館「六月社」が閉館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2021-11-09
[53] 웹사이트 間違えやすい和製英語にご注意!(ハ) https://allabout.co.[...] 2024-08-27
[54] 웹사이트 微妙に違う和製英語 と まったく通じない和製英語 https://www.jescorp.[...] 翻訳会社 ジェスコーポレーション 2024-08-27
[55] 웹사이트 잡지의 기원 https://ko.wikisourc[...]
[56] 서적 근대 중국의 언어와 역사 소명출판 2005
[57] 웹사이트 잡지의 종류 https://ko.wikisourc[...]
[58] 웹사이트 잡지의 기능 https://ko.wikisourc[...]
[59] 웹사이트 세계의 잡지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