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시감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시감도는 사람의 눈이 빛의 파장에 따라 느끼는 밝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한국에서는 '분광 시감 효율'과 '비시 감도' 두 가지 용어가 사용되며, 1992년 이후 공식적으로는 '분광 시감 효율'이 사용되지만, 여전히 '비시 감도'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된다. 비시감도는 사람의 눈이 최대 감도를 갖는 파장에서 느끼는 세기를 1로 하여 다른 파장에서의 밝기를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낸 값으로, 국제조명위원회(CIE)에서 표준 분광 시감 효율을 규정하고 있다. 표준 분광 시감 효율에는 밝은 환경에서의 명소시 표준 분광 시감 효율과 어두운 환경에서의 암소시 표준 분광 시감 효율이 있으며, 빛의 파장에 따라 눈의 감도가 달라지는 색각 이상과도 관련이 있다. 비시감도는 빛의 물리적인 양인 방사량과는 달리, 사람이 느끼는 밝기를 고려한 심리물리량인 측광량과 관련이 있으며, 국제 단위계(SI)에서는 광속, 광도, 휘도, 조도 등 다양한 단위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시감도 | |
|---|---|
| 개요 | |
| 종류 | 심리물리학 |
| 연구 분야 | 시각 |
| 관련 항목 | 색깔 밝기 눈 시각 색각 색채 과학 심리 측정학 심리물리학 |
| 설명 | |
| 정의 | 빛의 파장에 따른 눈의 상대적인 감도 |
| 기호 | (λ)}} 또는 |
| 특성 | 표준적인 관찰자의 평균적인 스펙트럼 감도를 나타내는 함수 밝기 또는 광도를 인식하는 인간의 시각 체계의 평균적인 스펙트럼 감도 |
| 표준 | |
| 표준화 기구 | ISO / CIE |
| 표준 번호 | ISO/CIE 23539:2023 |
| 표준 이름 | CIE TC 2-93 측광 - 물리적 측광의 CIE 시스템 |
2. 용어
한국에서는 '''분광 시감 효율'''과 '''비시 감도'''라는 두 가지 용어가 사용된다. 원래는 '비시 감도'라는 용어가 일반적이었으나, 1992년 경제산업성령 "계량 단위 규칙"에서 '분광 시감 효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11] 2019년에 발표된 일본 공업 규격 JISZ8785에서도 "분광 시감 효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분광 시감 효율"이 공식적인 명칭으로 여겨지지만, '비시 감도'라는 용어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사 시험에서는 여전히 '비시 감도' 용어가 사용된다.
사람의 눈은 파장에 따라 빛을 다르게 감지한다. 이러한 감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을 비시감도라고 한다. 사람이 최대 감도를 갖는 파장에서 느끼는 세기를 "1"로 하고, 다른 파장의 밝기를 느끼는 정도를 그 비율(1 이하의 수)로 나타낸다.
3. 표준 분광 시감 효율
국제조명위원회(CIE)와 국제도량형총회는 사람들의 평균적인 분광 시감 효율을 바탕으로 세계 표준이 되는 '''표준 분광 시감 효율'''(또는 '''표준 비시감도''')을 규정했다. 밝은 곳에서는 555nm(나노미터) 부근의 빛을, 어두운 곳에서는 507nm 부근의 빛을 가장 강하게 느낀다. 표준 분광 시감 효율에는 '''명소시 표준 분광 시감 효율'''()과 '''암소시 표준 분광 시감 효율'''()이 있다.
3. 1. 명소시 (Photopic Vision)

명소시는 일상적인 조명 수준에서 인간 눈의 반응을 가장 잘 근사하는 휘도 효율 함수이다. 이는 CIE 1931 색 공간에서 사용되는 CIE 표준 곡선이다.
광원의 광속(또는 가시 전력)은 명소시 휘도 함수로 정의된다. 광원의 총 광속을 계산하는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형식적으로, 적분은 휘도 함수와 스펙트럼 전력 분포의 내적이다. 실제로는, 적분은 휘도 효율 함수의 표 값들을 사용할 수 있는 이산 파장에 대한 합으로 대체된다. CIE는 380 nm에서 780 nm까지 5 nm 간격으로 휘도 함수 값을 갖는 표준 표를 배포한다.
표준 휘도 효율 함수는 555 nm에서 1의 피크 값으로 정규화된다(광도 계수 참조). 적분 앞의 상수 값은 보통 683 lm/W로 반올림된다. 루멘은 540 THz의 주파수에서 1/683 W의 복사 에너지에 대해 1로 정의되며, 이는 555 nm가 아닌 555.016 nm의 표준 공기 파장에 해당하며, 이는 휘도 곡선의 피크이다. (''λ'')의 값은 555.016 nm에서 0.999997이므로, 683/0.999997 = 683.002의 값이 곱셈 상수이다.
683이라는 숫자는 광도 단위인 칸델라의 현대적(1979) 정의와 관련이 있다.
사람의 눈이 최대 감도를 갖는 파장에서 느끼는 세기를 "1"로 하고, 다른 파장의 밝기를 느끼는 정도를 그 비율로 나타낸 값은 1 이하의 수로 표현한다. 밝은 곳에서는 555nm(나노미터) 부근의 빛을 가장 강하게 느낀다. 국제조명위원회(CIE)와 국제도량형총회에 의해, 사람의 분광 시감 효율의 평균으로부터 세계 표준이 되는 '''표준 분광 시감 효율'''(또는 '''표준 비시감도''')이 규정되어 있다. 표준 분광 시감 효율에는 '''명소시 표준 분광 시감 효율'''(또는 '''명소시 표준 비시감도''') 가 있다.
3. 2. 암소시 (Scotopic Vision)
매우 낮은 조도 수준(암순응)에서 눈의 감도는 원추 세포가 아닌 간상 세포에 의해 매개되며, 젊은 눈의 경우 자주색 쪽으로 이동하여 507 nm 부근에서 최고조에 달한다. 감도는 이 최고점에서 [7] 또는 과 같다. 표준 암순응 광도 효율 함수 또는 ''V''′(''λ'')는 1951년 국제조명위원회(CIE)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Wald (1945)와 Crawford (1949)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한다.[7]
사람의 눈이 최대 감도를 갖는 파장에서 느끼는 세기를 "1"로 하고, 다른 파장의 밝기를 느끼는 정도를 그 비율로 나타낸 값은 1 이하의 수로 표현한다. 어두운 곳에서는 507nm 부근의 빛을 가장 강하게 느낀다고 알려져 있다. 국제조명위원회(CIE)와 국제도량형총회에 의해, 사람의 분광 시감 효율의 평균으로부터 세계 표준이 되는 '''표준 분광 시감 효율'''(또는 '''표준 비시감도''')이 규정되어 있다. 표준 분광 시감 효율에는 '''암소시 표준 분광 시감 효율'''(또는 '''암소시 표준 비시감도''')이 있다.
3. 3. 중간시 (Mesopic Vision)
암순응과 명순응 시각 사이의 넓은 전이대인 중간 시각의 광도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이 광도 효율이 암순응 및 중간 시각 광도의 가중 평균으로 작성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만, 다른 조직에서는 다른 가중 계수를 제공한다.[8]
4. 최대 시감도
최대 시감도란 시감도가 최대가 되는 빛의 파장이다. 밝은 장소에서는 많은 사람이 파장 555nm에서 시감도가 최대가 되므로 명소 최대 시감도는 파장 555nm로 여겨진다. 555nm에서의 시감도는 683lm/W로 여겨진다.
매우 낮은 조도 수준에서는 눈의 감도가 원추 세포가 아닌 간상 세포에 의해 매개되며, 젊은 눈의 경우 자주색 쪽으로 이동하여 507nm 부근에서 최고조에 달한다.
5. 표준의 개선
CIE 1924 광시야 ''V''(''λ'') 광도 함수는 CIE 1931 색상 일치 함수의 y(''λ'') 함수로 포함되어 있는데, 파란색 스펙트럼에서 느껴지는 밝기(휘도)를 실제보다 낮게 평가한다는 문제가 오랫동안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표준 함수를 개선하여 인간의 시각을 더 잘 반영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1951년 딘 B. 저드가 개선하고, 1978년 보스가 개선한 결과 CIE ''V''M(''λ'')로 알려진 함수가 개발되었다. 더 최근에는 Sharpe, Stockman, Jagla & Jägle (2005)가 Stockman & Sharpe 원추 기본색과 일치하는 함수를 개발했다.
Stockman & Sharpe는 이후 2011년에 색채 적응의 영향을 ''주간광''(밝은 환경)에서 고려하여 개선된 함수를 제작했다.[2] 2008년 그들의 연구[3]는 "발광 효율 또는 V(λ) 함수는 색채 적응에 따라 극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밝혀냈다.[4]
6. 색각 이상과 시감도
색각 이상은 파장에 따른 눈의 감도에 변화를 준다. 적색약을 가진 사람의 경우, 눈의 반응 최고점이 스펙트럼의 단파장 부분(약 540nm)으로 이동하며, 녹색약을 가진 사람의 경우, 스펙트럼의 최고점이 약 560nm로 약간 이동한다.[9] 적색약 환자는 670nm 이상의 파장의 빛에 대한 감도가 거의 없다.
대부분의 비영장류 포유류는 적색약 환자와 동일한 발광 효율 함수를 갖는다. 장파장의 적색광에 대한 감수성이 없기 때문에 동물의 야행성 생활을 연구하는 동안 이러한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10]
정상적인 색각을 가진 노인의 경우, 수정체가 백내장으로 인해 약간 노랗게 변할 수 있으며, 이는 감도의 최고점을 스펙트럼의 적색 부분으로 이동시키고 인식되는 파장의 범위를 좁힌다.
7. 순물리량과 심리물리량
'''방사량'''은 빛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량의 총칭이다. 방사량은 사람의 지각이나 명암 감각 등과는 직접 대응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외선이나 자외선은 방사 에너지를 가지지만 사람에게는 전혀 밝기로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방사량은 순수한 물리량이라는 의미로 '''순물리량'''이라고 불린다. 이에 반해 '''측광량'''은 사람이 느끼는 밝기를 나타내는 수량의 총칭이다. 이것은 방사량에 사람의 분광 감도를 고려하여 계산한 것으로, 물리량이지만 사람의 느낌이 가미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심리물리량'''이라고 불린다.[16]
국제 단위계에서는 파장 555nm에서의 시감도 683lm/W를 최대 시감도로 하는 "명소시 분광 시감 효율"을 순물리량에 곱하여 광속, 광도, 조도, 휘도, 광량과 같은 심리물리량으로 하고 있다.
8. 관련 단위 (국제단위계)
| 측광량 | SI 단위 | 비고 | |
|---|---|---|---|
| 명칭 | 기호 | ||
| 광선속 에너지 | 루멘초 | lm⋅s | 복사 에너지 |
| 광속 | 루멘(또는 칸델라스테라디안) | lm | 복사속 |
| 광도 | 칸델라 | cd | 복사 강도 |
| 휘도 | 칸델라 매제곱미터 | cd/m2 | 복사 휘도 |
| 조도 | 룩스 (또는 루멘 매 제곱미터) | lx | 복사 조도 |
| 광속 발산도 | 룩스 (또는 루멘 매 제곱미터) | lx | 복사 발산도 |
| 시감 효율 | 루멘 매와트 | lm/W | |
| 발광 효율 | 루멘 매 와트 | lm/W | 램프 효율 |
참조
[1]
서적
ISO/CIE 23539:2023 CIE TC 2-93 Photometry — The CIE system of physical photometry
https://www.iso.org/[...]
ISO/CIE
2023-01-01
[2]
논문
A Luminous Efficiency Function, V*D65(λ), for Daylight Adaptation: A Correction
2011-02-01
[3]
논문
The dependence of luminous efficiency on chromatic adaptation.
2008-12-15
[4]
논문
Cone fundamentals and CIE standards
http://www.cvrl.org/[...]
2023-10-27
[5]
웹사이트
Colorimetry -- Part 1: CIE standard colorimetric observers
https://www.iso.org/[...]
2018-12-09
[6]
웹사이트
Kay & Laby;tables of physical & chemical constants;General physics;SubSection: 2.5.3 Photometry
http://www.kayelaby.[...]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UK
2018-12-09
[7]
웹사이트
Scotopic luminosity function
http://www.cvrl.org/[...]
[8]
문서
Photopic and Scotopic lumens - 4: When the photopic lumen fails us
http://www.visual-3d[...]
[9]
서적
Contributions to Color Science
https://books.google[...]
NBS
[10]
논문
The use of sodium lamps to brightly illuminate mouse houses during their dark phases
http://la.rsmjournal[...]
[11]
서적
色彩学の基礎
文化書房博文社
[12]
서적
色彩工学入門 定量的な色の理解と活用
森北出版株式会社
[13]
서적
改訂版 わかる! 色彩検定2・3級問題集
신성출판사
[14]
웹사이트
基礎事項解説
https://www.ieij.or.[...]
2024-11-01
[15]
논문
Cone fundamentals and CIE standards
http://www.cvrl.org/[...]
2023-10-27
[16]
서적
有機ELの本
日刊工業新聞社
2008-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