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르 체르케소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토르 체르케소프는 러시아의 정보 기관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했다. 그는 197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대학교를 졸업하고 KGB에서 근무했으며, 소련 붕괴 이후에는 FSB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지부장을 지냈다. 푸틴 대통령의 북서 연방관구 전권 대사와 국가 마약·정신제 유통 감독 위원회 의장을 거쳐, 2008년에는 조달국 국장으로 임명되었다. 2007년에는 실로비키 간의 권력 투쟁에 연루되었으며, 202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정치인 - 알렉세이 코시긴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코시긴은 1964년부터 1980년까지 소련의 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스탈린 시대에 급속 승진하여 경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65년 경제 개혁을 통해 소비재 생산 확대와 경제 효율성 증대를 시도했다. -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정치인 - 표트르 슈발로프
표트르 안드레예비치 슈발로프는 19세기 러시아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알렉산드르 2세의 측근으로 주요 요직을 거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으나, 베를린 조약 체결 후 비판을 받고 은퇴했다. - 조국공헌훈장 수훈자 - 보리스 옐친
보리스 옐친은 소련 공산당에서 활동하다가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이 되어 소련 해체 후 시장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며, 헌법 위기와 체첸 전쟁을 겪고 1999년 사임 후 2007년 사망했다. - 조국공헌훈장 수훈자 -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예브게니 프리마코프는 소련과 러시아의 정치인, 외교관, 학자로, KGB 협력자, 소련 최고회의 의장, 러시아 외국정보국 국장, 외무장관, 총리 등을 역임하며 '프리마코프 독트린'을 통해 러시아의 국익을 대변하고 경제 위기 극복에 기여한 인물이다. - 러시아의 정치인 - 가리 카스파로프
가리 카스파로프는 최연소 체스 세계 챔피언이자 최장 기간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한 러시아의 체스 그랜드마스터이며, 딥 블루와의 대결, 저술 활동, 정치 활동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 러시아의 정치인 - 보리스 넴초프
보리스 넴초프는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물리학자였으며, 니즈니노브고로드 주지사와 러시아 제1부총리를 역임하고 야권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을 비판하다가 2015년 모스크바에서 암살당했다.
빅토르 체르케소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빅토르 바실리예비치 체르케소프 |
원어 이름 | Виктор Васильевич Черкесов (러시아어) |
출생일 | 1950년 7월 13일 |
출생지 | 레닌그라드, 러시아 SFSR, USSR |
사망일 | 2022년 11월 8일 |
사망지 |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국적 | 러시아 |
직업 | 정치인 정보기관원 |
공직 | |
임기 시작 | 2008년 5월 12일 |
임기 종료 | 2010년 |
이전 | 알렉산드르 데니소프 |
이후 | 나데즈다 시니코바 |
임기 시작 | 2003년 3월 11일 |
임기 종료 | 2008년 5월 12일 |
대통령 | 블라디미르 푸틴 |
임기 시작 | 2000년 5월 18일 |
임기 종료 | 2003년 3월 11일 |
이전 | 신설 |
이후 | 발렌티나 마트비옌코 |
기타 정보 |
2. 생애
빅토르 체르케소프는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1973년 레닌그라드 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했다. 1975년부터 1991년 소련 붕괴까지 레닌그라드 및 레닌그라드주의 KGB 기관에서 근무하며 반체제 인사 첩보 활동을 했다.
1992년 KGB의 후계 기관인 공화국간 보안청(MSB)을 시작으로, 연방방첩청(FSK), 연방 보안청(FSB)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지부를 지휘했다. 1998년 8월부터 2000년 5월까지 블라디미르 푸틴,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두 FSB 장관 밑에서 제1 부장관을 역임했다. 2000년 5월 18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 의해 북서 연방 관구 대통령 전권 대표로 취임했다.
2003년 3월 11일 국가 마약·정신제 유통 감독 위원회 의장에 취임했고, 2004년 조직 개편된 연방 마약·정신제 유통 감독청 장관에 취임했다.
2006년 7월 6일에는 방일하여 아소 다로 외무상을 만나 마약 대책 등에 대해 회담했다.
2007년 10월, 마약 감독청 장교들이 체포되면서 실로비키 간 암투가 벌어졌다. 2008년 5월 12일 마약 감독청 장관에서 해임되고 조달국 국장으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강등 인사로 평가받는다.
2022년 11월 8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72세로 사망했다.[11]
2. 1. 초기 경력
빅토르 체르케소프는 1973년 레닌그라드 국립 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1] 1975년부터 1991년까지 레닌그라드와 레닌그라드주 KGB에서 근무하며 정치적 반체제 인사, 특히 민주 연합 회원들을 기소했다.[1]1992년부터 1998년 8월까지 체르케소프는 KGB의 후계 조직인 MBR/FSK/FSB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지부를 이끌었다. 1998년 8월부터 2000년 5월까지는 블라디미르 푸틴과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휘하의 FSB 부국장을 역임했다.
2. 2. FSB 활동
1992년부터 1998년 8월까지 체르케소프는 KGB의 후계 조직인 MBR/FSK/FSB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지부를 이끌었다. 1998년 8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과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휘하의 FSB 부국장을 역임했다.[1]2. 3. 푸틴 정부 요직
1998년 8월부터 2000년 5월까지 블라디미르 푸틴과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휘하에서 FSB 부국장을 역임했다.[1] 2000년 5월 18일부터 2003년 3월 11일까지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북서 연방관구 전권 대사였다.2003년 3월 11일, 러시아 연방 마약 및 향정신성 물질 유통 통제 국가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고, 2004년 3월부터는 러시아 연방 마약 통제청으로 개편되었다.[1]
2007년 10월, 연방 마약 통제청 고위 간부들이 FSB 요원들에게 체포되면서, 이고르 세친 등 푸틴 측근과의 권력 투쟁이 표면화되었다.[2] 체르케소프는 코메르산트 기고를 통해 이러한 권력 다툼을 비판했지만,[3] 2008년 5월 12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에 의해 마약 및 향정신성 물질 유통 통제 국가위원회 위원장에서 해임되고 군사 및 특수 장비 조달 연방청장으로 임명되었다.[5][6] 이는 푸틴 측근 내부 다툼을 공개적으로 논의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여겨진다.[7][8] 블라디미르 푸틴은 체르케소프를 비난하며 "비밀 기관 전쟁에 대해 주장하는 사람은 먼저 스스로 흠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9]
2. 4. 실로비키 간 권력 투쟁
2007년 10월 초, 연방 마약 통제청의 고위 간부 여러 명이 FSB 요원들에게 체포되었는데, 이는 분석가들에 의해 빅토르 체르케소프, 이고르 세친 및 블라디미르 푸틴의 측근의 다른 구성원들 간의 오랜 싸움의 일부로 여겨졌다.[2]2007년 10월 9일, 체르케소프가 서명한 기사가 ''코메르산트''에 게재되었는데, 그 기사에서는 그 달 초에 형사 혐의로 체포된 러시아 마약 단속국의 관리들이 예외적인 경우이며, 비밀 기관 간의 세력 다툼이 국가의 안정을 훼손할 수 있으며, 러시아에게 현실적이고 비교적 유리한 유일한 시나리오는 보안 기관 관리들이 통치하는 조합주의 국가로의 진화를 계속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3]
2007년 10월 27일, 러시아 마약 단속국 소속 간부 2명이 독살되었는데, 이는 블라디미르 프리빌롭스키에 따르면 러시아 실로비키 가문 간의 권력 투쟁의 일부였다.[4] 경제학자 미하일 델랴긴은 "오늘날 러시아의 전체 정치 체제는 푸틴이 경쟁자의 시나리오가 아닌 그들의 시나리오에 따라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싸우는 다양한 가문과 그룹의 투쟁이다"라고 말했다.[4]
2008년 5월 12일, 그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에 의해 마약 및 향정신성 물질 유통 통제 국가위원회 위원장에서 해임되었고,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에 의해 군사 및 특수 장비 조달 연방청장으로 임명되었다.[5][6] 이는 ''코메르산트'' 신문에 기고문을 통해 푸틴의 측근 내부 다툼을 논의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인식되었다.[7][8] 블라디미르 푸틴은 그 기사에 대해 체르케소프를 비난하며, TV 프로그램 "블라디미르 푸틴과의 직접 대화"에서 "비밀 기관 전쟁에 대해 주장하는 사람은 먼저 스스로 흠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9]
2. 5. 해임 및 사망
2008년 5월 12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빅토르 체르케소프를 마약 및 향정신성 물질 유통 통제 국가위원회 위원장에서 해임했고,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는 그를 군사 및 특수 장비 조달 연방청장으로 임명했다.[5][6] 이는 ''코메르산트'' 신문에 기고문을 통해 푸틴 측근 내부 다툼을 논의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인식되었다.[7][8] 블라디미르 푸틴은 TV 프로그램 "블라디미르 푸틴과의 직접 대화"에서 "비밀 기관 전쟁에 대해 주장하는 사람은 먼저 스스로 흠이 없어야 한다"며 체르케소프를 비난했다.[9]체르케소프는 2022년 11월 8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7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0]
3. 관련 사건
3. 1. 세 고래 부패 스캔들
세 고래 부패 스캔들참조
[1]
웹사이트
Черкесов, Виктор
http://lenta.ru/lib/[...]
[2]
뉴스
Cherkesov Warns of Turf War
http://www.themoscow[...]
The Moscow Times
2007-10-10
[3]
간행물
Нельзя допустить, чтобы воины превратились в торговцев
http://www.kommersan[...]
Kommersant
2007-10-09
[4]
웹사이트
Russia Uncertainty Over Putin Succession Fuels 'Siloviki War'
http://www.rferl.org[...]
2007-11-09
[5]
웹사이트
Old Faces Follow Putin to New Jobs
http://www.moscowtim[...]
2008-06-06
[6]
뉴스
A Lineup Aimed at Taming Siloviki
http://www.moscowtim[...]
The Sunday Times
2008-05-15
[7]
웹사이트
Sidelined Putin Associate Viktor Cherkesov Dies at 72
https://www.themosco[...]
2022-11-09
[8]
웹사이트
The piece in question (in Russian)
https://www.kommersa[...]
2007-10-09
[9]
웹사이트
Владимир Путин прокомментировал статью главы ФСКН Виктора Черкесова о "войне спецслужб"
https://www.newsru.c[...]
2007-10-19
[10]
뉴스
Ушел из жизни Виктор Черкесов
https://dzen.ru/medi[...]
Zen
2022-11-08
[11]
웹사이트
Longtime Putin Associate Viktor Cherkesov Dies At 72
https://www.rferl.or[...]
2022-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