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류이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류이강은 러시아 사하 공화국을 흐르는 강으로, 중앙시베리아 고원에서 발원하여 레나강으로 합류한다. 17세기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과 관련하여 처음 언급되었으며, 1950년대 다이아몬드 매장지 발견 이후 미르 광산 개발과 수력 발전 댐 건설 등 산업 발전을 겪었다. 빌류이강 유역은 다이아몬드, 철, 천연 가스 등 풍부한 지하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이한 광물인 빌류이석이 발견되기도 한다. 야쿠츠크-빌류이 열곡 및 빌류이 트랩과 지질학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나강 수계 - 무나강
    무나강은 사하 공화국을 흐르는 강으로, 좁고 구불구불한 강줄기에서 시작하여 레나강 하구와 합류하며, 오르토-무나강과 울라한-무나강의 합류점에서 발원하고 주요 지류로는 카흐찬, 세베르나야 등이 있으며, 긴 결빙 기간과 수위 상승이 특징이고 유역은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다.
  • 레나강 수계 - 알단강
    알단강은 러시아 사하 공화국을 흐르는 레나강의 주요 지류로, 스타노보이 산맥에서 발원하여 알단 고원을 가로지르며 풍부한 수산 및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과거 동시베리아의 주요 교통로였으나 현재는 수력 발전 댐 건설 계획으로 환경 논쟁을 야기한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강 - 예니세이강
    예니세이강은 몽골에서 발원하여 시베리아 중앙부를 거쳐 북극해로 흐르는 러시아의 주요 강으로, 수운과 수력 발전 등 경제적 중요성과 독특한 생태계를 지니고 있으나 방사능 오염 문제도 안고 있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강 - 케티강
    죄송합니다.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케티강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 시베리아의 지리 - 바이칼 지구대
    바이칼 지구대는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한 열곡대로, 복잡한 지질학적 구조를 가지며 활발한 화산 및 지진 활동과 함께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되고 영향을 받는다.
  • 시베리아의 지리 - 알타이산맥
    알타이산맥은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2,525km 길이의 산맥 시스템으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알타이의 황금산맥"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고 과거 광물 자원이 풍부했으나 현재는 고갈되었으며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
빌류이강
개요
사하 공화국 중앙 빌류이강의 급류
사하 공화국 중앙 사하의 빌류이강 급류
다른 이름Вилю́й (러시아어)
Бүлүү (야쿠트어)
로마자 표기Bilyuy
IPAbylyː
지도 위치러시아 사하 공화국의 하구 위치
지리
발원지빌류이 고원
발원지 좌표65°57′46″N 103°30′47″E
발원지 고도520m
하구레나강
하구 좌표64°22′38″N 126°24′54″E
하구 고도55m
유역레나강
국가러시아
연방 주체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야쿠티야
길이2,650km
평균 방류량1,700m³/s
유역 면적454,000km²
수문학적 정보
GVR 코드250781

2. 역사

빌류이강은 17세기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과정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1634년 보이 샤호프가 이끄는 러시아 코사크들이 튜칸강 합류 지점에 겨울 정착지를 건설하면서 이 지역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이후 행정 중심지는 욜료니요흐 지역으로 옮겨졌고, 1773년에는 올렌스크(현재의 빌류이스크)에 요새화된 정착지가 건설되었다.

1950년대에는 강 어귀에서 약 700km 떨어진 곳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어 미르 광산 개발이 이루어졌다.[2]

2. 1. 초기 역사

빌류이강은 17세기에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과 관련하여 처음 언급되었다.

1634년, 보이 샤호프가 이끄는 러시아 코사크는 빌류이강과 튜칸강의 합류 지점에 겨울 정착지를 세웠다. 이 정착지는 수십 년 동안 이 지역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이후 빌류이강 하류 45km 지점인 욜료니요흐 지역으로 옮겨졌다. 1773년에는 올렌스크(현재의 빌류이스크)에 ''오스트로그''(요새화된 정착지)가 세워졌다.

2. 2. 현대의 발전

1950년대에 빌류이강 어귀에서 약 700km 떨어진 지역에서 다이아몬드 광맥이 발견되었다.[2] 이로 인해 미르 광산, 접근 도로, 공항이 건설되었고, 다이아몬드 선광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빌류이 댐 단지가 건설되었다.[2]

3. 지리

빌류이강은 중앙시베리아 고원의 일부인 빌류이 고원(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에벤키 자치구)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다 곧 사하 공화국으로 들어선다. 중앙 야쿠츠크 저지에서 남쪽과 남동쪽으로 방향을 튼 후 다시 동쪽으로 향하며, 야쿠츠크에서 350km 하류, 상가르 부근에서 레나강으로 합류한다. 우스트빌류이 산맥은 빌류이강 하구 맞은편 레나강둑 위로 솟아 있다.[3]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구 에벤키 자치구) 서쪽에 있는 중앙 시베리아 고원 북부, 에콘다(Ekonda) 마을 부근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른 후, 사하 공화국으로 들어가 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 주변은 산간부이며 곳곳에 매우 좁아진 계곡이 있다.

1967년 건설된 빌류이 댐은 길이 600m, 높이 75m의 카메노-나브로스나야 (каменно-наброснаяru) 댐으로, 거대한 인공호인 빌류이 호를 만들었다. 댐은 좁은 계곡에 만들어졌지만, 그 상류에는 몇 개의 좁은 계곡으로 구획된 복잡한 형태의 넓은 수면이 이어진다. 이 댐에서는 빌류이스카야 수력 발전소에서 발전을 한다.

댐을 지나 산간부를 동쪽으로 흘러, 순타르 주변에서 남쪽에서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큰 커브를 돈 후, 레나 강 연안의 중앙 야쿠트 저지를 동쪽으로 흐른다. 빌류이스크보다 하류에서는 광대한 범람원과 호소 지대, 분류, 거대한 중주가 이어진다.

3. 1. 지형

빌류이 고원(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에벤키 자치구)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다 곧 사하 공화국으로 들어선다. 중앙 야쿠츠크 저지에서 남쪽과 남동쪽으로 방향을 튼 후 다시 동쪽으로 향하며, 야쿠츠크에서 350km 하류, 상가르 부근에서 레나강으로 합류한다. 우스트빌류이 산맥은 빌류이강 하구 맞은편 레나강둑 위로 솟아 있다.[3] 니즈냐야퉁구스카강 유역은 빌류이강과 초나강 서쪽에 있다.

3. 2. 주요 도시 및 정착지

빌류이강 유역은 인구 밀도가 낮다. 강을 따라 있는 작은 정착지로는 빌류이스크, 베르흐네빌류이스크, 순타르, 에콘다, 뉴르바 등이 있다.[3] 발전소 마을 체른셰프스키(Cherynshevskiy), 하항 슨타르(Suntar), 뉴르바, 베르흐네빌류이스크, 빌류이스크 등이 주요 마을이다.[3]

3. 3. 지류

방향지류 이름
우안울라칸-바바, 치르쿠오, 초나, 치비다, 울라칸-보투오부야, 오크추구이-보투오부야, 탄나리, 켐펜다야, 통구오, 밥파가이[2]
좌안센, 라하르차나, 아크타란다, 이걋타, 마르하, 튜켕, 코스모스, 퉁[2]



빌류이강의 주요 지류는 위와 같다. 1967년에 건설된 빌류이 댐으로 생긴 빌류이 호의 남동쪽에서 초나 강이 합류한다.[2] 순타르 하류에서는 북쪽의 중앙 시베리아 고원에서 흘러오는 마르하 강과 퉁이 합류한다.[2]

4. 수문학적 특징

빌류이강은 10월 중순에 얼어붙고 5월 중순에 녹으며, 해빙 시기에는 수량과 유속이 급증하고 유빙이 섞인 물이 불어난다. 빌류이스크 하류에는 광대한 범람원과 호소 지대, 분류, 거대한 중주가 이어진다.

4. 1. 유로 및 댐

1967년에 길이 600m, 높이 75m의 카메노-나브로스나야(каменно-наброснаяru) 이 완성되어, 빌류이강은 이 댐에 의해 막힌 거대한 인공호인 빌류이 호로 흘러 들어간다.[1] 댐은 좁은 계곡에 만들어졌지만, 그 상류에는 몇 개의 좁은 계곡으로 구획된 복잡한 형태의 넓은 수면이 끊임없이 이어진다.[1] 빌류이 호의 남동쪽에서는 초나 강(Chona)과 합류한다.[1] 이곳에는 빌류이스카야 수력 발전소가 있어 발전을 한다.[1]

빌류이스카야 수력발전소의 댐을 지나면 빌류이강은 산간부를 동쪽으로 흐른다.[1]

4. 2. 범람원 및 호소 지대

빌류이스크보다 하류에서는 광대한 범람원과 호소 지대, 분류, 거대한 중주가 이어진다.[1] 강의 물은 10월 중순에는 얼어붙고, 5월 중순에는 녹는다.[1] 해빙되면 수량과 유속이 급증하고, 유빙이 섞인 물이 불어난다.[1]

5. 경제 및 자원

빌류이강 유역은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다양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철갑상어, 연어, 송어류 어업이 성행하며, 1950년대 이후 미르니, 우다치니 등에서 다이아몬드 채굴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 또한, 철 광상이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천연 가스, 갈탄, 등도 다수 매장되어 있다.[1] 빌류이강은 합류점에서 상류 1,210km 지점인 체르니셰프스키까지 배가 다닐 수 있어 운송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빌류이강 유역에서 발견된 붕소를 포함하는 흑갈색의 베스브석은 '빌류이석'(Viluite)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 회반석류석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Wiluite|윌루아이타이트영어로 개명되어 독립종으로 승인되었다.[1]

5. 1. 어업

빌류이강에서는 철갑상어, 연어, 송어류 어업이 성행한다. 빌류이강은 합류점에서 상류 1,210km 지점인 체르니셰프스키까지 배가 다닐 수 있다.[1]

5. 2. 광물 자원

1950년대 이후 빌류이강 유역은 지류를 따라 미르니, 우다치니 등에서 다이아몬드 채굴이 활발하며, 광상이 널리 분포하고, 천연 가스, 갈탄, 등도 다수 매장되어 있다.[1]

빌류이강 유역에서 발견된 붕소를 포함하는 흑갈색의 베스브석에는 '''빌류이석'''(Viluite)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어 같은 이름으로 불리던 회반석류석과 혼동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Wiluite영어로 개명되어 독립종으로 승인되었다.[1]

5. 3. 빌류이석

1950년대 이후 빌류이강 유역은 지류를 따라 미르니, 우다치니 등에서 다이아몬드 채굴이 활발하며, 광상이 널리 분포하고, 천연 가스, 갈탄, 등도 많이 매장되어 있다.

빌류이강 유역에서 발견된 붕소를 포함하는 흑갈색의 베스브석에는 '''빌류이석'''(Viluite)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어 같은 이름으로 불리던 회반석류석과 혼동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Wiluite|윌루아이타이트영어로 개명되어 독립종으로 승인되었다.

6. 지질학적 특징

빌류이강은 야쿠츠크-빌류이 열곡(빌류이 열곡 분지) 및 야쿠츠크-빌류이 대규모 화성암 지대(대규모 화성암 지대), 일명 빌류이 트랩과 지질학적으로 형성되었다.[4]

빌류이강의 흐름 위치

6. 1. 야쿠츠크-빌류이 열곡



빌류이강은 야쿠츠크-빌류이 열곡(빌류이 열곡 분지) 및 야쿠츠크-빌류이 대규모 화성암 지대(빌류이 트랩)와 지질학적으로 형성되었다.[4]

6. 2. 빌류이 트랩

빌류이강은 야쿠츠크-빌류이 대규모 화성암 지대(대규모 화성암 지대)(빌류이 트랩) 및 야쿠츠크-빌류이 열곡(빌류이 열곡 분지)의 지질학적 형성과 관련이 있다.[4]

참조

[1] GVR Река ВИЛЮЙ
[2] 백과사전 Вилюй http://bse.sci-lib.c[...]
[3] Wikimapia Хребет Усть-Вилюйский - Wikimapia http://wikimapia.org[...]
[4] 웹사이트 Time correlation between the formation of dyke swarms and crustal extension stages in the Middle Paleozoic Vilyui rift basin, Siberian platform http://www.mantlepl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