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교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교수는 각 수의 진약수의 합이 다음 수로 이어지는 순환 관계를 갖는 자연수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5410개의 사교수가 발견되었으며, 이 중 5394개는 4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다. 3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사교수의 존재 여부와 관련된 문제들은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수론 - 최소공배수
    최소공배수는 둘 이상의 정수들의 공배수 중 가장 작은 양의 정수로서, 소인수분해나 최대공약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분수 통분이나 기어 회전 수 계산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사교수
기본 정보
유형수학
속성수열
정의자신의 약수의 합이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수로 되돌아오는 수열
종류
사교수 차수주기
차수 5최소 사교수
예시
수열 시작12496, 14288, 15472, 14536, 14264

2. 사교수의 예

사교수의 예로는 (12496, 14288, 15472, 14536, 14264)가 있다. 이 수들은 5개의 수가 서로 연결된 사교수이다.[2] 각 수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다음과 같이 다른 수가 된다.


  • 12496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14288이다.
  • 14288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15472이다.
  • 15472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14536이다.
  • 14536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14264이다.
  • 14264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12496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사교수는 5410개이며, 그중 대부분(5394개)은 4개의 수로 이루어져 있다. 이 외에도 6개로 이루어진 것이 7개, 8개로 이루어진 것이 6개 있으며, 5개, 9개, 28개로 이루어진 것이 각각 한 개씩 있다. 28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도 존재한다.[1]

3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발견되지 않았다. 3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가 존재하는지, 몇 개까지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가 존재할 수 있는지, 사교수는 무한히 존재하는지와 같은 문제는 홀수 완전수 문제와 마찬가지로 아직 미해결 문제이다.[3]

(103340640, 123228768, 124015008)는 3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로 오해될 수 있으나, 이는 우애 삼중수라는 별개의 개념이다.[3]

2. 1. 4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

4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현재까지 발견된 사교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8년 11월 기준으로 발견된 171개의 사교수 중 161개가 4개의 수로 이루어져 있다.

4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1264460, 1547860, 1727636, 1305184)[2]
  • 1264460의 진약수의 합은 1547860이다.
  • 1547860의 진약수의 합은 1727636이다.
  • 1727636의 진약수의 합은 1305184이다.
  • 1305184의 진약수의 합은 1264460이다.


4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이 외에도 (2115324, 3317740, 3649556, 2797612), (4938136, 8026456, 8635768, 6453224), (7169104, 14941876, 17679944, 13467016), (9983312, 20841304, 21844136, 15343672) 등이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사교수 중에는 4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것 외에도 5개, 6개, 8개, 9개, 28개로 이루어진 사교수도 존재한다. 그러나 3개, 7개, 10개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수들이 존재하는지, 사교수가 무한히 존재하는지 등의 문제는 아직 미해결 문제로 남아있다.[3]

2. 2. 5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

(12496, 14288, 15472, 14536, 14264)는 5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이다.

  • 12496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14288이다.
  • 14288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15472이다.
  • 15472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14536이다.
  • 14536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14264이다.
  • 14264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은 12496이다.

2. 3. 28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

28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다음과 같다.[1]

: 14316, 19116, 31704, 47616, 83328, 177792, 295488, 629072, 589786, 294896, 358336, 418904, 366556, 274924, 275444, 243760, 376736, 381028, 285778, 152990, 122410, 97946, 48976, 45946, 22976, 22744, 19916, 17716

이 수들은 각자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이 다른 수로 이어지는 고리를 형성한다.

3. 알려진 사교수 목록

사교수는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이 다른 수가 되고, 그 다른 수들의 약수의 합을 구하는 과정을 반복했을 때 다시 원래의 수로 돌아오는 수들의 집합을 말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사교수와 관련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100만 미만의 유일한 사교수(완전수와 친화수 제외)는 5-주기 수열과 28-주기 수열이며, 값은 하위 섹션 "주기별 사교수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 (103340640, 123228768, 124015008)는 사교수가 아니라 우애 삼중수이다.
  • 우애수와 5개 그룹의 사교수를 사용하여 7개 그룹의 사교수를 만들 수 없다.
  • ''n''이 4를 법으로 하는 합동에서 3과 합동이면 길이 ''n''인 사교수 수열은 없다는 추측이 있다.

3. 1. 주기별 사교수 목록

(12496, 14288, 15472, 14536, 14264)는 5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이다. 각 수의 약수(자기 자신을 제외한)의 합은 다음과 같이 다음 수가 된다.

  • 12496의 약수의 합: 14288
  • 14288의 약수의 합: 15472
  • 15472의 약수의 합: 14536
  • 14536의 약수의 합: 14264
  • 14264의 약수의 합: 12496


현재까지 발견된 사교수는 총 5410개이며, 그중 대부분은 4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다. 28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도 존재한다.

  • 28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 14316, 19116, 31704, 47616, 83328, 177792, 295488, 629072, 589786, 294896, 358336, 418904, 366556, 274924, 275444, 243760, 376736, 381028, 285778, 152990, 122410, 97946, 48976, 45946, 22976, 22744, 19916, 17716


3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은 미해결 상태이다.

2024년 10월 기준으로 알려진 모든 사교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수열 길이알려진 수열의 개수수열의 가장 낮은 수
1 (완전수)526
2 (친화수)10억 이상[4]220
453981,264,460
5112,496
6521,548,919,483
841,095,447,416
91805,984,760
28114,316



5-주기 수열은 12496, 14288, 15472, 14536, 14264 이다.

유일하게 알려진 28-주기 수열은 14316, 19116, 31704, 47616, 83328, 177792, 295488, 629072, 589786, 294896, 358336, 418904, 366556, 274924, 275444, 243760, 376736, 381028, 285778, 152990, 122410, 97946, 48976, 45946, 22976, 22744, 19916, 17716 이다.

4. 사교수 연구

(12496, 14288, 15472, 14536, 14264)는 5개의 수로 이루어진 사교수이다. 각 수의 약수(자기 자신을 제외한)의 합은 다음 수와 같다.


  • 12496의 약수의 합은 14288이다.
  • 14288의 약수의 합은 15472이다.
  • 15472의 약수의 합은 14536이다.
  • 14536의 약수의 합은 14264이다.
  • 14264의 약수의 합은 12496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사교수는 총 5410개이다. 그중 대부분(5394개)은 4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다. 6개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7개, 8개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6개, 5개, 9개, 28개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각각 한 개씩 발견되었다. 이 외에 다른 주기를 가진 사교수가 존재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28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의 예는 다음과 같다: 14316, 19116, 31704, 47616, 83328, 177792, 295488, 629072, 589786, 294896, 358336, 418904, 366556, 274924, 275444, 243760, 376736, 381028, 285778, 152990, 122410, 97946, 48976, 45946, 22976, 22744, 19916, 17716

약수 수열은 주어진 정수 n에 대해 유향 그래프 G_{n,s}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s(k)k의 진약수의 합을 나타낸다.[5] G_{n,s} 내의 사이클은 구간 [1,n] 내의 사교수를 나타낸다. 완전수는 루프, 우애수 쌍은 길이 2의 사이클로 표현되는 특별한 경우이다.

4. 1. 미해결 문제

3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발견되지 않았다. 3개의 자연수로 사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지, 몇 개까지의 사교수가 존재할 수 있는지, 사교수는 무한히 존재하는가와 같은 문제들은 홀수 완전수 문제와 마찬가지로 아직 미해결 상태이다.[5]

(103340640, 123228768, 124015008)는 3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로 오해될 수 있으나, 이는 친화적 삼대라고 불리는 다른 종류의 정수군이다.

4. 2. 사교수 주기의 합에 대한 추측

(12496, 14288, 15472, 14536, 14264)의 5개의 수는 사교수이다.

  • 12496의 약수의 합은 14288이다.
  • 14288의 약수의 합은 15472이다.
  • 15472의 약수의 합은 14536이다.
  • 14536의 약수의 합은 14264이다.
  • 14264의 약수의 합은 12496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사교수의 개수는 총 5410개이며, 그중 5394개가 4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졌고, 6개로 이루어진 것이 7개, 8개로 이루어진 것이 6개 있으며 5개, 9개, 28개로 이루어진 것이 각각 한 개씩 있다. 그 이외의 다른 주기를 가진 사교수가 존재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 28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 14316, 19116, 31704, 47616, 83328, 177792, 295488, 629072, 589786, 294896, 358336, 418904, 366556, 274924, 275444, 243760, 376736, 381028, 285778, 152990, 122410, 97946, 48976, 45946, 22976, 22744, 19916, 17716


3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는 발견되지 않았다. 3개의 자연수로 사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가, 몇 개까지의 사교수가 존재할 수 있는가, 사교수는 무한히 존재하는가와 같은 문제들은 홀수 완전수 문제와 마찬가지로 아직 미해결 상태이다.

(103340640, 123228768, 124015008)는 3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사교수로 오해될 수 있으나, 이는 친화적 삼대라고 불리는 것으로, 사교수와는 별개의 정수군이다. 이 세 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 103340640의 약수의 합 = 247243776 = 123228768 + 124015008
  • 123228768의 약수의 합 = 227355648 = 124015008 + 103340640
  • 124015008의 약수의 합 = 226569408 = 103340640 + 123228768


친화수 주기의 길이가 2보다 큰 주기의 수가 무한대에 가까워질 때, 1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친화수 주기 합의 비율은 1에 접근한다는 추측이 있다.

5. 친화적 삼대

(103340640, 123228768, 124015008)는 우애 삼중수라고 불리는 것으로, 사교수와는 다른 정수군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 103340640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 247243776 = 123228768 + 124015008
  • 123228768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 227355648 = 124015008 + 103340640
  • 124015008의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 226569408 = 103340640 + 123228768

참조

[1] 간행물 Catalan-Dickson Conjecture https://proofwiki.or[...] 1918
[2] 논문 Amicable numbers and their distribution https://www.ams.org/[...] 1970
[3] 웹사이트 OEIS A003416 cross referenced with OEIS A052470 https://oeis.org/A00[...]
[4] 웹사이트 Amicable pairs list http://sech.me/ap/
[5] 간행물 Distributed cycle detection in large-scale sparse graphs Simpósio Brasileiro de Pesquisa Operacional (SB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