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랑의 시튼 수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랑의 시튼 수녀회는 1870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알토나에서 설립된 가톨릭 여성 수도회이다. 엘리자베스 앤 시튼의 규칙에 따라 시작되었으며, 학교, 고아원, 병원 등에서 봉사하며 확장되었다. 세이턴 힐 대학교를 설립하고, 드폴 학교, 엘리자베스 세톤 고등학교, 로젤리아 고아원 및 산부인과 병원 등을 운영했다. 1960년 대한민국 목포에 첫 해외 선교지를 설립했으며, 2019년 기준 미국, 대한민국, 에콰도르에서 346명의 수녀가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가톨릭 수녀 - 성모 마리아 방문 수녀회
    성모 마리아 방문 수녀회는 1610년 프랑스 안시에서 프란치스코 드 살과 잔 드 샹탈에 의해 설립된 로마 가톨릭 수도회로, 초기에는 봉쇄 없이 활동했으나 종신 봉쇄 수녀회로 정식 설립되었으며, 겸손과 온유의 덕행을 강조하는 내적 수련을 중요시하며 전 세계로 확장되어 대한민국에는 2005년에 설립되었다.
  • 로마 가톨릭 교육수사회 - 마리스타 교육수사회
    마리스타 교육수사회는 1817년 프랑스에서 설립되어 소외된 이들을 위한 교육을 목표로 전 세계에서 다양한 교육 및 사회 사업을 펼치는 가톨릭 교육 수도회이지만, 아동 학대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1869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야스쿠니 신사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의 국가적 위기와 전쟁으로 사망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으나, A급 전범을 포함한 전쟁 관련 인물들의 합사로 인해 주변국들의 반발을 일으키며 과거사 논쟁의 중심에 있는 신사이다.
  • 1869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제1차 바티칸 공의회
    교황 비오 9세가 소집한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1869년부터 1870년까지 개최되어 교황무류성 교리를 반포했으나,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으로 중단되었고 후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논의가 재개되었다.
사랑의 시튼 수녀회

2. 역사

1809년, 엘리자베스 앤 시튼은 빈센트 드 폴이 루이즈 드 마리약의 자선 수녀회를 위해 작성한 규칙에 따라 메릴랜드주 에미츠버그에 여성 수도회를 설립했다.[7] 이 공동체는 뉴욕,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등 여러 지역의 주교들이 수녀들을 학교, 고아원, 병원에 파견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확장되었다. 에미츠버그 공동체가 프랑스 자선 수녀회와 연계하기로 결정했을 때, 신시내티 수녀들은 1852년에 독립된 수도회가 되기로 결정했다.

1869년, 피츠버그의 마이클 도메넥 주교는 자신의 교구 내에서 증가하는 가톨릭 신자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신시내티 자선 수녀회에 수녀들을 요청했다. 신시내티 수녀회는 새로운 임무를 수행할 수 없었지만, 신시내티 수도회의 경험 많은 수녀들과 함께 피츠버그로 돌아가 새로운 공동체를 설립할 수 있도록 수련 수녀들을 준비시키는 데 동의했다. 알로이시아 로우 수녀, 다른 3명의 자선 수녀, 그리고 2명의 수련 수녀는 신시내티를 떠나 1870년 8월 20일 펜실베이니아주 알토나에 도착했다.[1]

2. 1. 설립과 초기 발전

1809년, 엘리자베스 앤 시튼은 빈센트 드 폴이 루이즈 드 마리약의 자선 수녀회를 위해 작성한 규칙에 따라 메릴랜드주 에미츠버그에 여성 수도회를 설립했다.[7] 이 공동체는 뉴욕,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등 여러 지역의 주교들이 수녀들을 학교, 고아원, 병원에 파견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확장되었다. 에미츠버그 공동체가 프랑스 자선 수녀회와 연계하기로 결정했을 때, 신시내티 수녀들은 1852년에 독립된 수도회가 되기로 결정했다.[7]

1869년, 피츠버그의 마이클 도메넥 주교는 자신의 교구 내에서 증가하는 가톨릭 신자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신시내티 자선 수녀회에 수녀들을 요청했다. 신시내티 수녀회는 새로운 임무를 수행할 수 없었지만, 신시내티 수도회의 경험 많은 수녀들과 함께 피츠버그로 돌아가 새로운 공동체를 설립할 수 있도록 수련 수녀들을 준비시키는 데 동의했다. 알로이시아 로우 수녀, 다른 3명의 자선 수녀, 그리고 2명의 수련 수녀는 신시내티를 떠나 1870년 8월 20일 펜실베이니아주 알토나에 도착했다.[1]

2. 2. 세이턴 힐

마더 알로이시아 로우와 앤 레지나 에니스 수녀의 지도 아래, 알투나 수녀원은 독립적인 자선 수녀회 재단이 되었다. 이후 블레어스빌, 존스타운, 피츠버그의 이스트 리버티, 샤프스버그, 로렌스빌, 사우스 사이드 지역에 학교들이 연이어 개교했다.[1]

1882년 여름, 마더 알로이시아는 성장하는 수도회를 위해 더 큰 규모의 어머니 집이 필요하다고 판단, 현재 세이턴힐 대학교의 주요 언덕 캠퍼스가 위치한 그린스버그의 제닝스 농장을 매입했다. 그녀는 자선 수녀회의 창립자이자 미국 최초의 성녀인 엘리자베스 앤 베일리 세이턴을 기리기 위해 이 부지를 세이턴 힐(Seton Hill)이라고 명명했다. 이 부지는 수년 동안 방치되었지만, 스토크스 저택을 포함한 몇 채의 건물이 남아 있었다. 윌리엄 액스톤 스토크스의 이름을 딴 이 저택에는 앤드류 카네기가 처음으로 본 개인 도서관이 있었으며, 이는 그가 나중에 설립한 공공 도서관에 영감을 주었다.[2] 이 저택은 세인트 메리 홀로 개명되어 여전히 세이턴힐 대학교 캠퍼스에 남아있다.

수녀회는 1883년에 여자 학교인 세인트 조셉 아카데미를 설립했다.[2] 1885년에는 세이턴 힐 학교(세이턴 힐 음악원 및 세이턴 힐 미술원 포함)를 설립했다. 1914년, 세이턴 힐 주니어 칼리지가 문을 열었고, 4년 후인 1918년, 펜실베이니아 주는 세이턴 힐의 4년제 고등 교육 기관 설립을 승인하여 세이턴 힐 칼리지가 탄생했다. 1885년 세이턴 힐 자선 수녀회에 법인 설립 인가가 부여되었고, 이듬해 수녀들은 어머니 집 부지를 다졌다. 어머니 집은 1889년에 완공되었다.[1] 세이턴 힐의 물리적 캠퍼스에는 다운타운 문화 지구 캠퍼스 및 인근 치과 교정 센터 외에도 원래의 200 에이커 언덕 부지가 포함된다.[2]

3. 주요 활동

세톤힐에서 시작하여 수녀들은 지역으로, 그리고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메릴랜드, 루이지애나, 오하이오, 웨스트버지니아로 진출했다. 그들은 로젤리아 고아원 및 산부인과 병원과 피츠버그 병원을 설립했고, 제네트 구역 기념 병원과 비버 폴스 프로비던스 병원에 직원을 파견했다.[2]

1908년 피츠버그 가톨릭 교구와 사랑의 시튼 수녀회에 의해 설립된 청각 및 언어 장애 아동을 위한 드폴 학교는 청각 장애 아동을 위한 청각/구두 교육을 거의 100년 동안 제공해 왔다. 이 학교는 원래 피츠버그 농아 학교(이후 드폴 연구소로 변경)로 알려졌으며, 피츠버그 북부에 있는 래프 저택에 위치해 있었다. 학교의 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츠버그 교구는 마운트 레바논에 부지를 구입하여 1911년 교육 및 기숙사 프로그램을 위한 새로운 시설을 건설했다. 드폴 청각 및 언어 학교 프로그램은 2002년 여름까지 해당 부지에서 성장하고 번창했으며, 드폴은 피츠버그 섀디사이드 지역의 새로운 위치로 이전했다.[6]

1941년, 수녀회는 피츠버그 브룩라인 지역의 이전 웨스트 리버티 공립 학교 부지를 매입하여 앨러게니 카운티의 젊은 여성들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엘리자베스 세톤 고등학교를 개교했다. 고등학교가 사우스 힐스 가톨릭 고등학교와 통합되어 세톤-라살레가 설립되자 수녀회는 세톤 센터를 설립했다. 세톤 센터는 시니어 센터 및 성인 주간 서비스 시설, 예술 학교, 유치원부터 12세까지의 어린이를 위한 방과 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7]

사랑의 수녀회는 1948년 교황청 수도회로 승격되었으며, 이듬해 처음으로 종신 서원을 했다.[3]

1960년, 수녀회는 대한민국 목포에 수녀들을 파견하여 이 공동체의 첫 번째 해외 선교지를 설립했다. 2019년 현재, 미국, 대한민국, 에콰도르에서 학교, 병원, 본당, 사회 봉사 기관 및 기타 사도직에서 346명의 수녀가 봉사하고 있다.[8]

수도회의 행정 사무실과 본원은 원래의 캠퍼스에서 1마일 떨어진 세이턴힐 대학교 부지 인근의 시설로 이전했다.

3. 1. 교육

마더 알로이시아 로우와 앤 레지나 에니스 수녀의 지도 아래, 알투나 수녀원은 자선 수녀회의 독립 재단이 되었다. 이후 블레어스빌, 존스타운, 그리고 피츠버그의 이스트 리버티, 샤프스버그, 로렌스빌, 사우스 사이드 지역에 학교들이 잇따라 문을 열었다.[1]

1882년 여름, 마더 알로이시아는 현재 세이턴힐 대학교의 주요 언덕 캠퍼스가 위치한 그린스버그의 제닝스 농장을 매입하고, 이 부지를 세이턴 힐(Seton Hill)이라고 명명했다.[2] 1883년에는 여자 학교인 세인트 조셉 아카데미를 설립했다.[2] 1885년 세이턴 힐 학교(세이턴 힐 음악원 및 세이턴 힐 미술원 포함)를 설립하였고, 1914년, 세이턴 힐 주니어 칼리지를 개교하였다. 1918년, 펜실베이니아 주는 세이턴 힐의 4년제 고등 교육 기관 설립을 승인했으며, 세이턴 힐 칼리지가 탄생했다.[1]

1908년, 피츠버그 가톨릭 교구와 사랑의 시튼 수녀회는 청각 및 언어 장애 아동을 위한 드폴 학교를 설립했다.[6] 1941년에는 앨러게니 카운티의 젊은 여성들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엘리자베스 세톤 고등학교를 개교했다.[7]

3. 2. 의료

1889년, 존스타운 홍수로 집을 잃은 존스타운의 성 요한 수녀원 수녀들은 다른 홍수 피해자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11명의 수녀가 프로스펙트 병원과 펜실베이니아 철도에서 설립한 임시 병원에서 봉사하면서 수녀회가 병원에서 의료 사역을 수행한 최초의 기록으로 남았다.[3] 1897년에는 자선 병원(후일 피츠버그 병원)이 개원했고, 1905년 수녀들은 피츠버그 병원 간호학교를 설립했다.[4]

존스타운 홍수 때 파괴된 수녀회 건물


1891년 7월 16일, 사랑의 시튼 수녀회는 포브스 거리 3935번지에 있는 작은 집을 소유하게 되었고, 한 달 안에 18명의 유아가 도착했다. 더 넓은 공간이 필요했던 그들은 찰스 도넬리 부인(로젤리아 라퍼티)의 도움을 받아 힐 디스트릭트의 클리프 스트리트와 마닐라 스트리트 모퉁이에 있는 옛 어슐린 아카데미 건물을 확보하여, 그녀의 이름을 딴 로젤리아를 설립했다. 이곳은 곧 쉼터 및 산전 관리를 위한 산부인과 병동을 개설했다.[5] 1910년에는 모성 및 아동 간호에 종사할 여성들을 교육하기 위해 로젤리아에 정식 인가를 받은 실무 간호 학교가 개교하여 1953년 폐교될 때까지 운영되었다. 1956년 9월 9일, 베드포드 애비뉴 1635번지에 위치한 새로운 4층 로젤리아 건물이 헌당되었다.[1] 세톤힐에서 시작하여 수녀들은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메릴랜드, 루이지애나, 오하이오, 웨스트버지니아로 진출했다. 그들은 로젤리아 고아원 및 산부인과 병원과 피츠버그 병원을 설립했고, 제네트 구역 기념 병원과 비버 폴스 프로비던스 병원에 직원을 파견했다.[2]

1908년 피츠버그 가톨릭 교구와 사랑의 시튼 수녀회에 의해 설립된 청각 및 언어 장애 아동을 위한 드폴 학교는 거의 100년 동안 청각 장애 아동을 위한 청각/구두 교육을 제공해 왔다. 이 학교는 원래 피츠버그 농아 학교(이후 드폴 연구소로 변경)로 알려졌으며, 피츠버그 북부에 있는 래프 저택에 위치해 있었다. 1911년, 피츠버그 교구는 마운트 레바논에 부지를 구입하여 교육 및 기숙사 프로그램을 위한 새로운 시설을 건설했다. 드폴 청각 및 언어 학교 프로그램은 2002년 여름까지 해당 부지에서 운영되었으며, 이후 피츠버그 섀디사이드 지역의 새로운 위치로 이전했다.[6]

1960년, 수녀회는 한국 목포시에 수녀들을 파견하여 이 공동체의 첫 번째 해외 선교지를 설립했다.[8]

3. 3. 사회복지

세톤힐에서 시작하여 자매들은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메릴랜드, 루이지애나, 오하이오, 웨스트버지니아로 진출했다. 그들은 로젤리아 고아원 및 산부인과 병원과 피츠버그 병원을 설립했고, 제네트 구역 기념 병원과 비버 폴스 프로비던스 병원에 직원을 파견했다.[2]

1941년, 수녀회는 피츠버그 브룩라인 지역의 이전 웨스트 리버티 공립 학교 부지를 매입하여 엘리자베스 세톤 고등학교를 개교했다. 이 학교는 앨러게니 카운티의 젊은 여성들을 위한 교육을 제공했다. 고등학교가 사우스 힐스 가톨릭 고등학교와 통합되어 세톤-라살레가 설립되자 수녀회는 세톤 센터를 설립했다. 세톤 센터는 시니어 센터 및 성인 주간 서비스 시설, 예술 학교, 유치원부터 12세까지의 어린이를 위한 방과 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7]

1960년, 수녀회는 대한민국 목포시에 수녀들을 파견하여 이 공동체의 첫 번째 해외 선교지를 설립했다.[8]

3. 4. 해외 선교 (한국)

1960년, 사랑의 시튼 수녀회는 대한민국 목포에 수녀들을 파견하여 첫 해외 선교지를 설립했다. 2019년 현재, 수녀회는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미국, 에콰도르 등지에서 학교, 병원, 본당, 사회 봉사 기관 및 기타 사도직에서 346명의 수녀가 봉사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isters of Charity of Seton Hill http://www.scsh.org/[...]
[2] 웹사이트 Sisters of Charity http://www.setonhill[...] 2013-07-09
[3] 웹사이트 Sisters of Charity of Seton Hill http://sistersinheal[...] 2012-10-29
[4] 웹사이트 Sisters of Charity of Seton Hill http://famvin.org/wi[...]
[5] 서적 Sisters of Charity, Pennsylvania Fdn https://books.google[...] Catholic Editing Company 1914
[6]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peakmira[...] 2012-08-25
[7] 웹사이트 The Sisters of Charity of Seton Hill http://www.setoncent[...]
[8] 웹사이트 Sisters of Charity of Seton Hill Generalate https://sistersofc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