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우스타라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우스타라와는 타라와 환초에 위치한 일련의 섬들로, 키리바시의 경제 중심지이자 수도이다. 열대 우림 기후를 보이며,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연중 고온 다습하다. 남타라와는 1978년 17,921명에서 2020년 63,439명으로 급증하며 인구 과밀, 주거 공간 부족, 토지 분쟁, 질병 발생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주요 산업은 코프라 가공, 참치 어업이며, 보니리키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스타라와 - 본리키 국제공항
    본리키 국제공항은 키리바시에 위치하며, 타라와 전투 종전 후 건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작전 기지로 사용되다가 민간 공항으로 전환되었고, 현재는 여러 항공사가 운항하는 국제공항이다.
  • 키리바시의 도시 - 타라와
    타라와는 키리바시 공화국의 수도이자 환초로, 넓은 석호와 암초를 가지며 미크로네시아인이 주로 거주하고 열대 우림 기후에 속하며,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나 현재는 정치, 경제, 교육, 교통의 중심지로서 남태평양 대학교 캠퍼스와 국제공항, 주요 무역항이 위치하고 어업이 발달했다.
  • 타라와 - 타라와 전투
    타라와 전투는 1943년 베티오 섬에서 미국과 일본군 사이에 벌어진 태평양 전쟁의 상륙전으로, 미군은 타라와를 점령했으나 막대한 피해를 입고 상륙 작전 교리를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다.
사우스타라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섬 이름사우스타라와
원어 이름타라와 테이나이나노
위치태평양
군도길버트 제도
위치 지도키리바시#미크로네시아#오세아니아#태평양
위치 지도 설명키리바시 내 위치
좌표1°26′N 173°0′E
면적15.76 km²
해발고도3 m
국가키리바시
인구63,439명
인구 조사 년도2020년 인구 조사
인구 밀도3578명/km²
민족 구성키리바시인 95.9%
행정 구역 정보
유형마을
지도 설명타라와 환초 지도
위도01°19′32″N
경도172°59′00″E
국가키리바시
하위 행정 구역 유형 1제도
하위 행정 구역 이름 1길버트 제도
하위 행정 구역 유형 2환초
하위 행정 구역 이름 2타라와
단위미터법
인구 밀도자동
도시 정보
정식 표기사우스타라와
이름사우스타라와
위치 지도키리바시
위도1.325556
경도172.983333
지도Tarawa map w.jpg
지도 설명사우스타라와의 위치
나라키리바시
행정 구역타라와
지역길버트 제도
인구50,182명
인구 년도2010년
인구 밀도3,184명/km²
면적15.76km²
해발3m
이미지
사우스타라와 항공 사진
사우스타라와 항공 사진
사크레쾨르 대성당
사크레쾨르 대성당
키리바시 의회
키리바시 의회
테오라에레케
테오라에레케, 사우스타라와
본리키 국제공항
본리키 국제공항

2. 지리

타라와 환초 내 남타라와(주황색)와 북타라와(녹색) 지도


남타라와는 타라와 환초 남쪽에 위치하며, 여러 들이 연결되어 있다.

2. 1. 지형

남타라와는 타라와 환초에 있는 일련의 들로, 북쪽의 타라와 석호(최대 수심 25m)와 남쪽의 태평양(최대 수심 4000m) 사이에 위치한다.[4] 이 섬은 석호의 퇴적물로 형성되었다.

토양 축적 과정은 우세한 동쪽 무역풍에 의해 주도되며, 엘니뇨-남방 진동 동안 서풍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역전될 수 있다.

이 섬들은 현재 도로로 연결되어 타라와 석호 남쪽의 암초를 따라 길게 이어진 하나의 섬을 형성하고 있다. 남타라와의 대부분은 해발 3m 미만이며, 평균 너비는 450m에 불과하다.[4]

2. 2. 기후

사우스타라와는 열대 우림 기후(쾨펜: Af)로 일 년 내내 덥고 습하며, 평균 강수량은 상대적으로 높다.[19][8] 그러나 강수량은 엘니뇨-남방 진동에 따라 변동이 심하며, 라니냐 시기에는 수개월 동안 거의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도 있다.[19] 사우스타라와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35°C, 최저 기온은 21°C로, 세계에서 가장 좁은 기온 범위 중 하나이다.[19]

다음은 바이리키와 타라와 공항의 기후 자료이다.[19][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바이리키[19]
최고 기온 (약 31.4°C)약 31.1°C약 31.2°C약 31.3°C약 31.4°C약 31.4°C약 31.5°C약 31.6°C약 31.6°C약 31.4°C약 31.8°C약 31.7°C약 31.5°C
최저 기온 (약 25.3°C)약 24.5°C약 25.0°C약 25.3°C약 25.4°C약 25.7°C약 25.5°C약 25.6°C약 25.7°C약 25.7°C약 25.5°C약 25.4°C약 25.1°C
강수량 (약 191.26cm)약 27.18cm약 20.07cm약 18.80cm약 18.29cm약 16.26cm약 13.72cm약 15.75cm약 12.19cm약 8.89cm약 8.89cm약 10.16cm약 20.32cm
타라와 공항[8]
최고 기온 (35°C)35°C33°C35°C34.5°C34.5°C33.5°C34.5°C34.5°C34.5°C35°C35°C35°C
평균 최고 기온 (30.9°C)30.7°C30.6°C30.7°C30.7°C30.8°C30.8°C30.9°C31°C31.1°C31.2°C31.3°C30.9°C
평균 기온 (28.3°C)28.2°C28.1°C28.1°C28.2°C28.4°C28.3°C28.2°C28.3°C28.4°C28.6°C28.5°C28.2°C
평균 최저 기온 (25.3°C)25.3°C25.3°C25.2°C25.3°C25.5°C25.3°C25.1°C25.2°C25.3°C25.4°C25.4°C25.3°C
최저 기온 (21°C)21.5°C22.5°C22.5°C22.5°C21°C21°C21°C21.5°C22.5°C22°C22.5°C22°C
강수량 (2052mm)271mm218mm204mm184mm158mm155mm168mm138mm120mm110mm115mm212mm
평균 강수일수 (≥ 0.3 mm)151214151514161815111017172
평균 상대 습도 (%)81808182818180797777798180
평균 월간 일조 시간220.1192.1207.7201.0229.4219.0229.4257.3243.0260.4240.0189.1(자료 없음)
평균 일일 일조 시간7.16.86.76.77.47.37.48.38.18.48.06.17.4


3. 행정

남타라와는 지방 정부 차원에서 1972년 존 힐러리 스미스가 만든 두 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하나는 베티오 섬을 관할하는 베티오 타운 의회(Betio Town Council, BTC)이고, 다른 하나는 바이리키에서 타나에아까지를 관할하는 테이나이나노 도시 의회(Teinainano Urban Council, TUC)이다.

3. 1. 베티오 타운 의회 (BTC)

베티오 타운 의회 깃발


베티오 섬을 관할한다.

3. 2. 테이나이나노 도시 의회 (TUC)

테이나이나노 도시 의회 깃발.


테이나이나노 도시 의회(Teinainano Urban Council, TUC)는 바이리키에서 타나에아까지를 관할한다. ''테이나이나노''는 "돛대 아래"를 의미하는데, 이는 환초의 돛 모양을 암시한다. 부오타는 북타라와에 속하며 에우탄 타라와 의회(Eutan Tarawa Council, ETC)에서 관할하지만, 사우스타라와와 도로로 연결되어 있어 급속한 인구 증가, 도시화 및 환경 훼손과 같은 유사한 문제를 겪고 있다.

4. 인구

키리바시가 1979년 독립한 이후 사우스타라와의 인구는 급증하여 2020년 기준 63,439명에 이른다.[1]

사우스타라와: 지역 및 인구
조사 지역1978[5]2005[6]2010[1]2020[1]
타나에아(Tanaea)2791279513
본리키(Bonriki)6352,1192,3553,339
템와이쿠(Temwaiku)2,0113,1354,785
교량(나웨레웨레)(Causeway (Nawerewere))1,7802,0542,617
비케니베우(Bikenibeu)3,9716,1706,5688,914
아바라오(Abarao)3229081,6651,941
에이타(Eita)6122,2993,0613,921
탕인테부(Tangintebu)1289489162
타보리오(Taborio)1879551,2821,649
암보(Ambo)1,6882,2003,518
반라에아바(Banraeaba)5011,7891,9692,379
안테부카(Antebuka)5043901,0871,855
테아오라에레케(Teaoraereke)8483,9394,1715,891
나니카이(Nanikai)6048039881,381
바이리키(Bairiki)1,9562,7663,5243,485
베티오(Betio)7,62612,50915,75519,090
사우스타라와 총계17,92140,31150,18263,439


4. 1. 인구 밀도 및 문제점

타라와 바이리키 광장의 아이들


1978년 인구 조사 당시 남타라와(South Tarawa)의 인구는 17,921명이었으며, 대부분의 주민은 베티오(Betio), 바이리키(Bairiki), 비케니베우(Bikenibeu)의 주요 인구 밀집 지역에 거주했다.[1] 키리바시가 1979년 독립한 이후 남타라와의 인구는 3배 이상 증가하여 2020년 현재 63,439명에 달한다.[1] 남타라와는 현재 모두 도시화되어 있으며, 섬의 북동쪽 끝인 타나에아(Tanaea)에서 남서쪽 끝인 베티오(Betio)까지 사실상 하나의 연속적인 정착지이다.

사우스 타라와의 면적은 15.76km²이다. 이 면적의 상당 부분은 수자원 보호구역, 활주로, 간척도로, 그리고 환초 동쪽 끝 테므와이쿠(Temwaiku)의 대규모 간척지 등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지역을 제외하면 사우스 타라와의 면적은 10km²이고, km²당 4,905명의 인구밀도는 런던(km²당 5,100명)과 거의 같다.[12]

사우스 타라와에서는 다층 건물이 매우 드물다. 많은 인구는 작은 토지에 가구당 평균 7.3명의 대가족 형태로 수용된다. 대부분의 토지는 원래 가족이 소유하고 있지만, 베티오(Betio), 바이리키(Bairiki), 비케니베우(Bikenibeu)에는 정부에 장기 임대된 토지가 있다. 가족 토지나 정부 주택에 접근할 수 없는 많은 사우스 타라와 주민들은 무단 점거자(불법 거주자)가 될 수밖에 없으며, 토지 분쟁이 흔하다.

사우스 타라와, 특히 베티오(Betio)는 호흡기 감염, 설사, 이질의 발병률이 높다.[4] 이러한 질병들은 모두 과밀화와 관련이 있다.[13] 사우스 타라와의 지속 불가능한 개발은 키리바시 정부와 원조 파트너들에게 우려 사항이다.[14] 아노테 통(Anote Tong) 정부는 사람들이 외딴섬에 머물거나 재정착하도록 장려하여 국가의 주요 도시 중심지의 문제를 완화하려고 한다.[15]

센서스 지역2010년 인구[1]사용 가능한 면적[1]사용 불가능 면적[1]헥타르당 인구밀도
타나에아2799ha31
본리키(Bonriki)235570ha139ha134
테므와이쿠3135161ha383ha219
간척도로/나웨레웨레2054161ha383ha219
비케니베우(Bikenibeu)6568181ha36
아바라오166558ha29
에이타3061104ha9ha329
탕긴테부89104ha9ha329
타보리오1282104ha9ha329
암보2200141ha16
반라에아바1969141ha16
안테부카1087141ha16
테아오라에레케(Teaoraereke)417187ha4.2ha448
나니카이98812ha82
바이리키(Bairiki)352446ha5ha577
베티오-바이리키 간척도로포함되지 않음
베티오(Betio)15755154ha13.7ha6102
사우스 타라와 합계501821023ha553ha49





  • 1 본리키: 수자원 보호구역, 공항
  • 2 테므와이쿠: 간척지 및 어장
  • 3 에이타/타보리오: 아바이랑(스카우트)섬, 아바오코로(가이드)섬 및 타보리오 간척도로
  • 4 테아오라에레케: 간척도로
  • 5 나아네카이-바이리키 간척도로, 바이리키 부두 및 선착장
  • 6 베티오: 사주, 부두, 선착장

5. 역사

남타라와는 키리바시 신화와 문화의 중심지였지만, 1895년에 영국령 길버트 엘리스 제도 보호령의 식민 정부 소재지로 선정되기 전까지는 다른 섬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1906년부터 1942년까지는 오션 아일랜드가 식민지의 본부였고, 그 후에는 일본군의 길버트 제도 점령으로 인해 1946년 타라와로 환원될 때까지 푸나푸티가 본부였다.[1]

베티오는 타라와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1]

6. 환경



남타라와는 타라와 환초에 있는 여러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으로는 타라와 석호(최대 수심 25m), 남쪽으로는 태평양(최대 수심 4000m) 사이에 위치한다.[4] 이 섬들은 석호의 퇴적물로 형성되었다. 토양 축적 과정은 주로 동쪽 무역풍에 의해 일어나지만, 엘니뇨-남방 진동 기간 동안 서풍이 오래 지속되면 이 과정이 역전되기도 한다.

남타라와는 대부분 해발 3m 미만이고, 평균 너비는 450m에 불과하다.[4] 가장 높은 지점도 해발 몇 미터(에이타, 3미터)에 불과하여 자연재해, 특히 해수면 상승에 매우 취약하다. 해안 침식과 가뭄은 에이타 지역의 코코넛 야자수 등 식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홍수와 관련된 토양 염류화로 인해 제한적인 담수 공급 또한 위협받고 있다.[7]

6. 1. 수자원

남타라와는 급증하는 인구에 비해 수자원이 매우 제한적이다. 잦은 가뭄 기간에는 환초의 산호암을 침투하는 천부 담수렌즈가 유일한 수원이다. 본리키와 부오타의 담수렌즈는 수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일일 총 지속가능한 수량은 1300m3이다.

도시화로 인해 이전에 지정되었던 다른 수자원 보호구역들은 해제되었거나 과도한 양수와 인구 정착으로 인한 오염으로 인해 폐기되었다.[9]

본리키와 부오타 보호구역의 물은 관로망을 통해 남타라와 가정에 공급된다. 그러나 관로망의 열악한 상태와 제한된 수량으로 인해 각 마을에는 이틀에 약 2시간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대부분의 학교와 공동시설에는 상수도 시설이 전혀 없으며, 많은 가정은 물 부족으로 인해 처리되지 않은 오염된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10]

담수 부족으로 인해 위생 시스템은 세척에 해수를 사용해야 한다. 남타라와의 위생 시스템은 매우 열악하며,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위생 및 공중 보건을 개선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11]

6. 2. 해안 침식

환경토지농업개발부 (MELAD)는 해안 침식 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특정 지역에 맹그로브 나무를 다시 심는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맹그로브와 철목(tengea) 나무로 보호되었던 섬들을 포함하여 남타라와의 많은 침식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남타라와에서 발생하는 침식이 해수면 상승 때문인지, 아니면 부적절한 해안 방벽 건설이나 해변과 조간대에서의 모래와 자갈 채취와 같은 인간 활동 때문인지는 불분명하다. 기후변화 관련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 침식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4]

6. 3. 토지 이용 및 과밀화

남타라와의 면적은 15.76km²로 공식 기록되어 있지만, 상당 부분은 수자원 보호구역, 활주로, 간척지 등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12] 이러한 지역을 제외하면 실제 사용 가능한 면적은 약 1,000 헥타르 (10km², 2,500 에이커) 정도이다.[12] 2020년 기준 63,439명이 거주하여, 헥타르당 49명 (km²당 4,905명)의 인구 밀도를 보인다.[1][12] 이는 런던 (km²당 5,100명)과 비슷하며, 시드니나 오클랜드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이다.[12]

대부분의 토지는 가족(카인 타라와, ''kain Tarawa'') 소유이지만, 베티오(Betio), 바이리키(Bairiki), 비케니베우(Bikenibeu) 등 주요 중심지에는 정부에 장기 임대된 토지도 많다. 토지에 접근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무단 점유를 하기도 하며, 이로 인한 토지 분쟁이 자주 발생한다.

높은 인구 밀도는 과밀화로 이어져, 호흡기 감염, 설사, 이질 등 질병 발생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4][13] 이러한 상황은 키리바시 정부와 원조 제공 국가들에게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14] 아노테 통(Anote Tong) 정부는 인구를 외곽 섬으로 분산시키고, 주요 도시의 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5]

남타라와: 인구 및 면적
센서스 지역2010년 인구[1]사용 가능한 면적[1]주거, 상업 또는 정부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면적[1]
헥타르당 인구밀도
타나에아2799ha31
본리키(Bonriki)235570ha139ha134
템와이쿠(Temwaiku)3135161ha383ha219
간척도로/나웨레웨레2054
비케니베우(Bikenibeu)6568181ha36
아바라오166558ha29
에이타3061104ha9ha329
탕긴테부89
타보리오1282
암보2200141ha16
반라에아바1969
안테부카1087
테아오라에레케(Teaoraereke)417187ha4.2ha448
나니카이98812ha82
바이리키(Bairiki)352446ha5ha577
베티오-바이리키 간척도로포함되지 않음
베티오(Betio)15755154ha13.7ha6102
남타라와 합계501821023ha553ha49





1. 본리키: 수자원 보호구역, 공항




2. 테므와이쿠: 간척지 및 어장




3. 에이타/타보리오: 아바이랑(스카우트)섬, 아바오코로(가이드)섬 및 타보리오 간척도로




4. 테아오라에레케: 간척도로




5. 나아네카이-바이리키 간척도로, 바이리키 부두 및 선착장




6. 베티오: 사주, 부두, 선착장


7. 경제

가계 소비 및 판매를 위한 어업은 사우스타라와 경제에 필수적이다


남타라와는 키리바시의 경제 중심지로, 주요 항구와 공항이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영 기업과 민간 기업이 자리 잡고 있다.
사우스타라와 베티오 항구에서 코프라를 싣고 있다

7. 1. 산업

사우스타라와는 키리바시의 경제 중심지이며, 주요 항구와 공항이 있고 대부분의 국영 기업과 민간 기업이 자리 잡고 있다.

외곽 섬에서 생산된 코프라는 베티오에서 가공되어 국제 시장에 코프라유를 수출하고, 다른 제품들은 국내에서 판매된다. 수출용 참치를 생산하는 어류 가공 공장도 있다.

수입이 수출을 훨씬 웃돌며, 사우스타라와의 대부분 가구는 정부 고용과 해외에서 일하는 친척들의 송금에 의존한다. 실업과 불완전 고용은 심각한 문제이며, 2010년 도시 성인(15세 이상)의 34%만이 현금 일자리에 종사했고, 나머지 3분의 2는 노동력에서 제외되거나 실업 상태이거나 생계 활동에 종사했다. 특히 청년층의 실업률이 높다.

7. 2. 경제적 문제



사우스 타라와는 키리바시의 경제 중심지이며, 주요 항구와 공항이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영 기업과 민간 기업이 자리 잡고 있다. 외곽 섬에서 생산된 코프라는 베티오에서 가공되어 국제 시장에 코프라유를 수출하고, 다른 제품들은 국내에서 판매된다. 수출용 참치를 생산하는 어류 가공 공장도 있다.

수입이 수출을 훨씬 웃돌며, 사우스 타라와의 대부분 가구는 정부 고용과 해외에서 일하는 친척들의 송금에 의존한다. 실업과 불완전 고용은 심각한 문제이며, 2010년 도시 성인(15세 이상)의 34%만이 현금 일자리에 종사했고, 나머지 3분의 2는 노동력에서 제외되거나 실업 상태이거나 생계 활동에 종사했다. 특히 청년층의 실업률이 높다.

8. 교육

남타라와에는 국립 고등학교인 킹 조지 5세 엘레인 베르나치 학교와 여러 사립 기독교 고등학교가 있다.[16]

8. 1. 주요 학교

비키니베우에는 국립 고등학교인 킹 조지 5세 엘레인 베르나치 학교 한 곳이 있다. 또한 여러 사립 기독교 고등학교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16]

  • 갓의 교회 고등학교
  • 모로니 고등학교 - 중학교 과정도 있다.
  • 사크레드 하트 고등학교 (키리바시)
  • 세인트 루이스 고등학교 (사우스 타라와)
  • 윌리엄 고워드 기념학교

9. 교통

사우스타라와는 보니리키 국제공항을 통해 항공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피지 항공나디에서 월요일과 목요일에, 솔로몬 항공호니아라브리즈번으로 주 1회 이상 운항한다.[1]

9. 1. 항공

보니리키 국제공항이 있다. 피지 항공나디에서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에 보니리키 국제공항으로 운항한다. 솔로몬 항공호니아라브리즈번으로 주 1회 이상 운항한다.[1]

9. 2. 숙박 시설

본리키 국제공항


사우스타라와에는 방문객과 단기 근무자를 위한 다양한 숙박 시설이 있다.[17]

참조

[1] 웹사이트 Kiribati Census Report 2020 Volume 1 http://www.mfed.gov.[...] National Statistics Offic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Government of Kiribati 2020-08-17
[2] 웹사이트 Country files at earth-info.nga.mil https://web.archive.[...] 2005-08-12
[3] 웹사이트 6. South Tarawa http://www.climate.g[...] 2012-00-00
[4] 웹사이트 South Tarawa Island Report http://www.climate.g[...] Government of Kiribati
[5] 간행물 Report of the 1978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ublic of Kiribati 1980-00-00
[6] 웹사이트 Kiribati 2005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www.spc.int/p[...]
[7] 웹사이트 Kiribati Country Assistance Strategy (Press Release) http://climatechange[...] World Bank
[8] 웹사이트 Klimatafel von Tarawa, Int. Flugh. Bonriki / Kiribati (Gilbert-Inseln)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19-09-29
[9] 논문 Vulnerability of Freshwater Lens on Tarawa – The Role of Hydrological Monitoring in Determining Sustainable Yield http://www.pacificwa[...]
[10] 웹사이트 Kiribati Social and Economic Report http://www.adb.org/p[...] Asian Development Bank
[11] 웹사이트 ADB and Australia to Help Kiribati Improve Sanitation, Public Hygiene (Press Release) http://www.adb.org/n[...] Asian Development Bank
[12] 웹사이트 Largest cities in the world ranked by population density http://www.citymayor[...] City Mayors
[13] 웹사이트 Kiribati health information profile http://www.wp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06-09
[14] 웹사이트 Kiribati profile on New Zealand'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fficial Site http://www.mfat.govt[...] New Zealand'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11-06-09
[15] 뉴스 Politics: Easing congestion and overcrowding http://www.islandsbu[...] Islands Business International 2011-06-09
[16] 문서 TABITEUEA NORTH 2008 Socio-Economic Profile Part 2 of 4 http://www.climate.g[...] Ministry of Internal and Social Affairs (Kiribati)
[17] 웹사이트 Tarawa Accommodation Overview http://www.kiribatit[...] Tourism Kiribati 2013-03-15
[18] 웹사이트 http://earth-info.ng[...]
[19] 웹인용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Bairiki, Kiribati http://www.worldweat[...] Weatherbase 2020-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