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열대 우림 기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대 우림 기후는 가장 추운 달에도 섭씨 18도 이상을 유지하며 건기가 없는 열대 기후의 한 유형이다. 연중 강수량이 60mm 이상으로 우기나 건기가 뚜렷하지 않으며, 열대 수렴대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적도 부근에 주로 분포하며, 아프리카의 콩고 분지,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 유역, 동남아시아 등지가 대표적이다. 이 지역은 다양한 상록활엽수와 생태계가 발달해 있으며, 토양은 라토솔로 농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화전 농업과 플랜테이션이 이루어지나, 산림 파괴와 같은 문제도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대·아열대 습윤활엽수림 - 술라웨시섬
    술라웨시섬은 인도네시아에 속한 세계에서 11번째로 큰 섬으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지진 및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고 선사시대 유적과 동굴 벽화,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지만, 현재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열대·아열대 습윤활엽수림 - 할마헤라섬
    할마헤라섬은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에서 가장 큰 K자 모양의 화산섬으로, 활화산인 두코노 화산이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고 고유종이 서식하며 역사적 사건과 경제 성장을 겪은 섬이다.
  • 기후 - 스텝 기후
    스텝 기후는 쾨펜 기후 분류상 반건조 기후에 속하며, 250~500mm의 연평균 강수량과 풀, 관목 위주의 초원 생태계, 그리고 고온과 저온 스텝 기후로 나뉘는 특징을 가진다.
  • 기후 - 서안 해양성 기후
    서안 해양성 기후는 대륙 서안 중위도에 분포하며 바다의 영향으로 기온 변화가 적고 강수량이 고른 기후로, 쾨펜 기후 구분 상 Cfb, Cfc로 분류되며 지역에 따라 기온과 강수량의 연교차가 다를 수 있다.
열대 우림 기후
지도
기후 정보
유형열대 기후
코펜 기후 구분Af
특징연중 높은 기온
강수량이 풍부
뚜렷한 건기 없음
월평균 기온18°C 이상
월평균 강수량60mm 이상
기타
주요 분포 지역아마존 분지
콩고 분지
인도네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제도
마다가스카르 일부
아프리카 서부 해안 일부

2. 특징

열대 우림은 적도 바로 아래의 섬들과 대륙의 중서부에 분포한다. 일 년 내내 비가 많이 오고 기온의 연교차는 작다. 사람의 키부터 수십 미터 높이까지 자라는 다양한 열대 식물들이 무성하게 자라며, 오후에는 '스콜'이라고 불리는 격렬한 비가 내린다.

보르네오, 열대 우림의 전형적인 식생


브라질 마나우스의 아마존 열대우림

2. 1. 기후 조건

열대 우림은 가장 추운 달에도 18°C 이상의 열대 기후를 가지며, 건기가 없는 기후이다. 모든 달의 평균 강수량이 60mm 이상으로, 강수량이 꾸준히 높기 때문에 뚜렷한 우기나 건기가 없다. 열대 우림 기후에서는 하루하루 날씨가 매우 비슷하지만,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연평균 온도 변화보다 클 수 있다.[1]

열대우림 기후가 무역풍보다 열대 수렴대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그리고 사이클론이 없거나 드물 경우), 대개 적도 근처에 위치할 때, 이를 적도 기후라고도 부른다. 반대로, 열대 수렴대보다 무역풍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경우에는 열대 무역풍 기후라고 부른다. 순수한 적도 기후에서는 대기압이 거의 일정하게 낮기 때문에 수평 기압 경도가 낮다. 결과적으로 바람은 드물고 일반적으로 약하다(해안 지역의 해륙풍 제외). 반면 열대 무역풍 기후는 적도 기후보다 고위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바람이 거의 항상 불기 때문에 열대성 교란을 동반하는 강풍에 대한 저항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열대 무역풍 기후의 열대우림 형성은 적도 기후의 열대우림 형성에 비해 빈약하다.[2][3]

열대 우림 기후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최한월 평균기온이 18℃ 이상 (야자가 생육할 수 있는 조건)
  • 연평균 강수량이 건조 한계 이상
  • 최소 강수량 월 강수량이 60 mm 이상


광의로는, 약한 건기가 있는 (혹은 뚜렷한 건기가 있어도 우기의 강수량이 그것을 보충하고도 남을 만큼 매우 많은) 열대몬순기후도 포함될 수 있다. “최소 강수량 월 강수량이 60 mm 이상”이라는 조건에서 이 기후에 속하는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720mm 이상이 된다. 엄밀한 정의는 되어 있지 않지만 최난월 평균기온이 22℃ 이상(Afa)과 18℃ 이상 22℃ 미만(Afb)이 있다 (Afb는 서안 해양성 기후와의 경계부 일부 지역에 한정된다).

연중 열대수렴대(적도저압대)의 영향을 받으므로 연중 강수량이 많다. 또한 태양고도가 연중 높기 때문에 기온은 연중 높고, 연교차가 적다. 그러나 온난습윤기후로 이행하는 지역에서는 겨울철 고위도 지역에서 오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다소 낮아진다. 기온이 높기 때문에 증발량이 많고 습도가 높다. 또한 구름에 의한 차폐나 고위도 지역에 비해 여름에도 낮이 그다지 길지 않은 등의 이유로 일조시간은 그다지 많지 않다.

낮을 중심으로 해양에서는 적란운이 발달하고, 스콜이라 불리는 돌풍과 격렬한 비를 만나는 경우가 많다. 차가운 공기가 내려오기 때문에 적당한 바람도 있어 스콜 후에는 시원해진다.

해안에 가까울수록 해양성 기후의 특징인 아침의 기온 저하가 완화되어 일교차는 비교적 작지만, 하루 종일 기온이 높다.

3. 분포

열대 우림 기후는 주로 적도를 중심으로 나타나며,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 유역(아마존 우림 지대), 아프리카의 콩고 분지 정글 지대, 인도양의 도서 지역(세이셸, 레위니옹 등), 동남아시아 및 태평양의 도서 지역(수마트라섬, 뉴기니섬, 괌섬, 사키시마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등)에 분포한다.[4] 싱가포르와 같이 인구가 많은 대도시도 열대 우림 기후에 속하지만, 대부분은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이다.

3. 1. 전 세계 주요 분포 지역

전 세계 주요 열대 우림 기후 분포 지역
대륙주요 분포 지역 및 국가
아시아말라카, 인도 카르 니코바르[4], 인도네시아 (발리파판, 반자르마신, 보고르, 이포, 메단, 파당, 팔렘방, 폰티아낙), 일본 오키나와 이시가키, 말레이시아 (쿠칭, 조호르바루, 쿠알라룸푸르), 필리핀 (다바오, 폴로몰록, 탁로반(레이테)), 싱가포르, 스리랑카 (콜롬보, 쿠루네갈라(Am 기후와 인접), 라트나푸라, 스리 자야와르데나푸라 코테(Am 기후와 인접)), 타이완 란위, 태국 (나콘시탐마랏, 나라티왓(Am 기후와 인접))
오세아니아파고파고(미국령 사모아), 투부아이(오스트랄 제도), 이니스페일(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아바루아(쿡 제도), 팔리키르(미크로네시아 연방), 수바(피지), 하갓냐(괌),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아투오나, 마타우투, 파페에테), 타라와(키리바시), 마주로(마셜 제도), 야렌(나우루 야렌 지구), 알로피(뉴질랜드 니우에), 코로르(팔라우 코로르 (도시)), 파푸아뉴기니 (타부빌, 라에), 핏케언, 아피아(사모아), 호니아라(솔로몬 제도), 누쿠알로파(통가), 푸나푸티(투발루), 미국 하와이주 히로, 포트빌라(바누아투)
아프리카모로니(코모로), 키수무(케냐), 하퍼(라이베리아), 마다가스카르 (안탈라하, 마나카라, 토아마시나), 빅토리아(세이셸), 캄팔라(우간다), 콩고 분지 등의 정글 지대
아메리카푼타 고르다(벨리즈), 해밀턴(버뮤다)(Cfa 기후와 인접), 비야 투나리(볼리비아), 브라질 (벨렝, 마카에, 마나우스, 살바도르(바이아), 산투스(상파울루)), 이스터섬(칠레)(Cfa 기후와 인접), 콜롬비아 (부에나벤투라(발레 델 카우카), 플로렌시아(카케타), 레티시아(아마조나스), 키브도), 코스타리카 (코코스섬, 리몬), 이구에이(도미니카 공화국)(Am 기후와 인접), 푸요(에콰도르 파스타사), 생로랑 뒤 마로니(프랑스령 기아나), 세인트조지스(그레나다 세인트조지스), 푸앵트아피트르(과들루프)(Am 기후와 인접), 푸에르토 바리오스(과테말라), 조지타운(가이아나), 라세이바(온두라스), 포트안토니오(자메이카), 블루필즈(니카라과), 찬구이놀라(파나마), 이키토스(페루), 카스트리스(세인트루시아)(Am 기후와 인접), 수리남 (렐리도르프, 파라마리보), 스캐버러(트리니다드 토바고), 미국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 포트로더데일)(Am 기후와 인접), 아마존강 유역(아마존 우림 지대)
기타인도양의 도서 지역(세이셸, 레위니옹 등), 동남아시아 및 태평양의 도서 지역(수마트라섬, 뉴기니섬, 괌섬, 사키시마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등)



주로 적도 부근에 분포한다. 싱가포르와 같은 대도시도 있지만, 대부분은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이다.

그 외에, 온난습윤기후와의 경계부에도 이 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이 있지만, 위 지역들에 비해 계절풍의 영향으로 겨울철 기온이 다소 낮다.

3.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는 열대 우림 기후에 해당하는 지역이 없다. 일본 오키나와현사키시마 제도 대부분과 다이토 제도가 열대 우림 기후에 해당하며, 온난 습윤 기후의 경계 지역에 속한다. 오키나와현의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관측 지점
미야코지마미야코지마[6]
시모지시마시모지[7]
타라마섬타라마[8]
이시가키섬이시가키섬, 이하라마, 마에사토[9] (마에사토 관측소는 2013년 폐지)
요나구니섬요나구니섬, 소노[7]
하테루마섬하테루마[8]
키타다이토섬키타다이토[10][7]
미나미다이토섬미나미다이토[11]


4. 식생

일 년 내내 비가 많이 오고 기온의 연교차는 작다.[1] 사람 키부터 수십 미터 높이까지 자라는 다양한 열대 식물들이 무성하게 자라며, 오후에는 '스콜'이라고 불리는 격렬한 비가 내린다.

연중 강우량이 많기 때문에 내륙까지 깊숙이 들어온 큰 강들이 발달해 있다. 강 유역에는 다양한 상록활엽수들이 층층이 빽빽하게 자라며, 그 높이는 수십 미터에 이른다. 이 지역의 숲은 '''열대우림'''으로 불리며, 특히 남아메리카 아마존강 유역의 것은 셀바, 그 밖의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의 것은 정글이라고 불린다.


  • 햇빛이 비치는 정글 하층부에는 가시나무, 대극과 식물, 덩굴식물 등이 서식한다. 반면, 밀림인 셀바에는 이끼류와 버섯류가 서식한다.
  • 이 기후대에서는 밀림 속에서 다채로운 생태계가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과 호소에도 많은 동식물이 서식한다.
  • 해안이나 강어귀 부근에는 맹그로브 숲이 많다.


이 지역의 숲에서는 상록교목이 관찰된다.[2] 열대우림은 이산화탄소 흡수, 산소 생산, 수분 유지 등 세계적인 자연환경 보전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지역의 토양은 비에 의해 용탈된 라토솔(라테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다.[2] 이러한 토양은 일반적으로 척박하며, 일단 숲이 벌채되면 햇볕에 토양이 굳어져 '''사막화'''가 진행된다. 또한 강수량이 많기 때문에 토양 유실과 침식이 일어나기 쉽고, 이에 따른 홍수와 산사태도 증가한다.

5. 토양

이 지역의 토양은 비에 의해 용탈된 라토솔(라테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다.[1] 이러한 토양은 일반적으로 척박하며, 일단 숲이 벌채되면 햇볕에 토양이 굳어져 사막화가 진행된다. 또한 강수량이 많기 때문에 토양 유실과 침식이 일어나기 쉽고, 이에 따른 홍수산사태도 증가한다.

6. 산업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의 토양은 비에 의해 용탈된 라토솔(라테라이트)이나 적색토로 이루어져 농업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많은 지역에서 화전농법으로 카사바, 타로, 을 생산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플랜테이션(재식농업)으로 천연고무, 유지야자, 카카오 등을 생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화전 등에 의한 산림파괴가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열대계절풍기후에 가까운 지역에서는 건기의 건조로 인해 화전이 대규모 산불로 번져 장기간에 걸쳐 연기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다.

열대 우림의 오지나 태평양 중부의 미개척 도서 지역에서는 독자적인 문화생활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구미 선진국 등 외부에서 유입된 자본에 의해 단기간 호황을 누린 후, 자원 부족이나 비용 증가 등의 이유로 자본이 철수하여 경제가 파탄나고 많은 부채를 지거나 빈곤이 심각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과거에는 자원 채굴이나 기타 노동을 위해 원주민이 노예 등으로 이용된 예도 있었다.

독자적인 영토를 가진 원주민과 이주민, 또는 인접한 원주민들 사이의 갈등도 나타난다.

7. 도시

열대 우림 기후를 나타내는 도시 목록
아시아오세아니아아프리카아메리카


참조

[1] 서적 Physical Geography: A Landscape Appreciation Prentice Hall
[2] 서적 Climatologie
[3] 학술지 Widening of the tropical belt in a changing climate https://www.nature.c[...] 2008-01-00
[4] WWF 생태지역
[5] 서적
[6] 간행물 鏡原観測所は温暖湿潤気候(2003年 - 2020年までの18年間の準平年値) 2003-01-01/2020-12-31
[7] 간행물 2003年 - 2020年までの18年間の準平年値 2003-01-01/2020-12-31
[8] 간행물 地域気象観測(アメダス)平年値表 CD-ROM
[9] 간행물 2003年 - 2010年までの8年間の準平年値 2003-01-01/2010-12-31
[10] 웹사이트 北大東 平年値(年・月ごとの値) 主な要素 https://www.data.jma[...]
[11] 웹사이트 旧東 平年値(年・月ごとの値) 主な要素 https://www.data.jma[...]
[12] 서적 新詳高等地図 帝国書院
[13] 서적 詳解現代地図 二宮書店
[14] 백과사전 열대 지방에서 대류에 의해 나타나는 소나기로, 거의 매일 일어나며, 번개, 천둥, 강풍을 동반하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