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뮤얼 머윈 주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뮤얼 머윈 주니어는 1910년 출생하여 1996년 사망한 미국의 SF 소설가이자 편집자이다. 그는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 후 언론계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잡지 편집자로 활동하며 미스터리, SF 등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썼다. 특히 SF 잡지 편집자로서 스타틀링 스토리와 스릴링 원더 스토리 등에서 활동하며 SF 장르 발전에 기여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SF 소설 《다원 우주의 집》과 그 속편 《시간의 세 얼굴》이 있으며, 에이미 브루스터를 주인공으로 한 미스터리 소설도 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SF 작가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SF 작가 - 필립 K. 딕
    필립 K. 딕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 정체성 혼란, 기술 발달과 인간 소외 등 철학적 주제를 다룬 미국의 유명한 과학 소설 작가로, 그의 작품은 영화로도 제작되어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 사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1996년 사망 - 네빌 프랜시스 모트
    네빌 프랜시스 모트는 영국의 물리학자로서 기체에서의 충돌, 고체 물리학 연구를 수행하고 거니-모트 이론을 제시했으며, 197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1996년 사망 - 이병주 (1912년)
    이병주(1912년)는 대구사범학교 졸업 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의학박사이자 정치인으로, 대한결핵협회 이사, 민주공화당 창당준비위원, 재단법인 성균관 이사장을 역임하고 제7·8·9대 국회의원 및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위원, 그리고 민주공화당 주요 직책과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을 지냈다.
  • 1910년 출생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1910년 출생 -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 마사요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68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외무대신 시절 한일 및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총리 재임 중 환태평양 연대 구상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총선 직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새뮤얼 머윈 주니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새뮤얼 킴벌 머윈 주니어
원어 이름Samuel Kimball Merwin Jr.
출생1910년 4월 28일
출생지미국 뉴저지주 플레인필드
사망1996년 1월 13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국적미국
직업작가, 편집자
가족새뮤얼 머윈 시니어 (아버지)
배우자리 애나 밴스
필명
장르

2. 생애

새뮤얼 머윈 주니어는 다방면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1940년 미스터리 소설 ''미니어처 살인''으로 작가 경력을 시작하여, 미스터리, 로맨스, 스포츠 소설, SF 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을 썼다. 특히 SF 분야에서는 ''스타틀링 스토리''와 ''스릴링 원더 스토리''의 편집장을 맡아 큰 영향을 주었으며, '''세르게트 새턴'''이라는 필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출판된 SF의 수준을 높이고 독자층을 성인층으로 이끄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51년 편집자 직에서 물러나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했지만, 소설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그럼에도 ''판타스틱 유니버스'' 편집,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 부편집자, 마이크 셰인 미스터리 매거진 편집 등 여러 활동을 했다. 그의 탐정 소설에 나오는 에이미 브루스터는 팜므파탈의 전형을 벗어난 독특한 캐릭터로 꼽힌다.

평행 세계를 소재로 한 장편 소설 『다원 우주의 집』과 그 속편 『시간의 세 얼굴』은 그의 대표작이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새뮤얼 머윈 시니어(Samuel Merwin Sr.)의 아들로 1910년 4월 28일 뉴저지주 플레인필드에서 태어났다.[1] 1931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문학사(BA) 학위를 받았으며, 보스턴 미술관 학교에서 공부했다. 그는 ''보스턴 이브닝 아메리카''(1932–1933)의 기자로 주류 언론 경력을 시작하여, 이후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의 뉴욕 지국장으로 일했다. 1934년에는 리 안나 반스와 결혼했다.[3]

2. 2. 언론 및 출판 경력

그는 주류 언론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보스턴 이브닝 아메리카''(1932–1933)의 기자로 활동했고, 이후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의 뉴욕 지국장으로 일했다.[2] 델 출판사 (1937–1938), 스탠다드 매거진 그룹 (1941–1951), 킹 사이즈 출판사 (1952), 레논 출판사 (1955–1956, 1977–1979), 브랜든 하우스 (1966–1967)에서 편집자로 일했으며, 잡지 작가로도 활동했다.[2]

''스타틀링 스토리''(1945–1951), ''판타스틱 스토리 쿼털리''(1950–1951), ''원더 스토리즈 연감''(1950–1951), ''스릴링 원더 스토리''(1945-1951), ''판타스틱 유니버스''(1953)의 편집자로 활동하며 SF 장르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2] 처음에는 이전 편집자인 오스카 J. 프렌드에게서 물려받은 '''세르게트 새턴'''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했고, 이후에는 단순히 "편집자"로 불렸다. 그의 정체는 6년 동안 대부분의 독자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는 그의 잡지 독자 투고란이 이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고 호평받는 곳 중 하나가 되도록 도왔다.[2] 그는 출판된 SF의 수준을 높이고 독자층을 더욱 성인층으로 옮기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2]

1951년 편집자 직을 그만두고 프리랜서 작가가 되었지만, 1953년 SF 붐 동안 잠시 ''판타스틱 유니버스''를 편집했고, 1952-1953년에는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의 부편집자로 일했다.

1956년 마이크 셰인 미스터리 매거진을 편집했으며, 1977년부터 1979년까지 다시 편집을 맡았다.

2. 3. 작가로서의 경력

머윈은 1940년 미스터리 소설 ''미니어처 살인''을 출판하며 소설 쓰기를 시작했고, 미스터리, 로맨스 (여성 필명 사용), 스포츠 소설, SF 소설을 썼다. 그는 SF 소설보다 미스터리 소설을 더 많이 썼고, 그의 SF 소설은 미스터리 장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받는다.[4] 그는 ''스타틀링 스토리''(1945–1951), ''판타스틱 스토리 쿼털리''(1950–1951), ''원더 스토리즈 연감''(1950–1951), ''스릴링 원더 스토리''(1945-1951), ''판타스틱 유니버스''(1953)의 편집자로 활동하며 SF 장르에서 큰 영향력을 가졌다.[2] 처음에는 잡지 이전 편집자인 오스카 J. 프렌드로부터 물려받은 필명인 '''세르게트 새턴'''으로 불렸고, 이후에는 단순히 "편집자"로 불렸다. 그의 정체는 6년 동안 대부분의 독자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는 그의 잡지의 독자 투고란이 이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고 호평을 받는 곳 중 하나가 되도록 도왔다. 그는 출판된 SF의 수준을 높이고 독자층을 더욱 성인층으로 옮기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2]

머윈은 1951년 편집자 직을 그만두고 프리랜서 작가가 되었지만, 그의 미스터리 및 SF 소설은 상업적으로나 비평적으로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53년 SF 붐 동안 그는 잠시 ''판타스틱 유니버스''를 편집했고, 1952-1953년에는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의 부편집자로 일했다.

그의 탐정 소설 중 세 편에는 친구들을 위해 미스터리를 해결하는 "시가를 피우는, 136kg의 변호사이자 금융가... 상류층이지만 여성스럽지 않은" 에이미 브루스터가 등장한다. 이 캐릭터는 "특히 팜므파탈과 같은 장르의 고정관념에 ''반하여'' 정의된다. 그들은 매력적이지 않고, 집에 갇혀 있지 않으며, 대화나 직업 면에서 복종적이지도 않다"고 평가받았다.[5]

그는 1952년부터 1953년까지 DC의 스트레인지 어드벤처와 미스터리 인 스페이스에 몇 편의 만화 스토리를 썼다.

그는 1956년 마이크 셰인 미스터리 매거진을 편집했으며, 1977년부터 1979년까지 다시 편집을 맡았다. 그는 잡지에 실린 많은 마이클 셰인 이야기를 썼다.

머윈은 평행 세계물 (역사 대체 테마) 장편 소설 『다원 우주의 집』 ''The House of Many Worlds'' (1951)과 그 속편 『시간의 세 얼굴』 (미번역) ''Three Faces of Time'' (1955)으로 가장 잘 기억될 것이다. 전자는 현대 (집필 당시) 세계와 그 평행 세계를 배경으로 한 스릴러 작품이고, 후자는 고대 로마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2. 4. SF 잡지 편집장

머윈은 1945년부터 1951년까지 "스타틀링 스토리", "스릴링 원더 스토리"의 편집장을 맡았다. 처음에는 이전 편집자인 오스카 J. 프렌드로부터 물려받은 '''세르게트 새턴'''이라는 필명으로 불렸고, 이후에는 단순히 "편집자"로 불렸다.[2] 그의 정체는 6년 동안 대부분의 독자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는 그의 잡지 독자 투고란이 이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고 호평받는 곳 중 하나가 되도록 도왔다.[2] 그는 출판된 SF의 수준을 높이고 독자층을 더욱 성인층으로 옮기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2]

그는 "판타스틱 스토리 쿼털리"(1950–1951), "원더 스토리즈 연감"(1950–1951), "판타스틱 유니버스"(1953)의 편집자로도 활동했다.[2] 1951년 편집자 직을 그만두고 프리랜서 작가가 되었지만, 1953년 SF 붐 동안 잠시 ''판타스틱 유니버스''를 편집했고, 1952년부터 1953년까지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의 부편집자로 일했다.

2. 5. 프리랜서 작가 활동

머윈은 1951년 편집자 직을 그만두고 프리랜서 작가가 되었지만, 그의 미스터리 및 SF 소설은 상업적으로나 비평적으로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2] 1953년 SF 붐 동안 그는 잠시 ''판타스틱 유니버스''를 편집했고, 1952년부터 1953년까지는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의 부편집자로 일했다.

그의 탐정 소설 중 세 편에는 친구들의 미스터리를 해결하는, 시가를 피우는 136kg의 변호사이자 금융가인 에이미 브루스터가 등장한다. 그녀는 상류층이지만 여성스럽지 않은 인물이다. 이 캐릭터는 "특히 팜므파탈과 같은 장르의 고정관념에 ''반하여'' 정의된다. 그들은 매력적이지 않고, 집에 갇혀 있지 않으며, 대화나 직업 면에서 복종적이지도 않다"고 평가받았다.[5]

그는 1952년부터 1953년까지 DC의 스트레인지 어드벤처와 미스터리 인 스페이스에 몇 편의 만화 스토리를 썼다.

그는 또한 1956년 마이크 셰인 미스터리 매거진을 편집했으며, 1977년부터 1979년까지 다시 편집을 맡았다. 그는 잡지에 실린 많은 마이클 셰인 이야기를 썼다.

2. 6. 말년

머윈은 1951년 편집자 직을 그만두고 프리랜서 작가가 되었지만, 그의 미스터리 및 SF 소설은 상업적으로나 비평적으로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2] 1953년 SF 붐 동안 잠시 ''판타스틱 유니버스''를 편집했고, 1952년부터 1953년까지는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의 부편집자로 일했다.

그의 탐정 소설 중 세 편에는 친구들을 위해 미스터리를 해결하는 "시가를 피우는, 136kg의 변호사이자 금융가... 상류층이지만 여성스럽지 않은" 에이미 브루스터가 등장한다. 이 캐릭터는 "특히 팜므파탈과 같은 장르의 고정관념에 ''반하여'' 정의된다. 그들은 매력적이지 않고, 집에 갇혀 있지 않으며, 대화나 직업 면에서 복종적이지도 않다"고 평가받았다.[5]

1952년부터 1953년까지 DC의 스트레인지 어드벤처와 미스터리 인 스페이스에 몇 편의 만화 스토리를 썼다.

1956년 마이크 셰인 미스터리 매거진을 편집했으며, 1977년부터 1979년까지 다시 편집을 맡았다. 그는 잡지에 실린 많은 마이클 셰인 이야기를 썼다.

1996년 1월 13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했다.

3. 작품 세계

새뮤얼 머윈 주니어는 평행 세계를 다룬 소설인 《다중 세계의 집》(1951)과 그 속편 《시간의 세 얼굴》(1955)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보처와 맥코머스는 《다중 세계의 집》의 결말을 비판하면서도, "훌륭하게 다루어졌으며... 머윈이 지금까지 출판한 작품 중 최고의 글쓰기"라고 평가했다.[6] P. 스카일러 밀러는 이 소설을 "매우 재미있고 탄탄한 구성이며 모든 종류의 깔끔한 작은 색상과 디테일로 가득하다"고 호평했다.[7] 반면 그로프 콘클린은 《다중 세계의 집》에 대해 "다소 실망스럽다"고 평가하며 "서투른 글쓰기와 불행한 성격 묘사"를 지적했다.[8]

3. 1. 주요 작품

제목출판사출판일비고
미니어처 살인 사건더블데이 도란1940년"범죄 클럽" 시리즈, 이후 크레스트우드 출판, 할리퀸 북스 등에서 재출판
내 등 뒤의 칼미스터리 하우스1945년이후 할리퀸 북스 등에서 재출판
기어오는 그림자포셋 골드 메달 북스1952년
다가올 살인자아벨라드 프레스1953년갤럭시 소설 22호로 재출판(1954년)
백색 미망인더블데이1953년Startling Stories 1953년 10월호 "백색 미망인" 확장판, 1960년 성 전쟁으로 제목 변경 및 일부 수정되어 재출판
통행인미드우드 타워1962년
시간 이동자랜서1971년
쇼비니스트메이저 북스1976년Chauvinisto영어
다원 우주의 집더블데이1951년Startling Stories 1951년 9월호 확장판, Galaxy novel 12호로 재출판(1952년), 1983년 시간의 세 얼굴과 합본으로 재출판
시간의 세 얼굴에이스 더블1955년Startling Stories 1953년 8월호 "Journey to Misenum" 확장판, 1983년 다원 우주의 집과 합본으로 재출판


3. 2. 평가

머윈은 오늘날 평행 세계 소설인 《다중 세계의 집》(1951)과 그 속편인 《시간의 세 얼굴》(1955)로 가장 잘 기억될 것이다. 보처와 맥코머스는 《다중 세계의 집》에 대해 결말에 흠을 잡았지만, "훌륭하게 다루어졌으며... 머윈이 지금까지 출판한 작품 중 최고의 글쓰기"라고 평가했다.[6] P. 스카일러 밀러는 이 소설을 "매우 재미있고 탄탄한 구성이며 모든 종류의 깔끔한 작은 색상과 디테일로 가득하다"고 칭찬했다.[7] 반면 그로프 콘클린은 《다중 세계의 집》에 대해 "다소 실망스럽다"고 평가하며 "서투른 글쓰기와 불행한 성격 묘사"를 지적했다.[8]

3. 3. 에이미 브루스터 시리즈

제목출판 연도비고
내 등에 칼이1945
시체로부터의 메시지1945
정책의 문제1947


4. 작품 목록

제목출판사출판 연도비고
미니어처 살인 사건(Murder in Miniatures)더블데이 도란1940"범죄 클럽" 시리즈
크레스트우드 출판1945"검은 고양이 탐정 소설" 시리즈로 재발행
할리퀸 북스1950뉴욕/토론토에서 재발행
오리지널 소설 재단1955시드니에서 "팬텀 북스 No. 645"로 재발행, 132p.
기어오는 그림자(The Creeping Shadow)포셋 골드 메달 북스1952
다가올 살인자(Killer to Come)아벨라드 프레스1953
갤럭시 소설1954No. 22로 재발행
백색 미망인(The White Widows)더블데이19531953년 10월 스타틀링 스토리(Startling Stories)의 "백색 미망인" 확장판
비컨1960성 전쟁(The Sex War)으로 제목 변경, 갤럭시 소설(Galaxy novel) No. 42, 약간 편집된 재발행
통행인(The Passer)미드우드 타워1962
시간 이동자(The Time Shifters)랜서1971
쇼비니스트(Chauvinisto)메이저 북스1976176p.
내 등 뒤의 칼(Knife in My Back)미스터리 하우스1945
핸디 북1945킹스턴, 뉴욕에서 재판
퀄리티 프레스1947런던에서 재판
할리퀸 북스1950뉴욕/토론토에서 재판


4. 1. 다중 우주의 집 시리즈


  • The House of Many Worlds영어 (Startling Stories, 1951년 9월)
  • * 증보판: The House of Many Worlds영어, 더블데이 (1951)
  • * 재출판: Galaxy novel영어 12호 (1952)
  • * 일본어 번역: 多次元宇宙の家일본어, 가와무라 테츠로 역, 하야카와 SF 시리즈 (1967년)
  • ** 아동용 요약본: 時間監視員일본어, 나카가미 마모루 역, 이와사키 서점 (1967년, 개정판 次元パトロール일본어 1976년, 복간판 次元パトロール일본어 2003년)
  • Journey to Misenum영어 (Startling Stories, 1953년 8월)
  • * 증보판: Three Faces of Time영어, 에이스 더블 D-121 (1955)
  • 두 소설 모두 The House of Many Worlds영어, 에이스 (1983)로 수집됨

4. 2. 에이미 브루스터 탐정 소설


  • 《내 등에 칼이》(Knife in My Back), 1945년
  • 《시체로부터의 메시지》(Message from a Corpse), 1945년
  • 《정책의 문제》(A Matter of Policy), 1947년

4. 3. 독립 소설

제목출판사출판 연도비고
미니어처 살인 사건(Murder in Miniatures)더블데이 도란1940"범죄 클럽" 시리즈
크레스트우드 출판1945"검은 고양이 탐정 소설" 시리즈로 재발행
할리퀸 북스1950뉴욕/토론토에서 재발행
오리지널 소설 재단1955시드니에서 "팬텀 북스 No. 645"로 재발행, 132p.
기어오는 그림자(The Creeping Shadow)포셋 골드 메달 북스1952
다가올 살인자(Killer to Come)아벨라드 프레스1953
갤럭시 소설1954No. 22로 재발행
백색 미망인(The White Widows)더블데이19531953년 10월 스타틀링 스토리(Startling Stories)의 "백색 미망인" 확장판
비컨1960성 전쟁(The Sex War)으로 제목 변경, 갤럭시 소설(Galaxy novel) No. 42, 약간 편집된 재발행
통행인(The Passer)미드우드 타워1962
시간 이동자(The Time Shifters)랜서1971
쇼비니스트(Chauvinisto)메이저 북스1976176p.
내 등 뒤의 칼(Knife in My Back)미스터리 하우스1945
핸디 북1945킹스턴, 뉴욕에서 재판
퀄리티 프레스1947런던에서 재판
할리퀸 북스1950뉴욕/토론토에서 재판


참조

[1] 뉴스 Samuel Merwin, Novelist, 62, Dead. Author of Many Short Stories and Books Succumbs to Apoplexy at Club. Wrote 'Temperamental Henry' and 'Anthony the Absolute'. Women's Rights Advocat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36-10-18
[2] 간행물 Sam(uel) (Kimball) Merwin, Jr. Gale 2002
[3] 뉴스 Marriages New York Times 1934-01-10
[4] 간행물 Sam(uel) (Kimball) Merwin, Jr. Gale 1996
[5] 웹사이트 Early Female Authors http://www.detnovel.[...] Prof. William Marling 2012-09-01
[6] 문서 Recommended Reading F&SF 1952-02
[7] 문서 The Reference Library Astounding Science Fiction 1952-02
[8] 문서 Galaxy's 5 Star Shelf Galaxy Science Fiction 195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