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샘 S. 워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샘 S. 워커는 한국 전쟁에서 낙동강 방어를 성공적으로 이끈 월턴 워커 장군의 아들로, 미국 육군 대장으로 예편한 인물이다. 그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은성 훈장을 받았으며,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다. 1977년에는 52세의 나이로 대장으로 진급하여 아버지와 함께 미 육군 역사상 유일하게 모두 4성 장군에 오른 부자가 되었다. 워커는 육군 지휘참모대학 졸업 후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으며, 베트남 전쟁 이후에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고급 경영 프로그램을 수료하기도 했다. 이후 터키 주둔 연합군 남동부 사령관을 마지막으로 군에서 은퇴한 후 버지니아 군사 학교 교장을 역임했고, 201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정훈학교 동문 - 장웨이궈
    장웨이궈는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장제스의 양자이자 다이 지타오의 친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며, 독일 육군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한 후 중화민국에서 고위직을 역임하며 국가안전회의 사무총장을 지내고 리덩후이의 대만화 운동에 반대하며 정치적 활동을 했다.
  • 미국 육군심리전학교 동문 - 이도형 (1933년)
    한국전쟁 참전 후 육군 복무, 조선일보 기자 및 특파원, 《한국논단》 창간 및 대표이사를 지낸 이도형은 언론계와 보수 논객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 미국 육군심리전학교 동문 - 장웨이궈
    장웨이궈는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장제스의 양자이자 다이 지타오의 친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며, 독일 육군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한 후 중화민국에서 고위직을 역임하며 국가안전회의 사무총장을 지내고 리덩후이의 대만화 운동에 반대하며 정치적 활동을 했다.
  • 미국 육군정보학교 동문 - 이후락
    이후락은 대한민국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박정희 정권에서 요직을 거치며 권력을 행사했고 7·4 남북공동성명 체결에 기여했으나, 여러 논란과 비판 속에 은퇴 후 은둔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 미국 육군정보학교 동문 - 존 R. 하지
    존 R. 하지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인으로, 1945년 인천에 상륙하여 일본 총독부의 항복을 받고 주한 미군 사령관과 미군정청 사령관을 겸임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남한을 통치했으며, 1952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1963년 사망했다.
샘 S. 워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샘 심스 워커 장군
샘 심스 워커 장군
이름샘 심스 워커
로마자 표기Saem Simseu Wokeo
별명해당 정보 없음
출생일1925년 7월 31일
출생지뉴욕, 웨스트 포인트
사망일2015년 8월 8일 (90세)
사망지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
안장지웨스트 포인트 묘지
가족아버지 월턴 워커
군 복무
소속미국 육군
복무 기간1946년 ~ 1978년
최종 계급[[파일:US-O10 insignia.svg|20px]] 육군 대장
참전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지휘남동 유럽 연합 지상군
3 보병 사단
2 보병 여단
1 대대, 30 보병 연대
훈장
주요 훈장국방부 수훈 훈장
육군 수훈 훈장
은성 훈장 (2회)
레지옹 오브 메리트 (3회)
수훈 비행 십자훈장
동성 훈장
항공 훈장 (13회)
기타 이력
기타 이력버지니아 군사 대학 총장

2. 생애

샘 워커는 한국 전쟁에서 낙동강 방어에 큰 공을 세우고 교통사고로 순직한 월턴 워커의 외아들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한국 전쟁 당시 이미 대위로 진급한 상태였다.[1]

2. 1. 초기 생애 및 가족

샘 워커는 한국 전쟁에서 낙동강 방어에 큰 공을 세우고 교통사고로 순직한 월턴 워커의 외아들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한국 전쟁 당시 이미 대위로 진급한 상태였다.[1]

워커는 4성 장군이었던 아버지 월턴 워커의 아들로 뉴욕주 웨스트포인트에서 태어났다.[1] 1941년 버지니아 군사 학교에 입학했지만, 다음 해에 미국 육군사관학교로 전학했다.[2] 1946년 6월 4일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하고 이학사 학위를 받은 후 보병으로 임관[4]했으며, 첫 임무는 일본 주둔 제11공수사단이었다.

한국 전쟁에서 제24보병사단 중대장으로 복무하며 은성 훈장을 받았다. 또한 한국에서 복무하는 동안, 당시 제8군을 지휘하던 그의 아버지도 차량 사고로 사망했다.[3] 1951년 전투 임무를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와 미국 육군 보병 학교의 교관으로 배속되었다.

2. 2. 한국 전쟁 참전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의 불법남침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참전했다. 아버지 월턴 워커 중장은 당시 주한 미 제8군 사령관이었다. 샘 워커는 미 육군 제24보병사단 소속 소총중대장으로 북괴뢰군과 직접 교전했으며, 은성 훈장을 받았다.[1] 그러나 그의 은성무공훈장을 축하해주기 위해 월턴 워커 장군이 외아들을 찾아가던 중 불의의 교통사고로 순직했다.[3]

2. 3. 한국 전쟁 이후 군 경력

샘 워커는 아버지의 장례식 이후에도 부대로 복귀하여 1년간의 파병 기간을 모두 채우고 본국으로 돌아갔다. 그는 직업 군인으로 군에 계속 남아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다. 1977년에는 당시 미국 육군 역사상 가장 젊은 나이(52세)에 대장으로 진급하였다. 이로써 워커 부자는 미국 육군 역사상 유일하게 모두 대장 계급에 오른 부자가 되었다.[1]

1957년 육군 지휘참모대학을 졸업한 후, 워커는 육군 참모총장의 부관, 웨스트포인트의 전술 장교, 유엔군/주한 미군의 참모장 비서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 1964년 국립전쟁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으며, 동시에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국제 관계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4][5] 이후 제1대대, 제30보병연대의 지휘관을 맡았다. 남베트남에서 복무를 자원하여 제1보병사단의 G-3로 복무했으며, 중령으로 제2여단의 지휘를 맡아 두 번째 은성 훈장을 받았다. 애틀버러 작전 당시 여단을 이끌었다.[6] 수훈 비행 십자장, 동성 훈장, 13개의 항공 훈장도 받았다.[5]

베트남 이후 워커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6주간의 고급 경영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미국 육군 부참모총장실에서 전력 준비, 전력 계획 및 분석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그 직책을 거쳐 외교 협의회에서 육군을 대표하도록 선정되었다.[5]

1968년 첫 번째 별을 받았으며, 제82공수사단의 부사단장이 된 후, 1969년 웨스트포인트의 제54대 사관생도 사령관으로 선출되었다. 소장으로 진급한 후 제3보병사단을 지휘했으며, 이후 베를린 주둔 미군 사령관으로 선출되었다.[7]

중장으로서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조지아주 포트 맥퍼슨에서 미국 육군 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복무했다. 1977년 대장으로 진급했으며, 당시 육군에서 가장 젊은 4성 장군이었다.[1] 마지막 직책으로 터키에 본부를 둔 연합군 남동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터키에서의 임기는 1974년 키프로스에 군대를 배치한 것에 대한 미국의 대터키 무기 금수 조치와 겹쳐 격동의 시기였다.[1] 터키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터키 장군이 터키 주둔 연합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4성 장군 자리가 없어 육군은 워커에게 미국 유럽 사령부의 참모장(3성 장군 직위)을 제안했지만, 워커는 이 직책을 거절하고 은퇴를 선택했다.[1] 터키에서의 임무를 마친 후 그는 국방 공로 훈장과 터키군 공로 훈장을 받았다.

2. 4. 터키 주둔 및 전역

그의 터키에서의 임기는 키프로스에 군대를 배치한 것에 대한 미국의 대터키 무기 금수 조치와 겹쳐 격동의 시기였다.[1] 터키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터키 장군이 터키 주둔 연합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4성 장군 자리가 없어 육군은 워커에게 미국 유럽 사령부의 참모장(3성 장군 직위)을 제안했다. 워커는 이 직책을 거절하고 은퇴를 선택했다.[1] 터키에서의 임무를 마친 후 그는 국방 공로 훈장과 터키군 공로 훈장을 받았다.

3. 전역 이후

버지니아 군사 학교 교장을 1981년부터 1988년까지 역임했다. 한미재단 자문위원회, 한미 안보 연구 위원회, 국립 D-데이 박물관, 미국-터키 친선협회 이사로도 활동했다. 카파 알파 오더 베타 위원회에 입회했다.

2005년 미국 육군사관학교 졸업생 협회로부터 공로 졸업생상을 받았다. 2015년 8월 8일 90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8] 2015년 10월 12일 웨스트포인트 묘지 18구역 F열 65번지에 안장되었다.[9]

4. 상훈

샘 S. 워커는 복무 기간 동안 다양한 훈장과 휘장을 수여받았다.

구분내용
개인 훈장
부대 훈장
외국 훈장
휘장


4. 1. 미국

개인 훈장



부대 훈장



외국 훈장



휘장


4. 2.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한국 전쟁 참전 훈장(전투 별 3개)
유엔 한국 훈장
[1][2][3]

4. 3. 기타

개인 훈장



부대 훈장



외국 훈장



휘장


참조

[1] 웹사이트 Case of the Fallen Star TIME Magazine, October 9, 1978 https://archive.toda[...]
[2] 웹사이트 VMI Superintendents, 1839–present http://www.vmi.edu/a[...]
[3] 서적 The Coldest Winter: American and the Korean War https://archive.org/[...] Hyperion
[4] 서적 U.S. Army Register: United States Army Active and Retired List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2-09-10
[5] 서적 Official Register of the Officers and Cadets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2022-09-10
[6] 서적 Combat operations: taking the offensive, October 1966 to October 1967 https://history.army[...]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8
[7] 뉴스 Sam S. Walker https://www.legacy.c[...] 2022-09-10
[8] 웹사이트 404 - - Virginia Military Institute http://www.vmi.edu/C[...]
[9] 웹사이트 Walker, Sam Sims https://ancexplorer.[...] U.S. Army 2022-09-10
[10] 웹사이트 GEN Walker Army Staff http://www1.vmi.edu/[...]
[11] 웹사이트 Case of the Fallen Star TIME Magazine, October 9, 1978 http://www.tim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