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군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산군 갑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이 선거구는 충청남도 서산군 지역의 일부를 관할했으며, 이종린, 김제능, 나창헌, 전영석, 장경순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산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산시의 정치 - 서산군 을
서산군 을은 서산군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으나, 서산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며 폐지되었고, 제헌 국회부터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총 5번의 선거에서 김동준, 안만복, 류순식 등이 당선되었다. - 서산시의 정치 - 서산시·태안군
서산시·태안군은 1995년 서산군의 서산시 편입 후 신설된 충청남도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1996년부터 현재까지 총선과 재보궐선거가 치러졌으며 보수와 진보 후보 간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최근에는 국민의힘 성일종 후보가 다수 승리하였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서산군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서산군 갑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충청남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서산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산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산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서산군 단일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이종린 무소속 12,335 33.21% 남정 대한민국총동원본부 7,142 19.23% 안만복 무소속 4,588 12.35% 채택용 대동청년단 3,863 10.40% 김남윤 조선민족청년단 3,815 10.27% 백낙선 무소속 2,726 7.34% 박완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631 4.39% 신항균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038 2.79% 합계 37,138 100%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하위 문서를 참고하라.
4. 1.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종린 | 일민구락부 | 7,164 | 15.86 |
이한용 | 무소속 | 6,456 | 14.29 |
이정규 | 무소속 | 5,526 | 12.23 |
전영석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5,010 | 11.09 |
윤상구 | 무소속 | 5,005 | 11.08 |
이중철 | 무소속 | 4,909 | 10.87 |
채택용 | 민주국민당1949 | 4,148 | 9.18 |
이제능 | 대한청년당 | 3,081 | 6.82 |
김동현 | 무소속 | 2,130 | 4.71 |
한동벽 | 무소속 | 1,729 | 3.82 |
총 득표수 | 45,158 | 100 |
4. 2.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이종린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치러진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자유당 김제능 후보가 당선되었다.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나창헌 | 자유당 | 16,662 | 38.15 |
김제능 | 무소속 | 7,919 | 18.13 |
전영석 | 무소속 | 6,914 | 15.83 |
모호석 | 무소속 | 5,638 | 12.90 |
이한용 | 무소속 | 4,408 | 10.09 |
최병칠 | 무소속 | 2,132 | 4.88 |
합계 | 43,673 |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장경순 | 무소속 | 10,010 | 22.42 |
전영석 | 민주당 | 9,021 | 20.21 |
임창재 | 무소속 | 6,307 | 14.13 |
김제능 | 자유당 | 5,777 | 12.94 |
이풍우 | 무소속 | 5,340 | 11.96 |
최병린 | 무소속 | 4,553 | 10.20 |
지창하 | 무소속 | 3,626 | 8.12 |
합계 | 44,634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