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 봉원사 아미타괘불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봉원사 아미타괘불도는 1901년 순헌황귀비 엄씨가 부모와 조상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봉원사에 시주하여 봉안한 불화이다. 아미타삼존을 중심으로 가섭, 아난, 문수·보현동자 등을 배치한 도상은 19세기 전통을 계승한 20세기 초 아미타괘불도의 특징을 보여준다. 한봉당응작 등 12명의 화승이 제작에 참여했으며,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울·경기 지역 불화 양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아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괘불 - 서울 화계사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
    현재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서울 화계사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 작성이 어려우며, 관련 정보가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 괘불 -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은 1730년 영수사에서 조성된 영산회상도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보살, 제자 등을 묘사한 17세기 후반 불교 미술의 특징을 보여주는 밝고 선명한 채색과 섬세한 묘사가 돋보이는 조선 후기 불교 회화이다.
  • 서울 서대문구의 문화유산 - 신촌역 (경의선)
    신촌역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되는 경의선 철도역으로, 1921년 개통 이후 신촌연결선을 통해 서강대역과 연결되기도 했으며, 구 역사는 등록문화재로 지정, 2006년 민자역사로 이전하며 현대화되었다.
  • 서울 서대문구의 문화유산 - 독곡집 권상
    《독곡집》 권상은 조선 초 문신 성석린의 시와 사를 모아 엮은 시문집으로, 2권 2책 중 권1 1책만이 전해지는 국내 유일본 초간본이다.
서울 봉원사 아미타괘불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봉원사 아미타괘불도
이름봉원사 아미타괘불도
국가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동 산 1 봉원사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363
지정일2014년 7월 3일
시대조선시대
수량1점
추가 정보
문화재청21,03630000,11

2. 지정 사유

1901년 엄비가 돌아가신 부모와 외가 조상 등의 극락왕생을 발원, 시주하여 봉원사에 이 괘불도를 봉안하였다는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1] 아미타불ㆍ관음보살ㆍ대세지보살의 아미타삼존 아래 권속인 가섭ㆍ아난, 사자를 탄 문수동자ㆍ코끼리를 탄 보현동자의 배치는 19세기 전통을 계승한 20세기 초기 아미타괘불도로 높이 평가할 만하다.[1]

이 괘불도는 아미타불, 관음보살, 대세지보살의 아미타삼존을 화면 가득 묘사하고, 이 아래 가섭존자와 아난존자, 하단에 사자를 탄 문수동자와 코끼리를 탄 보현동자를 배치하였다.[1] 이러한 도상은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삼신불괘불도(1832) 및 서울 봉은사 석가모니괘불도(1886) 등과 동일한 도상을 공유하면서 상단 부분만 아미타삼존으로 바꾼 것이다.[1] 유사한 예로 지장사 괘불도(1901), 고양 흥국사 괘불도(1902)를 들 수 있다.[1]

이와 같이 동일한 도상(불ㆍ가섭ㆍ아난ㆍ관음보살좌상ㆍ사천왕)을 공유하면서 상단 부분의 주존불만 바꾼 서울 개운사 괘불도(1879)를 화본으로 삼은 내원암 괘불도(1885), 화계사 괘불도(1904)로 미루어 19세기 서울, 경기지역에 위와 같은 수법이 대두하여 성행한 것으로 보인다.[1]

오른손을 아래로 내리고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한 이 괘불도는 서울, 경기도 일대에서 활동했던 저명한 수화승 한봉당응작 등 12명의 화승이 제작에 참여했다.[1] 덕월당 응륜과 청암당 운조는 1895년 불암사 괘불도, 범화당 윤익은 1862년 청계사 괘불도 조성에 참여한 바 있다.[1] 12명의 숙련된 화승이 공동 제작한 이 왕실 발원 아미타괘불도는 각 세부 묘사 등이 당시 불화와 비교하여 정교한 편으로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함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1]

3. 도상 및 양식 특징

이 괘불도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좌우에 배치된 아미타삼존 형식이다. 아미타삼존 아래에는 가섭존자와 아난존자, 문수동자와 보현동자가 배치되어 있다.[1] 이러한 도상은 19세기 서울, 경기 지역 괘불도의 전형적인 양식을 따르면서도, 상단 부분만 아미타삼존으로 변화를 준 것이다.[1] 오른손을 아래로 내리고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하며, 서울, 경기도 일대에서 활동했던 저명한 수화승 한봉당응작 등 12명의 화승이 제작에 참여했다.[1]

1901년에 경운궁에 살던 고종태황제 後宮 淳嬪邸下인 엄비가 돌아가신 부모와 외가 조상 등의 극락왕생을 발원, 시주하여 봉원사에 이 괘불도를 봉안하였다.[1] 아미타불ㆍ관음보살ㆍ대세지보살의 아미타삼존 아래 권속인 가섭ㆍ아난, 사자를 탄 문수동자ㆍ코끼리를 탄 보현동자의 배치는 19세기 전통을 계승한 20세기 초기 아미타괘불도로 높이 평가받는다.[1]

이와 같이 동일한 도상(佛ㆍ가섭ㆍ아난ㆍ관음보살좌상ㆍ사천왕)을 공유하면서 상단 부분의 주존불만 바꾼 서울 개운사 괘불도(1879)를 화본으로 삼은 내원암 괘불도(1885), 화계사 괘불도(1904)와 유사하다.[1] 유사한 예로 봉국사 괘불도(1892년 유형문화재 제113호), 지장사 괘불도(1901년 유형문화재 제113호), 연화사 괘불도(1901년 유형문화재 제342호), 고양 흥국사 괘불도(1902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9호)를 들 수 있다.[1]

화승인 덕월당응崙과 청암당운조는 1895년 불암사 괘불도, 범화당윤익은 1862년 청계사 괘불도의 조성에 참여한 바 있다.[1] 12명의 숙련된 화승이 공동 제작한 이 왕실발원 아미타괘불도는 각 세부묘사 등이 당시 불화와 비교하여 정교한 편이다.[1]

4. 제작 참여자

연화질(緣化秩)은 황성(皇城) 밖 서령(西嶺) 삼각산 봉원사에 거주하며 수월도량공화불사결연재(水月道場空花佛事結緣齋)를 하였다.

봉원사 아미타괘불도 제작 참여자 명단
직책이름
증명비구(證明比丘)은암당 규응(隱菴堂奎應), 지월당 광흡(芝月堂光冾), 광제당 탈회(廣濟堂脫悔)
송주비구(誦呪比丘)원응당 성하(圓應堂性河), 선행(善行)
지전비구(持殿比丘)보담당 종언(寶潭堂宗彦), 서암당 석준(西菴堂錫俊)
금어편수비구(金魚片手比丘)한봉당 응작(韓峰堂應作)
금어비구(金魚比丘)추산당 천성(秋山堂天性), 덕월당 응륜(德月堂應崘), 금화당 기형(錦華堂機烱), 명응당 환감(明應堂幻鑑), 보암당 亘法(普庵堂亘法), 범화당 윤익(梵華堂潤益), 금운당 정기(錦雲堂正機), 청암당 운조(淸庵堂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
입승비구(立繩比丘)진허당 혜권(震虛堂慧權)
공사비구(供司比丘)응오(應悟)
사미(沙彌)창예(昌芸)
종두비구(鍾頭比丘)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
별공비구(別供比丘)임성당 춘심(綝惺堂春心), 인원(仁圎)
도감(都監)양담당 응하(兩潭堂應夏)
별좌(別座)혜월당 원조(慧月堂圓照)
화주(化主)금담당 대련(金潭堂大蓮)
화대(火臺)이순겸(李順謙)
정통(淨桶)이재준(李在俊)
내왕(來往)엄학인(嚴學仁)
주장(主丈)석운암 정섭(釋雲菴正燮)
삼강(三綱)공원(公貟) 석혜월 원조(釋慧月圓照)
수승(首僧)한운(漢雲)



대한국(大韓國) 광무(光武) 5년 신축(辛丑, 1901년) 3월 일(日)에 봉안(奉安)하였다.

4. 1. 증명

연화질(緣化秩)은 황성(皇城) 밖 서령(西嶺) 삼각산 봉원사에 거주하며 수월도량공화불사결연재(水月道場空花佛事結緣齋)를 하였다. 증명비구(證明比丘)는 은암당 규응(隱菴堂奎應), 지월당 광흡(芝月堂光冾), 광제당 탈회(廣濟堂脫悔)이다. 송주비구(誦呪比丘)는 원응당 성하(圓應堂性河)와 선행(善行)이다. 지전비구(持殿比丘)는 보담당 종언(寶潭堂宗彦)과 서암당 석준(西菴堂錫俊)이다. 금어편수비구(金魚片手比丘)는 한봉당 응작(韓峰堂應作), 추산당 천성(秋山堂天性), 덕월당 응륜(德月堂應崘), 금화당 기형(錦華堂機烱), 명응당 환감(明應堂幻鑑), 보암당亘법(普庵堂亘法), 범화당 윤익(梵華堂潤益), 금운당 정기(錦雲堂正機), 청암당 운조(淸庵堂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이다. 입승비구(立繩比丘)는 진허당 혜권(震虛堂慧權)이다. 공사비구(供司比丘)는 응오(應悟), 사미(沙彌)는 창芸이다. 종두비구(鍾頭比丘)는 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이다. 별공비구(別供比丘)는 임성당 춘심(綝惺堂春心)과 인원(仁圎)이다. 도감(都監)은 양담당 응하(兩潭堂應夏), 별좌(別座)는 혜월당 원조(慧月堂圓照)이다. 화주(化主)는 금담당 대련(金潭堂大蓮), 화대(火臺)는 이순겸(李順謙), 정통(淨桶)은 이재준(李在俊), 내왕(來往)은 엄학인(嚴學仁)이다. 주장(主丈)은 석운암 정섭(釋雲菴正燮)이다. 삼강(三綱)은 공원(公貟) 석혜월원조(釋慧月圓照), 수승(首僧)은 한운(漢雲)이다. 대한국(大韓國) 광무(光武) 5년 신축(辛丑, 1901년) 3월 일(日)에 봉안(奉安)하였다.

4. 2. 송주

연화질(緣化秩)은 다음과 같다. 황성(皇城) 밖 서쪽 산령(山嶺) 삼각산(三角山) 봉원사(奉元寺)에 거주하며, 수월도량(水月道場) 공화불사(空花佛事) 결연재(結緣齋)를 하였다. 증명비구(證明比丘)는 은암당(隱菴堂) 규응(奎應), 지월당(芝月堂) 광흡(光冾), 광제당(廣濟堂) 탈회(脫悔)이다. 송주비구(誦呪比丘)는 원응당(圓應堂) 성하(性河)와 선행(善行)이다. 지전비구(持殿比丘)는 보담당(寶潭堂) 종언(宗彦)과 서암당(西菴堂) 석준(錫俊)이다. 금어편수비구(金魚片手比丘)는 한봉당(韓峰堂) 응작(應作), 추산당(秋山堂) 천성(天性), 덕월당(德月堂) 응윤(應崘), 금화당(錦華堂) 기형(機烱), 명응당(明應堂) 환감(幻鑑), 보암당(普庵堂)亘法), 범화당(梵華堂) 윤익(潤益), 금운당(錦雲堂) 정기(正機), 청암당(淸庵堂) 운조(雲照)이다.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도 참여하였다. 입승비구(立繩比丘)는 진허당(震虛堂) 혜권(慧權), 공사비구(供司比丘)는 응오(應悟)이다. 사미(沙彌)는 창예(昌芸)이다. 종두비구(鍾頭比丘)는 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이다. 별공비구(別供比丘)는 임성당(綝惺堂) 춘심(春心)과 인원(仁圎)이다. 도감(都監)은 양담당(兩潭堂) 응하(應夏), 별좌(別座)는 혜월당(慧月堂) 원조(圓照), 화주(化主)는 금담당(金潭堂) 대련(大蓮)이다. 화대(火臺)는 이순겸(李順謙), 정통(淨桶)은 이재준(李在俊), 내왕(來往)은 엄학인(嚴學仁)이 담당하였다. 주장(主丈)은 석운암(釋雲菴) 정섭(正燮)이다. 삼강(三綱)은 공원(公貟) 석혜월(釋慧月) 원조(圓照), 수승(首僧)은 한운(漢雲)이다. 대(大)한국 광무(光武) 5년 신축(辛丑, 1901년) 3월 일(日)에 봉안(奉安)하였다.

4. 3. 지전

연화질은 다음과 같다.

  • 황성외 서령 삼각산 봉원사에 거주.
  • 수월도량공화불사결연재.
  • 증명비구 은암당 규응
  • 비구 지월당 광흡
  • 비구 광제당 탈회
  • 송주비구 원응당 성하
  • 비구 선행
  • 지전비구 보담당 종언
  • 비구 서암당 석준
  • 금어편수비구 한봉당 응작
  • 비구 추산당 천성
  • 비구 덕월당 응윤
  • 비구 금화당 기형
  • 비구 명응당 환감
  • 비구 보암당亘법
  • 비구 범화당 윤익
  • 비구 금운당 정기
  • 비구 청암당 운조
  • 비구 재겸
  • 비구 완완
  • 비구 성주
  • 입승비구 진허당 혜권
  • 공사비구 응오
  • 사미 창예
  • 종두비구 봉희
  • 비구 보심
  • 비구 덕찰
  • 별공비구 늠성당 춘심
  • 비구 인원
  • 도감 양담당 응하
  • 별좌 혜월당 원조
  • 화주 금담당 대련
  • 화대 이순겸
  • 정통 이재준
  • 내왕 엄학인
  • 주장 석운암 정섭
  • 삼강 공원 석혜월 원조
  • 수승 한운


대한국 광무 5년(1901년) 신축 3월 일 봉안.

4. 4. 화승 (금어)

금어(金魚)는 한봉당 응작(韓峰堂 應作), 추산당 천성(秋山堂 天性), 덕월당 응륜(德月堂 應崘), 금화당 기형(錦華堂 機烱), 명응당 환감(明應堂 幻鑑), 보암당 긍법(普庵堂 亘法), 범화당 윤익(梵華堂 潤益), 금운당 정기(錦雲堂 正機), 청암당 운조(淸庵堂 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이다.

4. 5. 입승

연화질(緣化秩)은 다음과 같다.

  • 증명비구(證明比丘): 은암당규응(隱菴堂奎應), 지월당광흡(芝月堂光冾), 광제당탈회(廣濟堂脫悔)
  • 송주비구(誦呪比丘): 원응당성하(圓應堂性河), 선행(善行)
  • 지전비구(持殿比丘): 보담당종언(寶潭堂宗彦), 서암당석준(西菴堂錫俊)
  • 금어편수비구(金魚片手比丘): 한봉당응작(韓峰堂應作)
  • 금어비구(金魚比丘): 추산당천성(秋山堂天性), 덕월당응윤(德月堂應崘), 금화당기경(錦華堂機烱), 명응당환감(明應堂幻鑑), 보암당긍법(普庵堂亘法), 범화당윤익(梵華堂潤益), 금운당정기(錦雲堂正機), 청암당운조(淸庵堂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
  • 입승비구(立繩比丘): 진허당혜권(震虛堂慧權)
  • 공사비구(供司比丘): 응오(應悟)
  • 사미(沙彌): 창예(昌芸)
  • 종두비구(鍾頭比丘): 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
  • 별공비구(別供比丘): 임성당춘심(綝惺堂春心), 인원(仁圎)
  • 도감(都監): 양담당응하(兩潭堂應夏)
  • 별좌(別座): 혜월당원조(慧月堂圓照)
  • 화주(化主): 금담당대련(金潭堂大蓮)
  • 화대(火臺): 이순겸(李順謙)
  • 정통(淨桶): 이재준(李在俊)
  • 내왕(來往): 엄학인(嚴學仁)
  • 주장(主丈): 석운암정섭(釋雲菴正燮)
  • 삼강(三綱): 공연(公貟) 석혜월원조(釋慧月圓照)
  • 수승(首僧): 한운(漢雲)


대한국(大韓國) 광무(光武) 5년 신축(辛丑, 1901년) 3월 일(日)에 봉안(奉安)하였다.

4. 6. 공사

연화질(緣化秩)은 황성(皇城) 밖 서쪽 고개 삼각산(三角山) 봉원사(奉元寺)에 거주하며 수월도량공화불사결연재(水月道場空花佛事結緣齋)를 열었다. 증명비구(證明比丘)는 은암당규응(隱菴堂奎應), 지월당광흡(芝月堂光冾), 광제당탈회(廣濟堂脫悔)이고, 송주비구(誦呪比丘)는 원응당성하(圓應堂性河)와 선행(善行)이다. 지전비구(持殿比丘)는 보담당종언(寶潭堂宗彦)과 서암당석준(西菴堂錫俊)이다. 금어편수비구(金魚片手比丘)는 한봉당응작(韓峰堂應作), 추산당천성(秋山堂天性), 덕월당응윤(德月堂應崘), 금화당기형(錦華堂機烱), 명응당환감(明應堂幻鑑), 보암당긍법(普庵堂亘法), 범화당윤익(梵華堂潤益), 금운당정기(錦雲堂正機), 청암당운조(淸庵堂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이다. 입승비구(立繩比丘)는 진허당혜권(震虛堂慧權), 공사비구(供司比丘)는 응오(應悟), 사미(沙彌)는 창예(昌芸)이다. 종두비구(鍾頭比丘)는 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이다. 별공비구(別供比丘)는 임성당춘심(綝惺堂春心)과 인원(仁圎)이다. 도감(都監)은 양담당응하(兩潭堂應夏), 별좌(別座)는 혜월당원조(慧月堂圓照), 화주(化主)는 금담당대련(金潭堂大蓮)이다. 화대(火臺)는 이순겸(李順謙), 정통(淨桶)은 이재준(李在俊), 내왕(來往)은 엄학인(嚴學仁)이다. 주장(主丈)은 석운암정섭(釋雲菴正燮), 삼강(三綱)은 공원(公貟) 석혜월원조(釋慧月圓照), 수승(首僧)은 한운(漢雲)이다. 대한국(大韓國) 광무(光武) 5년 신축(辛丑) 3월 일(日)에 봉안(奉安)하였다.

4. 7. 사미

wikitext

연화질(緣化秩)은 다음과 같다.

  • 증명비구(證明比丘): 은암당 규응(隱菴堂奎應), 지월당 광흡(芝月堂光冾), 광제당 탈회(廣濟堂脫悔)
  • 송주비구(誦呪比丘): 원응당 성하(圓應堂性河), 선행(善行)
  • 지전비구(持殿比丘): 보담당 종언(寶潭堂宗彦), 서암당 석준(西菴堂錫俊)
  • 금어편수비구(金魚片手比丘): 한봉당 응작(韓峰堂應作), 추산당 천성(秋山堂天性), 덕월당 응윤(德月堂應崘), 금화당 기형(錦華堂機烱), 명응당 환감(明應堂幻鑑), 보암당亘법(普庵堂亘法), 범화당 윤익(梵華堂潤益), 금운당 정기(錦雲堂正機), 청암당 운조(淸庵堂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
  • 입승비구(立繩比丘): 진허당 혜권(震虛堂慧權)
  • 공사비구(供司比丘): 응오(應悟)
  • 사미(沙彌): 창예(昌芸)
  • 종두비구(鍾頭比丘): 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
  • 별공비구(別供比丘): 임성당 춘심(綝惺堂春心), 인원(仁圎)
  • 도감(都監): 양담당 응하(兩潭堂應夏)
  • 별좌(別座): 혜월당 원조(慧月堂圓照)
  • 화주(化主): 금담당 대련(金潭堂大蓮)
  • 화대(火臺): 이순겸(李順謙)
  • 정통(淨桶): 이재준(李在俊)
  • 내왕(來往): 엄학인(嚴學仁)
  • 주장(主丈): 석운암 정섭(釋雲菴正燮)
  • 삼강(三綱): 공연(公貟) 석혜월 원조(釋慧月圓照)
  • 수승(首僧): 한운(漢雲)


대한국 광무 5년(1901년) 신축 3월 일에 봉안하였다.

4. 8. 종두

연화질은 다음과 같다. 황성외 서령 삼각산 봉원사에 거주하며 수월도량공화불사를 결연재를 하였다. 증명비구는 은암당규응, 지월당광흡, 광제당탈회이고, 송주비구는 원응당성하, 선행이다. 지전비구는 보담당종언, 서암당석준이고, 금어편수비구는 한봉당응작, 추산당천성, 덕월당응윤, 금화당기형, 명응당환감, 보암당긍법, 범화당윤익, 금운당정기, 청암당운조, 재겸, 완완, 성주이다. 입승비구는 진허당혜권이고, 공사비구는 응오, 사미 창예이다. 종두비구는 봉희, 보심, 덕찰이고, 별공비구는 임성당춘심, 인원이다. 도감은 양담당응하, 별좌는 혜월당원조, 화주는 금담당대련, 화대는 이순겸, 정통은 이재준, 내왕은 엄학인이다. 주장, 석운암정섭, 삼강, 공원, 석혜월원조, 수승, 한운이다. 대략 대한국 광무 5년(1901년) 3월 일 봉안하였다.

4. 9. 별공

연화질(緣化秩)은 다음과 같다.

황성(皇城) 밖 서쪽 고개 삼각산(三角山) 봉원사(奉元寺)에 거주.

수월도량(水月道場) 공화불사(空花佛事) 결연재(結緣齋).

증명비구(證明比丘)는 은암당(隱菴堂) 규응(奎應), 지월당(芝月堂) 광흡(光冾), 광제당(廣濟堂) 탈회(脫悔).

송주비구(誦呪比丘)는 원응당(圓應堂) 성하(性河), 선행(善行).

지전비구(持殿比丘)는 보담당(寶潭堂) 종언(宗彦), 서암당(西菴堂) 석준(錫俊).

금어편수(金魚片手) 비구(比丘)는 한봉당(韓峰堂) 응작(應作), 추산당(秋山堂) 천성(天性), 덕월당(德月堂) 응윤(應崘), 금화당(錦華堂) 기경(機烱), 명응당(明應堂) 환감(幻鑑), 보암당(普庵堂) 亘法(긍법), 범화당(梵華堂) 윤익(潤益), 금운당(錦雲堂) 정기(正機), 청암당(淸庵堂) 운조(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

입승비구(立繩比丘)는 진허당(震虛堂) 혜권(慧權).

공사비구(供司比丘)는 응오(應悟).

사미(沙彌)는 창예(昌芸).

종두비구(鍾頭比丘)는 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

별공비구(別供比丘)는 임성당(綝惺堂) 춘심(春心), 인원(仁圎).

도감(都監)은 양담당(兩潭堂) 응하(應夏).

별좌(別座)는 혜월당(慧月堂) 원조(圓照).

화주(化主)는 금담당(金潭堂) 대련(大蓮).

화대(火臺)는 이순겸(李順謙).

정통(淨桶)은 이재준(李在俊).

내왕(來往)은 엄학인(嚴學仁).

주장(主丈)은 석운암(釋雲菴) 정섭(正燮).

삼강(三綱)은 공원(公貟) 석혜월(釋慧月) 원조(圓照).

수승(首僧)은 한운(漢雲).

대한국(大韓國) 광무(光武) 5년 신축(辛丑) 3월 일(日)에 봉안(奉安)함.

4. 10. 도감

wikitext

연화질(緣化秩)은 다음과 같다.

  • 증명비구(證明比丘): 은암당(隱菴堂) 규응(奎應), 지월당(芝月堂) 광흡(光冾), 광제당(廣濟堂) 탈회(脫悔)
  • 송주비구(誦呪比丘): 원응당(圓應堂) 성하(性河), 선행(善行)
  • 지전비구(持殿比丘): 보담당(寶潭堂) 종언(宗彦), 서암당(西菴堂) 석준(錫俊)
  • 금어편수비구(金魚片手比丘): 한봉당(韓峰堂) 응작(應作), 추산당(秋山堂) 천성(天性), 덕월당(德月堂) 응윤(應崘), 금화당(錦華堂) 기경(機烱), 명응당(明應堂) 환감(幻鑑), 보암당(普庵堂)亘法(亘法), 범화당(梵華堂) 윤익(潤益), 금운당(錦雲堂) 정기(正機), 청암당(淸庵堂) 운조(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
  • 입승비구(立繩比丘): 진허당(震虛堂) 혜권(慧權)
  • 공사비구(供司比丘): 응오(應悟)
  • 사미(沙彌): 창운(昌芸)
  • 종두비구(鍾頭比丘): 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
  • 별공비구(別供比丘): 임성당(綝惺堂) 춘심(春心), 인원(仁圎)
  • 도감(都監): 양담당(兩潭堂) 응하(應夏)
  • 별좌(別座): 혜월당(慧月堂) 원조(圓照)
  • 화주(化主): 금담당(金潭堂) 대련(大蓮)
  • 화대(火臺): 이순겸(李順謙)
  • 정통(淨桶): 이재준(李在俊)
  • 내왕(來往): 엄학인(嚴學仁)
  • 주장(主丈): 석운암(釋雲菴) 정섭(正燮)
  • 삼강(三綱): 공연(公貟) 석혜월(釋慧月) 원조(圓照)
  • 수승(首僧): 한운(漢雲)


대한국(大韓國) 광무(光武) 5년 신축(辛丑, 1901년) 3월 일(日)에 봉안(奉安)하였다.

4. 11. 별좌

wikitext

연화질(緣化秩)은 다음과 같다.

구분이름
증명비구은암당 규응(隱菴堂奎應), 지월당 광흡(芝月堂光冾), 광제당 탈회(廣濟堂脫悔)
송주비구원응당 성하(圓應堂性河), 선행(善行)
지전비구보담당 종언(寶潭堂宗彦), 서암당 석준(西菴堂錫俊)
금어편수비구한봉당 응작(韓峰堂應作)
금어비구추산당 천성(秋山堂天性), 덕월당 응륜(德月堂應崘), 금화당 기형(錦華堂機烱), 명응당 환감(明應堂幻鑑), 보암당 亘法(普庵堂亘法), 범화당 윤익(梵華堂潤益), 금운당 정기(錦雲堂正機), 청암당 운조(淸庵堂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
입승비구진허당 혜권(震虛堂慧權)
공사비구응오(應悟)
사미창예(昌芸)
종두비구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
별공비구임성당 춘심(綝惺堂春心), 인원(仁圎)
도감양담당 응하(兩潭堂應夏)
별좌(別座)혜월당 원조(慧月堂圓照)
화주금담당 대련(金潭堂大蓮)
화대이순겸(李順謙)
정통이재준(李在俊)
내왕엄학인(嚴學仁)
주장석운암 정섭(釋雲菴正燮)
삼강공원(公貟) 석혜월 원조(釋慧月圓照)
수승한운(漢雲)



대한국 광무 5년(1901년) 신축 3월 일 봉안하였다.

4. 12. 화주

황성외 서령 삼각산 봉원사에 거주하며 수월도량공화불사결연재를 연다. 증명비구는 은암당 규응, 지월당 광흡, 광제당 탈회이다. 송주비구는 원응당 성하, 선행이다. 지전비구는 보담당 종언, 서암당 석준이다. 금어편수비구는 한봉당 응작, 추산당 천성, 덕월당 응윤, 금화당 기형, 명응당 환감, 보암당亘법, 범화당 윤익, 금운당 정기, 청암당 운조, 재겸, 완완, 성주이다. 입승비구는 진허당 혜권이다. 공사비구는 응오, 사미 창芸, 종두비구 봉희, 보심, 덕찰, 별공비구 심성당 춘심, 인원이다. 도감은 양담당 응하, 별좌는 혜월당 원조이다. 화주는 금담당 대련, 화대 이순겸, 정통 이재준, 내왕 엄학인이다. 주장 석운암 정섭, 삼강 공원 석혜월 원조, 수승 한운이다. 대한국 광무 5년(1901) 3월 일 봉안하였다.

4. 13. 화대

wikitext

연화질(緣化秩)은 다음과 같다.

  • 증명비구(證明比丘): 은암당(隱菴堂) 규응(奎應), 지월당(芝月堂) 광흡(光冾), 광제당(廣濟堂) 탈회(脫悔)
  • 송주비구(誦呪比丘): 원응당(圓應堂) 성하(性河), 선행(善行)
  • 지전비구(持殿比丘): 보담당(寶潭堂) 종언(宗彦), 서암당(西菴堂) 석준(錫俊)
  • 금어편수비구(金魚片手比丘): 한봉당(韓峰堂) 응작(應作), 추산당(秋山堂) 천성(天性), 덕월당(德月堂) 응윤(應崘), 금화당(錦華堂) 기형(機烱), 명응당(明應堂) 환감(幻鑑), 보암당(普庵堂)亘法), 범화당(梵華堂) 윤익(潤益), 금운당(錦雲堂) 정기(正機), 청암당(淸庵堂) 운조(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
  • 입승비구(立繩比丘): 진허당(震虛堂) 혜권(慧權)
  • 공사비구(供司比丘): 응오(應悟)
  • 사미(沙彌): 창예(昌芸)
  • 종두비구(鍾頭比丘): 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
  • 별공비구(別供比丘): 임성당(綝惺堂) 춘심(春心), 인원(仁圎)
  • 도감(都監): 양담당(兩潭堂) 응하(應夏)
  • 별좌(別座): 혜월당(慧月堂) 원조(圓照)
  • 화주(化主): 금담당(金潭堂) 대련(大蓮)
  • 화대(火臺): 이순겸(李順謙)
  • 정통(淨桶): 이재준(李在俊)
  • 내왕(來往): 엄학인(嚴學仁)
  • 주장(主丈): 석운암(釋雲菴) 정섭(正燮)
  • 삼강(三綱): 공연(公貟) 석혜월(釋慧月) 원조(圓照)
  • 수승(首僧): 한운(漢雲)


대한국(大韓國) 광무(光武) 5년 신축(辛丑, 1901년) 3월 일(日)에 봉안(奉安)하였다.

4. 14. 정통

연화질(緣化秩)은 다음과 같다.

  • 증명비구(證明比丘): 은암당(隱菴堂) 규응(奎應), 지월당(芝月堂) 광흡(光冾), 광제당(廣濟堂) 탈회(脫悔)
  • 송주비구(誦呪比丘): 원응당(圓應堂) 성하(性河), 선행(善行)
  • 지전비구(持殿比丘): 보담당(寶潭堂) 종언(宗彦), 서암당(西菴堂) 석준(錫俊)
  • 금어편수비구(金魚片手比丘): 한봉당(韓峰堂) 응작(應作), 추산당(秋山堂) 천성(天性), 덕월당(德月堂) 응윤(應崘), 금화당(錦華堂) 기경(機烱), 명응당(明應堂) 환감(幻鑑), 보암당(普庵堂)亘法), 범화당(梵華堂) 윤익(潤益), 금운당(錦雲堂) 정기(正機), 청암당(淸庵堂) 운조(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
  • 입승비구(立繩比丘): 진허당(震虛堂) 혜권(慧權)
  • 공사비구(供司比丘): 응오(應悟)
  • 사미(沙彌): 창예(昌芸)
  • 종두비구(鍾頭比丘): 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
  • 별공비구(別供比丘): 늠성당(綝惺堂) 춘심(春心), 인원(仁圎)
  • 도감(都監): 양담당(兩潭堂) 응하(應夏)
  • 별좌(別座): 혜월당(慧月堂) 원조(圓照)
  • 화주(化主): 금담당(金潭堂) 대련(大蓮)
  • 화대(火臺): 이순겸(李順謙)
  • 정통(淨桶): 이재준(李在俊)
  • 내왕(來往): 엄학인(嚴學仁)
  • 주장(主丈): 석운암(釋雲菴) 정섭(正燮)
  • 삼강(三綱): 공원(公貟) 석혜월(釋慧月) 원조(圓照)
  • 수승(首僧): 한운(漢雲)


대한민국 광무 5년(1901년) 3월에 봉안하였다.

4. 15. 내왕

wikitext

연화질(緣化秩)은 다음과 같다.

구분성명비고
증명비구은암당 규응(隱菴堂奎應), 지월당 광흡(芝月堂光冾), 광제당 탈회(廣濟堂脫悔)
송주비구원응당 성하(圓應堂性河), 선행(善行)
지전비구보담당 종언(寶潭堂宗彦), 서암당 석준(西菴堂錫俊)
금어편수비구한봉당 응작(韓峰堂應作), 추산당 천성(秋山堂天性), 덕월당 응륜(德月堂應崘)
금어비구금화당 기형(錦華堂機烱), 명응당 환감(明應堂幻鑑), 보암당亘법(普庵堂亘法), 범화당 윤익(梵華堂潤益), 금운당 정기(錦雲堂正機), 청암당 운조(淸庵堂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
입승비구진허당 혜권(震虛堂慧權)
공사비구응오(應悟)
사미창예(昌芸)
종두비구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
별공비구임성당 춘심(綝惺堂春心), 인원(仁圎)
도감양담당 응하(兩潭堂應夏)
별좌혜월당 원조(慧月堂圓照)
화주금담당 대련(金潭堂大蓮)
화대이순겸(李順謙)
정통이재준(李在俊)
내왕엄학인(嚴學仁)
주장석운암 정섭(釋雲菴正燮)
삼강공원(公貟) 석혜월 원조(釋慧月圓照)
수승한운(漢雲)



대한국 광무 5년(1901년) 3월 일에 봉안하였다.

4. 16. 주장

황성 밖 서쪽 고개 삼각산 봉원사에 거주하며 수월도량공화불사결연재. 증명비구는 은암당규응, 지월당광흡, 광제당탈회, 송주비구는 원응당성하, 선행, 지전비구는 보담당종언, 서암당석준, 금어편수는 한봉당응작, 추산당천성, 덕월당응윤, 금화당기형, 명응당환감, 보암당긍법, 범화당윤익, 금운당정기, 청암당운조, 재겸, 완완, 성주, 입승비구는 진허당혜권, 공사비구는 응오, 사미는 창예, 종두비구는 봉희, 보심, 덕찰, 별공비구는 임성당춘심, 인원, 도감은 양담당응하, 별좌는 혜월당원조, 화주는 금담당대련, 화대는 이순겸, 정통은 이재준, 내왕은 엄학인, 주장 운암정섭 삼강 공원은 혜월원조, 수승은 한운이다. 대한제국 광무 5년 신축 3월 일 봉안.

4. 17. 삼강

삼강은 공원(公貟) 석혜월원조(釋慧月圓照), 수승(首僧) 한운(漢雲)이다.

4. 18. 수승

연화질(緣化秩)은 다음과 같다.

황성(皇城) 밖 서쪽 고개 삼각산 봉원사에 거주.

수월도량 공화불사결연재(空花佛事結緣齋).

증명비구(證明比丘) 은암당규응(隱菴堂奎應), 지월당광흡(芝月堂光冾), 광제당탈회(廣濟堂脫悔).

송주비구(誦呪比丘) 원응당성하(圓應堂性河), 선행(善行).

지전비구(持殿比丘) 보담당종언(寶潭堂宗彦), 서암당석준(西菴堂錫俊).

금어편수비구(金魚片手比丘) 한봉당응작(韓峰堂應作), 추산당천성(秋山堂天性), 덕월당응윤(德月堂應崘), 금화당기형(錦華堂機烱), 명응당환감(明應堂幻鑑), 보암당긍법(普庵堂亘法), 범화당윤익(梵華堂潤益), 금운당정기(錦雲堂正機), 청암당운조(淸庵堂雲照), 재겸(在謙), 완완(琓玩), 성주(聖柱).

입승비구(立繩比丘) 진허당혜권(震虛堂慧權).

공사비구(供司比丘) 응오(應悟).

사미(沙彌) 창예(昌芸).

종두비구(鍾頭比丘) 봉희(奉喜), 보심(普心), 덕찰(德察).

별공비구(別供比丘) 임성당춘심(綝惺堂春心), 인원(仁圎).

도감(都監) 양담당응하(兩潭堂應夏).

별좌(別座) 혜월당원조(慧月堂圓照).

화주(化主) 금담당대련(金潭堂大蓮).

화대(火臺) 이순겸(李順謙).

정통(淨桶) 이재준(李在俊).

내왕(來往) 엄학인(嚴學仁).

주장(主丈) 석운암정섭(釋雲菴正燮).

삼강(三綱) 공연(公貟) 석혜월원조(釋慧月圓照).

수승(首僧) 한운(漢雲).

대한제국 광무 5년(1901) 신축 3월 일 봉안(奉安).

5. 시주자

wikitext

시주자(施主秩)는 다음과 같다.

황성(皇城) 내 서서(西署) 황화방(皇華坊) 경운궁(景運宮)에 살고 있는 순빈(淳嬪) 엄씨(嚴氏)는 돌아가신 아버지 영월 엄씨(寧越嚴氏)와 어머니 밀양 박씨(密陽朴氏), 외조부 밀양 박씨, 외조모 현풍 곽씨(玄風郭氏), 외증조부 밀양 박씨, 외증조모 김해 김씨(金海金氏)를 위하여 대연화(大蓮花)를 바쳤다.

인권도화주(引勸都化主)는 상궁(尙宮) 청신녀(淸信女) 김씨(金氏)이다.

이 공덕으로 모든 중생이 극락(極樂)에 태어나 무량수(無量壽)를 뵙고 불도(佛道)를 이루기를 발원하였다.

5. 1. 기타 시주자

皇城內 서서 황화방 경운궁에 거주하는 순빈저하 갑인생 엄씨 대련화는 돌아가신 아버지 임신생 영월 엄씨, 두 분의 돌아가신 어머니 갑신생 밀양 박씨, 돌아가신 외조부 경술생 밀양 박씨, 두 분의 돌아가신 외조모 무신생 현풍 곽씨, 돌아가신 외증조부 밀양 박씨, 두 분의 돌아가신 외증조모 기축생 김해 김씨를 위하여 시주하였다. 또한 상궁 청신녀 을미생 김씨 대기심 보체도 시주에 참여하였다.

이 공덕으로 모든 이에게 미치기를 바라고, 우리와 중생이 극락정토에 태어나 무량수불을 뵙고 불도를 이루기를 기원하였다.

6. 의의와 평가

1901년 경운궁에 살던 고종의 후궁이자, 여성 교육과 사회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순헌황귀비 엄씨가 돌아가신 부모와 외가 조상 등의 극락왕생을 발원하여 시주, 봉원사에 이 괘불도를 봉안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아미타불ㆍ관음보살ㆍ대세지보살의 아미타삼존 아래 가섭ㆍ아난, 사자를 탄 문수동자와 코끼리를 탄 보현동자를 배치한 것은 19세기 전통을 계승한 20세기 초기 아미타괘불도로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러한 도상은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삼신불괘불도(1832) 및 봉은사 석가모니괘불도(1886) 등과 동일한 도상을 공유하면서 상단 부분만 아미타삼존으로 바꾼 것으로, 지장사 괘불도(1901), 연화사 괘불도(1901), 고양 흥국사 괘불도(1902) 등이 유사한 예이다. 19세기 서울, 경기지역에 이러한 수법이 대두하여 성행한 것으로 보인다.

한봉당응작 등 12명의 숙련된 화승이 공동 제작한 이 왕실 발원 아미타괘불도는 각 세부 묘사 등이 당시 불화와 비교하여 정교한 편으로,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울, 경기 지역 불화 양식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자 예술적 완성도가 높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근대 불교 미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한국 불교 미술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