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헌황귀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헌황귀비는 대한제국 고종의 후궁으로, 1854년에 태어나 1911년에 사망했다. 1861년 궁녀로 입궐하여 고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1903년 황귀비에 책봉되었다. 아들 영친왕을 낳았으며, 교육 사업에 힘써 양정의숙, 진명여학교, 숙명여학교 등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순종의 두 번째 부인으로 윤정순을 추천하기도 했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귀비로 불렸으며, 1911년 장티푸스로 사망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숙명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은 1971년 개관하여 2004년 르네상스 플라자로 이전한 숙명여자대학교의 박물관으로,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 숙명여자대학교 - MATE (시험)
    MATE 시험은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G-MATE와 SMU-MATE 등이 있으며, SMU-MATE는 싱가포르 경영대학교 입학 전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G-MATE는 학부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다.
  • 서봉장 수훈자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후로, 황태자비 책봉 후 순종 즉위와 함께 황후가 되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이왕비로 격하되었고, 순종 사후에는 대비로 불리다 한국 전쟁 중 창덕궁을 지키고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낙선재에서 지내다 심장마비로 사망 후 유릉에 합장되었다.
  • 서봉장 수훈자 - 나시모토 이쓰코
    나시모토 이쓰코는 1882년에 태어나 황족으로 결혼한 후 미모와 외국어 실력으로 활동했으며, 신적강하 이후 자서전을 출판하고 아키히토 황태자 결혼에 반대하다가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 대한제국의 후궁 - 귀인 정씨 (고종)
    고종의 후궁인 귀인 정씨는 덕수궁 궁녀 출신으로 고종의 승은을 입어 황자 이우를 낳은 후 귀인에 책봉되었으며, 묘소는 서삼릉 후궁 묘역에 있다.
  • 대한제국의 후궁 - 귀인 양씨
    고종의 후궁이자 덕혜옹주의 생모인 귀인 양씨는 1905년 궁녀로 입궁하여 고종의 총애를 받아 1912년 귀인에 책봉되었으며, 사후 서삼릉 후궁묘역에 안장되었다.
순헌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순헌황귀비 엄씨
한국어 표기순헌황귀비 엄씨
한자 표기純獻皇貴妃 嚴氏
로마자 표기Sunheon Hwang-gwibi Eomssi
인물 정보
본명엄선영
한자 표기嚴善英
출생1854년 2월 2일, 조선, 한성부 서소문방
사망1911년 7월 20일 (향년 57세), 대한제국, 경성부 덕수궁 함녕전
배우자고종
자녀영친왕 이은 (의민황태자)
아버지엄진삼
어머니밀양 박씨
묘소
능묘영휘원(永徽園)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홍릉로90
기타 정보
순헌황귀비
순헌황귀비

2. 생애

1854년 엄진삼의 딸로 태어나 8세에 경복궁궁녀로 들어갔다. 1885년 고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명성황후에 의해 궁에서 쫓겨났다. 아관파천 당시 고종을 모셨으며, 1897년 영친왕을 낳아 귀인으로 책봉되었다. 이후 순빈, 순비를 거쳐 황귀비로 승격되었다.

1905년 "양생의숙" (현 양정고등학교)을 설립했고, 1906년에는 "명신여학교" (현 숙명여자대학교)를 설립했다.

1911년 7월 20일 57세로 사망했으며, 사후 순종으로부터 '순헌'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2. 1. 출생과 가계

1854년 (음력 1월 5일/양력 2월 2일) 한성부 서소문방 서소문에서 평민 엄진삼(嚴鎭三)의 장녀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엄재우(嚴載祐)는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가 다시 자헌대부 의정부참찬에 증직되었다. 할아버지의 증직은 양 남동생 엄준원의 출세로 추증된 것이고, 아버지 엄진삼의 의정부 찬정 직책은 사후 증직된 것이다.[2] 큰아버지 엄진일은 고종 초에 무관으로 창덕궁위장을 역임했다.

윤효정에 의하면 엄귀비의 친정아버지 엄진삼은 종로 육전거리에서 장사를 했다고도 한다.[2] 집안이 빈한하여 1861년 1월, 8세 때 궁녀로 입궐하여 경복궁 나인으로 배치되었다.

아버지 엄진삼에게는 오빠 엄봉원, 엄학원이 일찍 죽어 아들이 없었으므로, 큰아버지 엄진일의 아들이자 사촌 남동생인 엄준원이 아버지의 양자가 되었다. 진명학원 설립자 엄준원은 양 남동생인 셈이다. 뒤에 엄준원의 아들 엄주명은 엄봉원의 양자가 되었다.

colspan="2" |본관생몰년부모비고
엄진삼 嚴鎭三영월1812년 - 1879년엄재우 嚴載祐
곡산 연씨 谷山 延氏
밀양 박씨 密陽 朴氏밀양1824년 - 1895년박치순 朴致淳
-



엄선영은 밀양 박씨 박씨 부인과 엄진삼의 5남매 중 장녀이자 셋째였다.

2. 2. 궁녀 시절과 명성황후와의 갈등

1882년 임오군란 당시 명성황후가 실종되자 엄씨는 고종을 지극 정성으로 보필하여 그 공으로 지밀상궁이 되었다.[2] 이후 명성황후의 시위상궁(侍衛尙宮)으로 있었으며, 1885년 32세에 고종의 승은을 입었다가 명성황후에게 발각되면서 궁궐에서 쫓겨났다.

명성황후는 엄씨를 상궁직에서 박탈하고 서인으로 만들려 하였으나, 당시 대신 윤용선이 고종에게 간곡하게 말하여 서인만은 면하게 되었다.[2] 엄씨는 훗날 윤용선의 은혜를 잊지 않고 순종의 계비를 간택할 때 윤용선의 손녀를 추천하였다.

1895년 10월 8일 을미사변 이후 엄씨는 다시 입궐하여 고종의 총애를 받았다. 아관파천 때는 고종을 모시고 러시아 공사관에서 같이 생활하였으며, 1897년 황자 은(의민태자)을 낳고 이틀 후 정식으로 귀인에 봉작되었다. 이후 순빈, 순비로 차례로 진봉되었고, 나중에는 황귀비로 봉해졌다.

이준용일본 망명 직후부터 엄상궁의 빈 책봉을 반대하고 나섰다. 고종은 명성황후의 빈자리를 대체할 인물로 엄상궁을 택하고 그를 황후로 격상시키려 시도했다. 그러나 이준용은 망명 한인들에게 이를 알리며 반대 운동을 준비했다.

1907년 순명효황후의 죽음으로 인해, 윤용선에게 받은 도움을 기억하며, 그녀는 윤용선의 양증손녀인 윤정순(후일 순정황후)을 순종의 두 번째 부인으로 추천했다.

2. 3. 황귀비 책봉과 이준용과의 갈등

1899년 4월 이준용일본 망명객들이 주도한 엄상궁의 황후 책봉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3] 유길준, 권동진, 조중응 등과 논의한 결과, 신분이 낮은 엄상궁을 황후로 삼는 것은 국가를 위태롭게 한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이들은 이러한 의사를 궁내부 대신 이재순에게 충고서로 전달했다.[3] 이준용은 엄상궁의 미천한 출신 성분을 들어 왕실의 위신 문제를 제기하며 반대했다.

영선군 이준용(잠재적 왕위 계승권자였던 그는 영친왕의 존재를 부담스러워했다.)


이준용은 아버지 흥친왕에게 서한을 보내, 엄상궁과 같이 미천한 출신이 황제의 총애를 받는 것을 기회로 간신배들이 벼슬을 얻기 위해 엄상궁을 황후로 책봉하려 한다며, 황실 관련 인사들은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준용의 적극적인 반대 운동은[3] 엄상궁이 자신의 아들 황자 이은의 권력 승계를 위해 일본 망명 중인 이준용과 이강 등을 배척했기 때문이다.[4] 그러나 이는 오히려 이준용의 신변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었다.[4]

엄상궁과 측근들은 고종에게 이준용이 다른 마음을 품고 있다고 모함했고, 명성황후 암살에 이준용이 개입되었다고 확신한 고종은 이준용 제거를 결심했다.

순헌황귀비 양장 사진


이준용과 국내 종친들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엄상궁은 아들 은의 출산 직후 상궁에서 귀인이 되고 1900년 순빈, 1901년에는 비(妃)로 진봉되었으며, 1903년에는 황귀비로 책봉되었다.

1907년 순명효황후가 사망하자, 순헌황귀비는 윤용선에게 받은 도움을 기억하며 그의 양증손녀인 윤정순순종의 두 번째 부인으로 추천했다.

순종에게 아들이 없고, 커피 독살 미수 사건으로 건강이 악화되자, 황귀비는 아들 의친왕을 다음 황태자로 옹립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강이 이를 알아채고 반대하면서 갈등이 발생했다.

1907년 8월 17일, 고종은 후사가 없는 순종을 보위하는 왕으로 결정했다. 이는 이준용의 왕위 위협, 이강을 견제하려는 고종의 의도, 그리고 이준용과 이강 일파가 권력을 잡으면 자신의 실권이 약화될 것을 두려워한 이완용의 의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이로 인해 오랜 망명 생활 동안 잠재적 후계자로 견제와 감시를 받아온 이준용은 순종의 사촌이 되었고, 이강은 왕자의 삼촌이 되었다.

엄씨는 결국 아들을 순종의 후계자로 만드는 데 성공했지만, 의친왕은 이토 히로부미에 의해 교육을 핑계로 일본으로 보내졌다.

2. 4. 의민태자 황태자 책봉과 의친왕과의 갈등

순종에게는 아들이 없었고, 커피 독살 미수 사건을 겪으며 건강이 좋지 않았기에, 황귀비는 자신의 아들 황자 은을 황태자로 세우려 했다.[5][6] 그러나 이를 눈치챈 의친왕이 반발하면서 황귀비와 의친왕 사이에 갈등이 생겼다.

1907년 8월 17일, 고종은 후사가 없는 순종의 황태자로 영친왕 이은을 결정했다.[8] 이는 고종이 자신의 왕위를 위협하던 이준용이강을 견제하려는 의도와, 이완용이 이준용파와 이강파가 득세하면 자신의 실권이 약화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었다.[8] 이로써 장기간 해외 망명 생활을 하며 잠재적 왕위 계승자로 주목받던 이준용은 순종의 사촌 형, 이강은 황태자의 숙부라는 지위로 바뀌게 되었다.

2. 5. 교육 사업과 사회 활동

개신교 선교사들이 여성교육과 문맹 탈출을 주장하는 것에 깊이 공감한 순헌황귀비는 1905년 양정의숙(현 양정고등학교)을 설립하는 데 후원하였다. 1906년에는 진명여학교(현 진명여자고등학교)와 명신여학교(현 숙명여자대학교)를 설립하는 데 후원하였다. 또한 이화학당배재학당에도 정기적으로 후원금을 보내 학생들에게 장학금으로 지급하게 했다.[1]

2. 6. 생애 후반과 죽음

아들 영친왕을 순종의 태자로 만드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영친왕이토 히로부미가 자신이 황태자 사부(師父)라는 명목 하에 일본으로 인질로 데려갔다.[9] 아들 영친왕이 일본사관학교에서 고된 훈련을 받는 도중 점심을 주먹밥으로 먹는 장면을 촬영한 필름을 보게 되었는데, 이를 보고 애통해하다가 먹던 떡이 급체하기도 했다 한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귀비로 불렸다.

1905년 양정의숙(현 양정고등학교)을, 1906년 진명여학교(현 진명여자고등학교)와 명신여학교(현 숙명여자대학교)를 세웠다. 1911년 7월 장티푸스에 걸려 고생하다가 결국 7월 20일 덕수궁 함녕전(咸寧殿)에서 향년 5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9] 당시 그의 아들 영친왕은 일본에 체류중이었다.

사망 후 순종에게 사시격인 '순헌'이란 시호를 받았다.

3. 사후

영휘원에 안장되었고, 묘소는 양주 천수산(天秀山)에 있다. 후에 그녀가 생전에 얼굴을 보지 못한 장손 이진이 갑자기 독살당하면서 그녀의 묘소 건너편에 안장되었다.[1]

위패는 칠궁에 추가로 봉안되었다.[2]

4. 가족 관계

아버지엄진삼 (영월 엄씨, 1812년 ~ 1879년)
어머니밀양 박씨 (1824년 ~ 1895년)
오빠엄봉원(嚴鳳源)
오빠엄학원(嚴鶴源, 요절)
양아우엄준원 (嚴俊源, 1855년 ~ 1938년)
여동생영월 엄씨
남편고종 (1852년 ~ 1919년)
아들이은 (1897년 ~ 1970년)
며느리이방자 (1901년 ~ 1989년)
손자이진(李晉, 1921년 ~ 1922년)
손자이구 (李玖, 1931년 ~ 2005년)
손부줄리아 멀록 (1923년 ~ 2017년)
양증손녀이은숙(李恩淑, 1959년 ~ )
양증손자이원 (李源, 1962년 ~ )
손부아리타 키누코(有田喜乃子)


5. 관련 문화재


  • 봉원사 아미타괘불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63호

6. 대중 매체에서

2018년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에서 배우 김주령이 순헌황귀비 역을 맡았다.[4]

6. 1. 영화

6. 2. 드라마


참조

[1]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2016
[2] 서적 대한제국아 망해라 다산초당 2010
[3] 서적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 경인문화사 2007-04
[4] 서적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 경인문화사 2007-04
[5] 서적 고종시대사 6 국사편찬위원회 1969
[6] 서적 고종시대사 6 국사편찬위원회 1969
[7] 서적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 경인문화사 2007-04
[8] 서적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 경인문화사 2007-04
[9] 문서 (제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