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진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진석은 연세대학교 의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아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의학자이다. 근골격계 질환의 영상 진단을 전문으로 하며, 자기공명 조영제 개발 및 분자 영상 연구를 통해 암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고감도 항체 결합 자기 나노 입자 조영제를 개발하여 2007년 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상을 수상했으며, 연세대학교 에비슨 석좌교수와 의학융합연구소 연구 책임자를 역임했다. 2011년에는 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프론티어 연구 과학자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의학자 - 방영주
    방영주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수석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하며 위암 및 초기 임상시험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는 대한민국 의사, 의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의학자 - 이열희 (1924년)
    이열희는 6.25 전쟁에 참전한 군의관 출신으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설립을 주도하고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구강악안면외과학 및 성형외과학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치과의사이자 의학자, 교육자, 대학 행정가이다.
  • 연세대학교 동문 - 문승욱
    문승욱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및 정치인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다양한 정부 부처와 청와대에서 주요 보직을 역임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 연세대학교 동문 - 한창섭
    한창섭은 상주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버밍엄 대학교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합격 후 총무처 사무관으로 공직에 입문하여 행정안전부 차관, 장관 직무대행을 역임했으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고 현재 국민의힘 경기도당 고양시 갑 당원협의회 위원장으로 활동한다.
  • 1955년 출생 - 자이르 보우소나루
    자이르 보우소나루는 브라질의 정치인으로, 군사 독재를 옹호하고 차별적인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2022년 대선에서 재선에 실패하고 공직 활동이 금지되었다.
  • 1955년 출생 - 강경화
    강경화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KBS 영어방송 PD, 세종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UN 고위직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이자 UN 최고위직에 오른 한국인 여성이다.
서진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진석
인적 사항
이름서진석
출생1955년
출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분야의학
소속연세대학교
학력연세대학교 (MD) & 아주대학교 (PhD)
지도 교수서정호
수상
수상 내역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2007년)
연세대학교 과학상 (2007년)
계현 학술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08년)
Avison Distinguished Professor (2011년)

2. 학력 및 경력

서진석은 1979년 연세대학교에서 의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9년 아주대학교에서 금속 유도 자기공명 영상 인공물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에서 4년간 레지던트 과정과 2년간 전임의 과정을 거쳤다.[1]

3. 연구 업적

서진석의 세부 전문 분야는 근골격계 질환의 영상 진단이다. 그는 1996년부터 자기공명 조영제(산화철 나노 입자) 개발, MR 관류 및 분자 영상 연구를 해왔다. 이 연구로 2007년 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상을 수상했고,[1] 2011년부터 연세대학교에서 에비슨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KAST)에 의해 2011년 대한민국 프론티어 연구 과학자로 선정되었으며, 연세대학교 의학융합연구소의 영상 개발 프로젝트 연구 책임자이자 책임 연구원이다.

3. 1. 자기공명영상 (MRI) 조영제 개발

서진석은 1996년부터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 특히 산화철 나노 입자 개발 연구를 진행해왔다. 고감도 항체 결합 자기 나노 입자 조영제를 개발하여 표적 암 분자 영상의 개념을 증명하였다.[1] 기존 MRI 조영제보다 훨씬 작은 크기의 종양을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암 조기 진단의 가능성을 열었다.

3. 2. 분자 영상 연구

서진석은 분자 수준에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분자 영상 연구 분야를 개척하였다. 다기능 자기 나노결정을 이용한 생체 내 암 진단 기술을 개발하였고, 나노결정의 크기가 작을수록 암 진단에 효과적임을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증명하였다. pH 유도 약물 방출 자기 나노입자를 개발하여 MRI를 이용한 분자 영상 유도 암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 3. 나노 기술과 의학의 융합

서진석은 나노 기술을 의학에 접목하여 진단 및 치료 기술 혁신을 이끌었다. 초고감도 분자 영상용으로 인공적으로 설계된 자기 나노 입자를 개발하였고,[1] 자기 나노결정의 나노 크기 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MRI를 통한 암 진단에 활용하였다. 또한 세포 내 표지를 위한 고효율 자기 공명 프로브 개발에서 자기 나노결정의 표면 개질 기술을 연구하였다.

그는 1996년부터 자기공명 조영제(산화철 나노 입자) 개발, MR 관류 및 분자 영상 연구를 지속해왔으며, 고감도 항체 결합 자기 나노 입자 조영제를 사용하여 표적 암 분자 영상의 개념을 증명했다. 이를 통해 아주 작은 크기의 종양을 탐지하는 데 대한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고, 맞춤형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4. 수상 내역

5. 주요 논문

연도저널제목
2007Nature MedicineArtificially engineered magnetic nanoparticles for ultrasensitive molecular imaging
2005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In vivo magnetic resonance detection of cancer by using multifunctional magnetic nanocrystals
2005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Nanoscale size effect of magnetic nanocrystals and their utilization for cancer diagnosis vi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2011Advanced MaterialspH-triggered drug-releasing magnetic nanoparticles for cancer therapy guided by molecular imaging by MRI
2011Optics ExpressMolecular imaging with terahertz waves
2005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Surface modification of magnetic nanocrystals in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magnetic resonance probes for intracellular label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