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섬 전체 투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섬 전체 투쟁은 1950년대 오키나와에서 미군의 토지 수용 정책에 반대하여 일어난 대규모 시위 운동이다. 오키나와 전투 이후 미군은 전시 국제법에 의거하여 토지를 점유했으나,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발효 후 평시로 전환되면서 토지 사용에 대한 법적 조치가 필요해졌다. 미군이 군용지를 확대하고 일괄불 방식의 토지 사용료 지급을 요구하자, 오키나와 주민들은 '토지를 지키는 사원칙'을 내세우며 반대 운동을 시작했다. 프라이스 권고안 발표 이후 투쟁은 격화되었고, 오키나와 전역에서 주민대회가 열리고, 미군은 경제 봉쇄 조치를 취했다. 1958년, 미군 측이 일괄 지불 중지를 공표하고 토지 사용료 인상, 10년분 선불 인정 등의 타협안을 제시하면서 투쟁은 마무리되었다. 이 투쟁은 오키나와 주민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후 조국 복귀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오키나와 미군 - 2004년 오키나와 국제대학 미군 헬리콥터 추락 사고
    2004년 오키나와 국제대학 미군 헬리콥터 추락 사고는 정비 불량으로 오키나와 국제대학 구내에 미국 해병대 헬리콥터가 추락한 사건으로, 미군의 현장 통제, 방사성 물질 검출 의혹, 소극적 정보 공개, 일미 지위 협정 문제점 등으로 반미 감정을 악화시키고 후텐마 비행장 이전 문제와 미군 기지 반환 운동을 촉발시켰다.
  • 오키나와현의 역사 - 오키나와 전투
    오키나와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미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오키나와에서 벌인 격전으로, 일본군의 치열한 저항과 가미카제 공격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았으며, 미군 승리로 끝났지만 현재까지 오키나와 미군 기지 존속의 원인이 되었다.
  • 오키나와현의 역사 -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는 1995년 오키나와 미군 소녀 성폭행 사건 이후 오키나와현 기노완시 후텐마 비행장 이전과 관련하여, 미일 안보 조약, 동아시아 안보 환경, 환경 파괴 및 소음 문제 등으로 일본 정부와 오키나와현 주민 간에 갈등이 지속되는 논쟁적인 사안이다.
섬 전체 투쟁
기본 정보
오키나와 현기
오키나와 현기
오키나와현 지도
오키나와현 지도
주요 내용
발생 위치오키나와
관련 사건오키나와 기지 문제
주요 참가 세력오키나와 주민, 노동조합, 학생, 평화 운동가
목표미군 기지 철거, 평화 실현
역사적 배경
배경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오키나와는 미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미군 기지가 설치되면서 주민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시작 시기1950년대 초
주요 사건고야 폭동 (1970년)
9.26 조치 (1976년)
주요 인물
주요 인물세나가메지로
야라초뵤
영향
영향오키나와 기지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평화 운동 확산
기타
관련 단체오키나와 평화운동센터
전군노련오키나와지방본부

2. 배경

1945년 오키나와 전투 이후 미군헤이그 육전법규에 따라 오키나와의 토지를 점유하고 있었다.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되면서 전쟁이 끝나고 평화 시기로 이행됨에 따라, 미군의 토지 사용에 대한 법적 조치가 필요해졌다. 또한, 군용지 지주들은 미군에 지대 지급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군은 오히려 군용지를 확대하려 했고, 이전에는 점유하지 않았던 토지까지 대규모 토지수용을 시도했다. 이로 인해 지주들을 중심으로 반대 운동이 거세게 일어났다.[1]

2. 1. 미군정의 토지 수용 정책

1945년 오키나와 전투로 오키나와를 점령한 미군은 헤이그 육전법규(전시국제법)에 따라 필요한 토지를 점유하고 있었다. 그러다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되어 전쟁이 끝나고 평화 시기로 이행함에 따라, 군의 토지 사용에 법적 조치가 필요해졌다. 또한 군용지 지주들로부터 지대 지급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하지만 미군은 오히려 군용지를 확대하여 그동안 점유하지 않은 토지까지 대규모 토지수용을 시도했기에, 지주들을 중심으로 반대 운동이 격화되었다.[1]

2. 2. 토지를 지키는 사원칙

미국 민정부(USCAR)는 군용지를 일괄불 방식(一括払い方式)으로 수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방침을 나타냈다. 류큐 입법원은 이에 반대하여 1954년 4월 30일 '토지를 지키는 사원칙'을 결의했다.[1]

# '''일괄불 반대''': 미군의 군용지 매수 또는 영구사용, 차지료의 일괄 지불을 받지 않는다.

# '''적정보상''': 사용 중인 군용지는 주민이 요구하는 금액을 1년마다 지불하라.

# '''손해배상''': 미군에 의해 발생한 일체의 손해는 주민이 요구하는 적절한 배상액으로 지불하라.

# '''신규접수 반대''': 미군이 수용한 토지 가운데 사용하지 않는 부분은 가급적 빠르게 반환하고, 더 이상의 토지 수용은 절대 하지 마라.

이 결의와 동시에 행정부, 입법원, 시정촌회, 토지연합회 4단체가 사자협의회를 조직하여 미국 민정부와 협상하게 되었다. 사자협의회는 6명의 대표를 선출하고 미국 본국 연방정부와의 직접 협상에 나섰다.

2. 3. 프라이스 권고안

미 하원 군사위원회는 M. 프라이스를 위원장으로 하는 조사단을 10월에 오키나와에 파견하여 조사 활동을 수행했다. 이 조사단이 1956년에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가 "프라이스 권고"이다. 6월 7일, 모어 민정 부장관은 그 골자를 공표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 토지 사용료 인상 인정

# 불필요한 토지는 반환

# 군용지는 절대 소유권을 확보하고, 토지 대금은 일괄 지급

# 신규 접수는 최소한으로 제한

"일괄 지급 방식"이 권고안에 명시되었기 때문에, 오키나와의 여론은 들끓었다.[1]

3. 섬 구루미(몽땅) 투쟁

1956년 6월 20일, 프라이스 권고안 전문이 발표되자 오키나와 전역 64개 시정촌 중 56개 시정촌에서 주민대회가 열리면서 토지를 둘러싼 '섬 구루미(몽땅) 투쟁'이 시작되었다.[2]

이에 맞서 미군은 군 관계자의 민간 지역 출입을 무기한 금지하는 '오프 리미츠(Off Limits)' 조치를 내렸다. 이는 미군 병사를 상대로 하는 사업에 대한 경제봉쇄였다.[2]

3. 1. 투쟁의 전개

권고안이 발표되고 같은 날, 입법원은 긴급 본회의를 개회하여 “사원칙 관철”을 결정, 일본국 정부에도 단호한 태도를 요구했다. 히가 슈헤이 행정주석은 사원칙 관철을 다짐했고, 6월 14일에는 토지련이 총회를 열고 “행정부, 입법원, 시정촌장 및 의원” 등의 총사퇴로 군용지 정책 강행 저지를 제안했다. 6월 15일, 사자협의회는 토지련의 제안대로 총사퇴하고 주민대회, 본토에 대표 파견을 결정했다. 6월 18일, 사자협의회는 「사원칙 관철본부」를 마련하고, 16개 민간단체가 이를 지지하여 주민들의 공동투쟁조직 결성을 결정했다.[2]

6월 20일, 프라이스 권고안의 전문이 발표되면서 오키나와 전역의 64개 시정촌 가운데 56개 시정촌에서 주민대회가 열림으로써, 토지를 둘러싼 「섬 구루미(몽땅) 투쟁」이 전개되었다. 7월 28일 나하고등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된 「사원칙 관철 현민대회」에는 약 15만 명이 결집했다.[2]

3. 2. 현민대회 개최

7월 28일, 나하고등학교 운동장에서 '사원칙 관철 현민대회'가 개최되었고, 약 15만 명이 결집했다.[2]

3. 3. 미군의 오프 리미츠(Off Limits) 조치

주민들의 투쟁에 대항하여 미군은 군 관계자의 민간 지역에 대한 무기한 출입 금지(오프 리미츠)를 실시했다. 이는 미군 병사를 고객으로 하는 사업에 대한 일종의 경제봉쇄였다.[2] 이로 인해 미군을 상대로 하는 사업자들은 경제적 타격을 입었고, 오키나와 주민들은 양보를 강요받는 결과가 되었다.

4. 투쟁의 결착

1958년 4월 12일, 제임스 E. 무어 고등판무관은 일괄불 방식 중단을 공표했다. 같은 해 토지사용료가 대폭 인상되었으나, 신규 접수는 묵인되었고, 손해배상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토지사용료는 원칙적으로 매년 지불되었고, 희망자는 10년 치를 선불로 낼 수도 있었다. 그해 말 12월, 류큐 입법원은 관련 법안을 통과시키며 토지 문제를 매듭지었다.[1]

4. 1. 법적 해결 과정

1958년 4월 12일, 제임스 E. 무어 고등변무관은 일괄 지불 중지를 공표했다. 또한 같은 해, 대폭적인 토지 사용료 인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신규 접수는 묵인되었고, 손해 배상은 미해결 상태였다. 토지 사용료는 원칙적으로 매년 지불하는 것으로 정해졌지만, 희망자에 한해 10년분 선불도 인정되었다. 같은 해 12월 말, 류큐 입법원은 관계 법안을 가결하여 토지 문제에 결착이 났다.[1]

5. 투쟁의 영향

섬 전체 투쟁의 결과, 미군 측은 경제적인 면에서 오키나와 주민들에게 양보했지만 토지 사용권을 확립했고, 토지 이용 규칙이 정비되었다. 오키나와 주민들은 지대를 대폭 인상받는 데 성공하여 토지 수용에 따른 피해 보상을 어느 정도 받았다. 또한 이 투쟁을 통해 미군 측에게서 일정한 양보를 이끌어낸 경험은 이후 조국복귀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5. 1. 오키나와 주민들의 정체성 확립

투쟁 결과, 미군 측은 경제면에서 오키나와 주민들에게 양보했지만 토지 사용권을 챙겼고, 토지 이용 규칙이 정비되었다. 오키나와 주민들은 정치적으로 미군에게 양보함으로써 지대를 대폭 인상받는 데 성공하여 어느 정도 토지 수용에 따른 피해 보상을 받게 되었다. 또한 미군 측에게서 일정한 양보를 이끌어내는 데 성공한 경험은 이후의 조국복귀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1]

6. 관련 인물

섬 전체 투쟁에 관련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히가 슈헤이: 행정 수석으로서 4원칙 관철을 지지하고 4자 협의에 참여했으나, 1956년 10월 급사했다.
  • 도마 시게타케: 히가 슈헤이 사후 행정 수석을 역임했다.
  • 세나가 카메지로: 오키나와 인민당 소속으로 나하시장에 당선되었으나, 미 국민 정부에 의해 추방되었다.
  • 아하곤 쇼코: 이에섬에서 토지 접수를 계기로 '거지 행진'을 전개하여 섬 전체 투쟁의 불을 붙였다.[1]
  • 쿠와에 쵸코: 오키나와 시장 및 시정촌 군용 토지 위원회 연합회(토지련) 대표로서 섬 전체 투쟁을 이끌었다.[1]
  • 야라 쵸뵤: 오키나와 교직원회 회장 및 '토지를 지키는 협의회' 회장을 역임하고, 오키나와현 조국 복귀 협의회의 기반을 구축, 훗날 행정 수석 및 오키나와현지사를 역임하였다.[1]

6. 1. 히가 슈헤이

히가 슈헤이는 행정 수석으로서 4원칙 관철을 지지하고 4자 협의에 참여했지만, 1956년 10월 급사했다. 그에 따라, 도마 시게타케 나하시장이 행정 수석이 되었지만, 후임 나하시장에는 오키나와 인민당의 세나가 카메지로가 당선되었다.

6. 2. 아하곤 쇼코

이에섬에서 토지가 접수된 것을 계기로 '거지 행진'을 전개하여, 섬 전체 투쟁에 불을 붙였다.[1]

6. 3. 쿠와에 쵸코

오키나와 시장을 역임한 쿠와에 쵸코는 시정촌 군용 토지 위원회 연합회(토지련) 대표로서 섬 전체 투쟁을 이끌었다.[1]

6. 4. 세나가 카메지로

오키나와 인민당 소속으로 섬 전체 투쟁 와중에 나하시장에 당선되었지만, 미 국민 정부에 의해 추방되었다.

6. 5. 야라 쵸뵤

당시 오키나와 교직원회 회장으로서 섬 전체 투쟁에 참여하여, '토지를 지키는 협의회' 회장을 역임했다. 이후 오키나와현 조국 복귀 협의회의 기반을 구축하였으며,[1] 훗날 행정 수석 및 오키나와현지사를 역임하였다.[1]

참조

[1] 서적 '教養講座 琉球・沖縄史' 編集工房 東洋企画
[2] 서적 '教養講座 琉球・沖縄史' 編集工房 東洋企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