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이씨 열녀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성주이씨 열녀문은 여러 곳에 있으며, 그 의미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 성주이씨 열녀문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21호)
- 1852년(철종 3년) 건립: 남편 김원발이 죽은 후 자결한 성주이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 1838년(헌종 4년) 유신환이 지은 비문: 성주이씨의 행적을 기록하고 열녀 포장을 청하였으나 이루지 못하다가 후손들과 선비들이 비석을 세웠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 1852년 정려 포장: 성주이씨 열녀문을 세운 지 14년 후, 다시 천거하여 정려를 받게 되었습니다.
- 건물: 정면 1칸, 측면 1칸 맞배지붕 건물로, 사면은 홍살로 처리되어 있습니다.
- 현판: '열녀선산김원발처성주이씨지려상지삼년임자명정(烈女善山金源發妻星州李氏之閭上之三年壬子命旌)'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 비석: '열녀선산김원발처성주이씨지비(烈女善山金源發妻星州李氏之碑)'에는 유신환이 쓴 성주이씨의 열행 사적이 새겨져 있습니다.
2.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 성주이씨 열녀문 (음성군 향토문화유적 제26호)
- 조선 후기 김선경의 처 성주이씨의 정절을 기리는 열녀문입니다.
- 임진왜란(1592년) 당시 상황: 왜적에게 정절을 훼손당할 위기에 처하자, 성주이씨는 딸을 보호하고 왜적의 손이 닿았던 젖과 손목을 자른 후 자결하였습니다.
- 열녀문 형태: 정면, 측면 각 1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목조 기와집으로, 사면은 홍살로 막고 양옆에 풍벽을 달았습니다.
- 현판: '절부증가선대부호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관행봉직랑군자감판관김선경처증정부인성주이씨지문(節婦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總管行奉直郞軍資監判官金善慶妻贈貞夫人星州李氏之門)'이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 2017년 향토문화유적 지정: 성주이씨 열녀각은 2016년 12월 26일 음성군 향토유적 제26호로 지정되었고, 2017년에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3. 기타
- 성주 이씨는 신라 경순왕 때 재상을 지낸 이순유를 시조로 하는 성씨입니다.
- 정문(旌門)은 충신, 효자, 열녀를 표창하기 위해 집 앞에 세운 붉은 문을 의미합니다.
요약하자면, 성주이씨 열녀문은 조선시대 성주이씨 가문의 여성들이 보여준 정절과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건축물입니다.
성주이씨 열녀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문화재 정보 | |
이름 | 성주이씨 열녀문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공주시 |
유형 | 향토문화유적 |
번호 | 21 |
지정일 | 1997년 6월 5일 |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 353 |
시대 | 1852년(철종3) |
소유자 | 김인화 |
참고 | 공주 오룡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