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이끼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줄이끼목(Porellineae)은 우산이끼강에 속하는 우산이끼류 아목의 하나로, 고이벨리엘라과, 털이끼과, 세줄이끼과, 부채이끼과 등을 포함한다. 2015년 계통 분류에 따르면, 망울이끼강은 물우산대이끼아강, 리본이끼아강, 망울이끼아강으로 나뉘며, 망울이끼아강은 다시 세줄이끼목, 손꼴가시이끼목, 망울이끼목으로 분류된다. 세줄이끼아목에 속하는 레주네아과는 레주네아아과와 프티찬토이데아아과로 나뉘며, 각 아과는 여러 족과 속으로 세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산이끼류 - 미주타니아 리카르디오이데스
미주타니아 리카르디오이데스는 일본에서 유래된 이름의 누에고케라고 불리는 태류 식물로, 한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엽상체를 가지며 고사리과의 전엽체와 유사한 외관을 띄고, 비늘이끼목 구멍이끼과에 속한다. - 우산이끼류 - 산호우산대이끼과
산호우산대이끼과는 메츠게리알레스 목에 속하는 단순한 엽상체 선태류 과로, 종의 구분이 어렵고 유전자 연구를 통해 형태적으로 숨겨진 종이 밝혀졌으며, 초록우산대이끼속, Cryptothallus, Lobatiriccardia, 산호우산대이끼속, Verdoornia 등이 속한다.
세줄이끼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학적 정보 | |
학명 | Porellales Schljakov 1972 |
과 | Porellaceae Cavers 1910 nom. cons. Goebeliellaceae Verdoorn 1932 Lepidolaenaceae Nakai 1943 Radulaceae Müller 1909 Frullaniaceae Lorch 1914 Jubulaceae von Klinggräff 1858 Lejeuneaceae Cavers 1910 |
2. 하위 분류
가시지네이끼아목(지네이끼목)은 지네이끼과(귀잎이끼과), 가시지네이끼과, 작은귀이끼과(사슬이끼과)를 포함한다.
세줄이끼아목(Porellineae)은 세줄이끼과, 고이벨리엘라과, 털이끼과, 부채이끼과(얇은잎이끼과)를 포함한다.
2. 1. 가시지네이끼아목 (Jubulineae)
가시지네이끼아목(지네이끼목)은 지네이끼과(귀잎이끼과), 가시지네이끼과, 작은귀이끼과(사슬이끼과)를 포함한다.2. 2. 세줄이끼아목 (Porellineae)
세줄이끼아목(Porellineae)은 세줄이끼강에 속하는 우산이끼류 아목의 하나이다. 고이벨리엘라과(Goebeliellaceae), 털이끼과(Lepidolaenaceae), 세줄이끼과(Porellaceae), 부채이끼과(Radulaceae) 등을 포함하고 있다.```wikitable
2. 3. 부채이끼아목 (Radulineae)
부채이끼아목(Radulineae)은 부채이끼과(Radulaceae)를 포함한다.3. 계통 분류
2015년 노비코프(Novíkov)와 바라바스-크라스니(Barabaš-Krasni)의 연구에 기반한 망울이끼강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 망울이끼강은 물우산대이끼아강, 리본이끼아강, 망울이끼아강으로 나뉘며, 망울이끼아강은 다시 세줄이끼목, 손꼴가시이끼목, 망울이끼목으로 나뉜다.
4. 상세 분류
세줄이끼아강에 속하는 레주네아과(Cavers 1910)는 메츠게리오프시스과를 포함한다. 크게 레주네아아과와 프티찬토이데아아과로 나뉜다.
'''레주네아아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브라키올레주네아족'''
- * 브라키올레주네아아족 Gradstein
- ** ''아칸토콜레우스'' Schuster 1970b
- ** ''블레파로레주네아'' Arnell 1962b
- ** ''브라키올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b
- ** ''디크라노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b
- ** ''린디기안투스'' Kruijt & Gradstein 1985
- ** ''오돈토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b
- * 스틱토레주네아아족 Gradstein
- ** ''뉴로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b
- ** ''스틱토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b
- '''레주네아족'''
- ** ''다크틸로포렐라'' Schuster 1980
- ** ''메탈레주네아'' Grolle 1995
- ** ''픽토레주네아'' Grolle 1977
- * 세라토레주네아아족 Gradstein
- ** ''세라토레주네아'' (Spruce 1884) Jack & Stephani 1892
- ** ''루테올레주네아'' Piippo 1986
- ** ''오티고니올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b
- * 케이로레주네아아족 Gradstein
- ** ''아우레올레주네아'' R.M.Schust.
- ** ''케이로레주네아'' (Spruce 1884) Stephani 1890c
- ** ''키르토레주네아'' Evans 1903c
- ** ''시스토레주네아'' Evans 1906a
- ** ''옴팔란투스'' Lindenb. & Nees
- * 콜레주네아아족 Gradstein
- ** ''아파노트로피스'' Herzog 1952
- ** ''칼라토레주네아'' Goebel 1928
- ** ''콜레주네아'' (Spruce 1884) Stephani 1891a
- ** ''콜루라'' (Dumortier 1831) Dumortier 1835
- ** ''디플라시오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
- ** ''할로레주네아'' Grolle 1975
- ** ''마크로콜루라'' Schuster 1994
- ** ''미리오콜레옵시스'' Schiffner 1944
- ** ''네펠로레주네아'' Grolle 1973
- ** ''슈스테롤레주네아'' Grolle 1980
- ** ''시포노레주네아'' Herzog 1942
- ** ''추야마엘라'' Hattori 1951
- * 시클로레주네아아족 Gradstein
- ** ''브로멜리오필라'' Schuster 1994
- ** ''시클로레주네아'' Evans 1904
- ** ''프리오노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
- * 드레파노레주네아아족 Gradstein
- ** ''카필로레주네아'' Arnell 1965
- ** ''드레파노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1
- ** ''비탈리안투스'' Schuster & Giancotti 1993
- * 에키노레주네아아족 Gradstein
- ** ''아노플로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
- ** ''에키노레주네아'' Schuster 1963
- ** ''키마토레주네아'' Grolle 1984
- * 레이올레주네아아족 Schäfer-Verwimp & Heinrichs
- ** ''레이올레주네아'' Evans 1908
- * 레주네아아족 Gradstein
- ** ''하르팔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
- ** ''핫토리오레주네아'' Mizutani 1986
- ** ''레주네아'' Libert 1820 nom. cons.
- ** ''미크로레주네아'' (Spruce 1884) Stephani 1888a
- ** ''탁실레주네아'' (Spruce 1884) Stephani 1889c nom. cons.
- * 레피돌레주네아아족 Gradstein
- ** ''레피돌레주네아'' Schuster 1963
- ** ''오토레주네아'' Grolle & Tixier 1980
- ** ''렉토레주네아'' Evans 1906
- * 렙토레주네아아족 Heinrichs & Schäfer-Verwimp
- ** ''렙토레주네아'' (Spruce 1884) Stephani 1891c
- * 피크노레주네아아족 Heinrichs & Schäfer-Verwimp
- ** ''피크노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
- * 킬로레주네아아족 Henrichs & Schäfer-Verwimp
- ** ''킬로레주네아'' He & Grolle 2001
- '''심비지디에족''' Gradstein
- ** ''심비지디움'' Trevisan 1877
'''프티찬토이데아아과''' Mizut.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아크로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 nom. cons.
- ''아르킬레주네아'' (Spruce 1884) Schiffner 1893
- ''브리오프테리스'' (Nees 1838b) Lindenberg 1845a
- ''카우달레주네아'' (Stephani 1890) Schiffner 1893
- ''세팔란토레주네아'' Schuster 1980
- ''세팔로레주네아'' Mizutani 1979
- ''프룰라노이데스'' Raddi 1822
- ''풀포르디안투스'' Gradstein 1992a
- ''로포레주네아'' (Spruce 1884) Stephani 1890c nom. cons.
- ''마르케시니아'' Gray 1821 nom. cons.
- ''마스티고레주네아'' (Spruce 1884) Stephani 1891a
- ''파에올레주네아'' Mizutani 1968
- ''프티칸투스'' Nees 1838
- ''시프네리오레주네아'' Verdoorn 1933a
- ''스프루세안투스'' Verdoorn 1934
- ''티사난투스'' Lindenberg 1844
- ''추지베안투스'' Hattori 1947
- ''베르도르니안투스'' Gradstein 1977
4. 1. 레주네아과 (Lejeuneaceae)
레주네아과(Lejeuneaceae)는 세줄이끼아강에 속하는 우산이끼류 과의 하나이다. 레주네아과는 레주네아아과, 프티찬토이데아아과의 2개 아과와 여러 족으로 구성되어 있다.레주네아아과는 브라키올레주네아족, 레주네아족, 심비지디에족으로 나뉜다. 브라키올레주네아족은 브라키올레주네아아족(''아칸토콜레우스'', ''블레파로레주네아'', ''브라키올레주네아'', ''디크라노레주네아'', ''린디기안투스'', ''오돈토레주네아'')과 스틱토레주네아아족(''뉴로레주네아'', ''스틱토레주네아'')으로 구성된다. 레주네아족은 ''다크틸로포렐라'', ''메탈레주네아'', ''픽토레주네아'', 세라토레주네아아족(''세라토레주네아'', ''루테올레주네아'', ''오티고니올레주네아''), 케이로레주네아아족(''아우레올레주네아'', ''케이로레주네아'', ''키르토레주네아'', ''시스토레주네아'', ''옴팔란투스''), 콜레주네아아족(''아파노트로피스'', ''칼라토레주네아'', ''콜레주네아'', ''콜루라'', ''디플라시오레주네아'', ''할로레주네아'', ''마크로콜루라'', ''미리오콜레옵시스'', ''네펠로레주네아'', ''슈스테롤레주네아'', ''시포노레주네아'', ''추야마엘라''), 시클로레주네아아족(''브로멜리오필라'', ''시클로레주네아'', ''프리오노레주네아''), 드레파노레주네아아족(''카필로레주네아'', ''드레파노레주네아'', ''비탈리안투스''), 에키노레주네아아족(''아노플로레주네아'', ''에키노레주네아'', ''키마토레주네아''), 레이올레주네아아족(''레이올레주네아''), 레주네아아족(''하르팔레주네아'', ''핫토리오레주네아'', ''레주네아'', ''미크로레주네아'', ''탁실레주네아''), 레피돌레주네아아족(''레피돌레주네아'', ''오토레주네아'', ''렉토레주네아''), 렙토레주네아아족(''렙토레주네아''), 피크노레주네아아족(''피크노레주네아''), 킬로레주네아아족(''킬로레주네아'')으로 나뉜다. 심비지디에족은 ''심비지디움''만을 포함한다.
프티찬토이데아아과는 ''아크로레주네아'', ''아르킬레주네아'', ''브리오프테리스'', ''카우달레주네아'', ''세팔란토레주네아'', ''세팔로레주네아'', ''프룰라노이데스'', ''풀포르디안투스'', ''로포레주네아'', ''마르케시니아'', ''마스티고레주네아'', ''파에올레주네아'', ''프티칸투스'', ''시프네리오레주네아'', ''스프루세안투스'', ''티사난투스'', ''추지베안투스'', ''베르도르니안투스''를 포함한다.
참조
[1]
논문
World checklist of hornworts and liverworts
[2]
논문
Part 2- Plantae (starting with Chlorophycota)
http://mave.tweakdsl[...]
2016-06-30
[3]
논문
World checklist of hornworts and liverworts
[4]
논문
Part 2- Plantae (starting with Chlorophycota)
http://mave.tweakdsl[...]
2016-06-30
[5]
논문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