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툰은 1959년부터 1965년까지 50대가 생산된, 모스크바 대학교의 요구에 따라 제작된 삼진법 컴퓨터이다. 카잔 수학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81개의 단어(각 18 트리트)의 작동 메모리와 1944개의 단어가 저장된 드럼 메모리를 갖추었다. 1970년에는 구조적 프로그래밍 개념을 하드웨어에 구현한 세툰-70이 개발되었으며, 이후 세툰-70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DSSP(구조적 프로그래밍 대화 시스템)로 발전하여 이진법 컴퓨터에서 에뮬레이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진법 컴퓨터 - 삼진법
삼진법은 0, 1, 2 세 가지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표현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3의 배수 계산에 유리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음수를 포함하는 변형된 형태도 존재한다. - 3진법 컴퓨터 - 트리트
- 소련의 발명품 - 스푸트니크 1호
스푸트니크 1호는 1957년 소련이 발사한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으로,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어 우주 경쟁을 촉발하고 과학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1958년 대기권에 재진입하여 소멸되었다. - 소련의 발명품 -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는 철도 승강장에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설비로, 열차 사고 예방, 무인 운전 가능, 쾌적한 승강장 유지를 위해 다양한 종류로 설치되며,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 열차 지연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세툰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Сетунь (러시아어) |
개발자 | 세르게이 소볼레프 니콜라이 브루센초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
제조업체 | 카잔 수학 공장 |
출시일 | 1959년 |
수명 | 1959년–1965년 |
판매량 | 50대 |
후속 기종 | 세툰-70 |
기술 사양 |
2. 개발 배경 및 초기 모델
세툰은 모스크바 대학교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제작된 컴퓨터이다. 1959년부터 1965년까지 카잔의 수학 공장에서 50대가 제작된 후 생산이 중단되었다.[4] 이후 모스크바 대학교에서는 세툰을 대체하기 위해 일반적인 이진 컴퓨터를 사용했는데, 성능은 동등했지만 세툰보다 2.5배의 비용이 들었다.[5]
2. 1. 기술적 특징 (세툰)
모스크바 대학교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제작된 세툰은 카잔의 수학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1959년부터 1965년까지 50대가 제작된 후 생산이 중단되었다.[4] 작동 메모리는 81개 단어(word)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어는 18개의 트리트로 이루어져 있었다. 드럼 메모리에는 추가로 1944개의 단어가 저장되어 총 약 7KB의 용량을 가졌다.[4] 1965년부터 1970년까지 모스크바 대학교에서는 세툰을 대체하기 위해 일반적인 이진 컴퓨터를 사용했는데, 이 대체 컴퓨터는 성능은 동등했지만 세툰보다 2.5배의 비용이 들었다.[5]3. 세툰-70 개발과 DSSP
1970년에 새로운 삼진 컴퓨터 아키텍처인 세툰-70이 개발되었다. 에츠허 데이크스트라의 구조적 프로그래밍 개념이 하드웨어에 구현되었으며, 니콜라이 브루센초프는 RISC 아키텍처 원리와 독립적으로 짧은 명령어 집합을 개발 및 구현했다.[5]
세툰-70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이후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대화 시스템(DSSP, Dialogue System of Structured Programming)으로 변환되었다. DSSP는 이진 컴퓨터에서 세툰-70 아키텍처를 에뮬레이션하여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실현했다. DSSP 프로그래밍 언어는 포스와 유사한 구문을 가지지만, 특히 조건부 점프 명령어의 시퀀스가 다르다. DSSP는 1980년대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니콜라이 브루센초프와 박사 과정 학생들이 개발했으며, 1989년에 32비트 버전이 구현되었다.[5]
3. 1. 세툰-70
에츠허 데이크스트라의 구조적 프로그래밍 개념이 세툰-70 하드웨어에 구현되었다. 니콜라이 브루센초프는 RISC 아키텍처 원리와 독립적으로 짧은 명령어 집합을 개발하고 구현했다.[5]3. 2. DSSP (구조적 프로그래밍 대화 시스템)
세툰-70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대화 시스템(DSSP, Dialogue System of Structured Programming)으로 변환되었다. DSSP는 이진 컴퓨터에서 세툰-70 아키텍처를 에뮬레이션하여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실현했다. DSSP 프로그래밍 언어는 포스와 유사한 구문을 가지지만, 특히 조건부 점프 명령어의 시퀀스가 다르다. DSSP는 1980년대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니콜라이 브루센초프와 박사 과정 학생들이 개발했으며, 1989년에 32비트 버전이 구현되었다.[5]4. 기술적 의의 및 영향
세툰은 모스크바 대학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작된 삼진법 컴퓨터이다. 1959년부터 1965년까지 카잔의 수학 공장에서 50대가 생산되었다.[4] 세툰은 트리트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자기 드럼 메모리를 사용했다. 1965년부터는 성능은 동등하지만 비용이 2.5배 더 드는 이진법 컴퓨터로 대체되었다.[5]
1970년에는 에츠허 데이크스트라의 구조적 프로그래밍 개념이 적용된 새로운 삼진법 컴퓨터 세툰-70이 개발되었다. 니콜라이 브루센초프는 RISC 아키텍처와는 독립적으로 짧은 명령어 집합을 개발 및 구현하였다.[5]
세툰-70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DSSP(Dialogue System of Structured Programming, 구조적 프로그래밍 대화 시스템)로 발전했다. DSSP는 이진 컴퓨터에서 세툰-70 아키텍처를 에뮬레이션하여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실현했다. DSSP 프로그래밍 언어는 포스와 유사한 구문을 가졌지만, 조건부 점프 명령어 시퀀스에서 차이를 보였다. DSSP는 1980년대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니콜라이 브루센초프와 박사 과정 학생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1989년에 32비트 버전이 구현되었다.
4. 1. 삼진법 컴퓨터의 가능성과 한계
세툰은 트리트(삼진수) 18개로 구성된 단어 81개로 이루어진 작동 메모리와 드럼 메모리에 저장된 1944개 단어(총 약 7KB)로 구성되었다.[4] 1965년부터 1970년까지 모스크바 대학교에서는 세툰을 대체하기 위해 일반적인 이진 컴퓨터를 사용했는데, 성능은 비슷했지만 비용은 세툰의 2.5배였다.[5]1970년에는 새로운 삼진 컴퓨터 아키텍처인 세툰-70(Setun-70)이 개발되었다. 에츠허 데이크스트라(Edsger W. Dijkstra)의 구조적 프로그래밍 개념이 하드웨어에 구현되었으며, 짧은 명령어 집합은 니콜라이 브루센초프(Nikolay Brusentsov)가 RISC 아키텍처 원리와 독립적으로 개발 및 구현했다.[5]
세툰-70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대화 시스템(DSSP, Dialogue System of Structured Programming)으로 발전했다. DSSP는 이진 컴퓨터에서 "세툰 70" 아키텍처를 에뮬레이션하여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실현했다. DSSP 프로그래밍 언어는 포스 프로그래밍 언어와 유사한 구문을 가졌지만, 조건부 점프 명령어 시퀀스에서 차이를 보였다. DSSP는 1980년대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니콜라이 브루센초프와 박사 과정 학생들이 개발했으며, 32비트 버전은 1989년에 구현되었다.
4. 2.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구현
에츠허 데이크스트라의 구조적 프로그래밍 아이디어는 세툰-70의 하드웨어에 구현되었다. 니콜라이 브루센초프는 RISC 아키텍처 원리와 독립적으로 짧은 명령어 집합을 개발하고 구현하였다.[5]세툰-70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대화 시스템(DSSP, Dialogue System of Structured Programming)으로 변환되었다. DSSP는 이진 컴퓨터에서 "세툰 70" 아키텍처를 에뮬레이션하여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실현했다. DSSP 프로그래밍 언어는 포스 프로그래밍 언어와 유사한 구문을 가지고 있지만, 조건부 점프 명령어의 시퀀스가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DSSP는 1980년대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니콜라이 브루센초프와 박사 과정 학생들이 개발했으며, 1989년에 32비트 버전이 구현되었다.
4. 3. 현대 프로그래밍에 미친 영향
세툰-70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대화 시스템(DSSP, Dialogue System of Structured Programming)으로 변환되었다. DSSP는 이진 컴퓨터에서 "세툰 70" 아키텍처를 에뮬레이션하여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실현했다. DSSP 프로그래밍 언어는 포스 프로그래밍 언어와 유사한 구문을 가지고 있지만, 조건부 점프 명령어의 시퀀스가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DSSP는 1980년대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니콜라이 브루센초프와 박사 과정 학생들이 개발했으며, 1989년에 32비트 버전이 구현되었다.[5]참조
[1]
웹사이트
'Hegel 2.0 | Leif Weatherby'
https://cabinetmagaz[...]
[2]
웹사이트
Глава 2. Киберразнообразие
https://museum.dataa[...]
[3]
웹사이트
The Setun Computer
https://earltcampbel[...]
2014-12-29
[4]
웹사이트
ЭВМ ''Сетунь''
https://www.computer[...]
2016-09-20
[5]
웹사이트
Development of ternary computers at Moscow State University
https://www.computer[...]
2015-01-19
[6]
웹사이트
ЭВМ ''Сетунь''
https://www.computer[...]
2016-09-20
[7]
웹사이트
Development of ternary computers at Moscow State University
https://www.computer[...]
2015-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