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르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르본은 1253년 로베르 드 소르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중세 파리 대학교의 중요한 대학 중 하나였다. 16세기에는 가톨릭과 개신교 간의 지적 갈등의 중심지였으며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폐쇄되었다가 나폴레옹에 의해 재개되었지만, 1882년에 최종적으로 폐쇄되었다. 1970년 파리 대학교가 분할되면서 여러 대학이 소르본 건물에서 운영을 이어갔고, 현재는 소르본 대학교, 소르본 누벨 대학교, 파리 시테 대학교 등이 소르본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상표 등록 및 합병 논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 대학교 - 고등연구실습원
고등연구실습원은 1868년 프랑스에 설립되어 연구를 통한 학문 훈련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는 지구 및 생명 과학, 역사 및 문헌학, 종교학의 3개 분과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석박사 학위 과정 제공 및 연구 활동을 통해 학문 발전에 기여하는 고등 교육 기관이다. - 파리 대학교 - 파리 문학부
파리 문학부는 1810년에 설립된 파리 대학교의 학부로, 그리스 문학, 라틴어 웅변, 철학, 역사, 지리학 등 9개의 강좌를 제공했으며, 피에르 폴 루아예콜라르를 초대 학장으로 하여 다양한 학자들이 학장직을 역임하다가 레몽 라스 베르냐스를 마지막으로 파리 제3대학교에 통합되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소르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소르본 | |
![]() | |
원어 이름 | La Sorbonne |
다른 이름 | La Sorbonne 또는 Centre Sorbonne |
위치 | 파리 1 Rue Victor Cousin |
완공 날짜 | 1253년 (첫 번째 건물) 1635년 (두 번째 건물, 자크 르메르시에 건설) 1884년 (세 번째 건물, 앙리-폴 네노 건설) |
소유주 | 파리 대학교 관구 |
용도 | 학문 |
현재 세입자 | 소르본 대학교, 파리 제1대학교 그리고 소르본 누벨 대학교 |
건축 | |
건축가 | 자크 공두앵 |
추가 정보 | |
지도 종류 | 파리 |
2. 소르본의 역사
로베르 드 소르봉이 1253년에 소르본 대학을 설립하였고, 1257년에 프랑스의 루이 9세가 이를 승인했다.[5] 소르본 대학은 중세 파리 대학교의 최초의 주요 대학 중 하나였다.[6][7] 소르본 대학 도서관은 제목을 기준으로 알파벳순으로 항목을 정렬한 최초의 도서관 중 하나였다.[8] 파리 대학교는 소르본 대학보다 약 1세기 앞서 설립되었으며, 12세기 후반부터 작은 규모의 대학들이 이미 설립되어 있었다.
프랑스 혁명으로 1793년 11월 소르본은 폐쇄되었다.[10] 이후 1808년 나폴레옹에 의해 다시 문을 열었으나,[11] 1882년에 최종적으로 문을 닫았다.[12]
19세기 파리 대학은 재편되었으며, 소르본은 파리 이학부, 문학부, 신학부의 소재지였다.
1880년대에 제3공화국과 파리 시의회는 소르본을 재건하기로 합의했다. 1882년 소르본의 총장이 된 앙리-폴 네노가 새로운 건물을 설계하고 건축했다.[18]
2. 1. 소르본 대학의 설립 (13세기)
로베르 드 소르봉이 1253년에 이 대학을 설립하였다. 1257년에 프랑스의 루이 9세가 이 설립을 승인했다.[5] 이곳은 중세 파리 대학교의 최초의 주요 대학 중 하나였다.[6][7] 소르본 대학 도서관은 제목을 기준으로 알파벳순으로 항목을 정렬한 최초의 도서관 중 하나였다.[8] 파리 대학교는 이 대학보다 약 1세기 앞서 설립되었으며, 12세기 후반부터 작은 규모의 대학들이 이미 설립되어 있었다.2. 2.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
1793년 11월 프랑스 혁명으로 소르본은 폐쇄되었다.[10] 1808년 나폴레옹에 의해 다시 문을 열었다.[11] 소르본은 1882년에 최종적으로 문을 닫았다.[12]2. 3. 19세기: 파리 대학의 재편
19세기 파리 대학은 재편되었으며, 소르본은 파리 이학부, 문학부, 신학부의 소재지였다.2. 4. 앙리-폴 네노의 신 소르본 (19세기 후반~20세기 초)
1880년대에 제3공화국과 파리 시의회는 소르본을 재건하기로 합의했다. 1882년 소르본의 총장이 된 앙리-폴 네노가 새로운 건물을 설계하고 건축했다.[18]3. 1968년 5월 사건과 소르본
파리 낭테르 대학교에서 수개월 동안 학생들과 당국 간의 갈등이 있은 후, 1968년 5월 2일 행정부는 해당 대학교를 폐쇄했다. 파리 소르본 대학교 캠퍼스의 학생들은 5월 3일에 폐쇄에 항의하고 낭테르의 여러 학생의 퇴학 위협에 항의하기 위해 모였다.
5월 6일, 오늘날에도 프랑스 최대의 학생 연합인 프랑스 전국 학생 연합 (UNEF)과 대학교 교원 연합은 소르본 대학교에 대한 경찰의 침입에 항의하는 행진을 촉구했다. 20,000명 이상의 학생, 교사 및 기타 지지자들이 경찰에 의해 봉쇄된 소르본 대학교로 행진했으며, 행진자들이 접근하자마자 경찰은 곤봉을 휘두르며 돌격했다. 군중이 흩어지는 동안 일부는 주변의 모든 것을 이용하여 바리케이드를 만들기 시작했고, 다른 사람들은 포석을 던져 경찰이 한동안 후퇴하도록 했다. 그러자 경찰은 최루탄으로 대응하며 다시 군중을 공격했다. 수백 명의 학생들이 체포되었다.
5월 10일은 "바리케이드의 밤"(Nuit des barricades|바리케이드의 밤프랑스어)으로, 학생들은 자동차, 나무, 자갈 등을 사용하여 라틴 구역의 거리를 바리케이드로 막았다. 학생들과 폭동 경찰 간에 잔혹한 거리 싸움이 벌어졌으며, 특히 뤼 게이 뤼삭에서 격렬했다. 다음 날 아침 일찍, 싸움이 중단되자 다니엘 콘벤디트는 총파업을 요구하는 라디오 방송을 내보냈다. 5월 13일 월요일, 100만 명 이상의 노동자가 파업에 참여했고 학생들은 소르본을 "일반 대중에게 공개"한다고 선언했다.[10] 협상이 종료되었고, 정부가 학교를 다시 열기로 동의했다는 잘못된 보고를 들은 후 학생들이 캠퍼스로 돌아왔지만, 그곳에서 여전히 경찰이 학교를 점령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소르본 대학교가 다시 문을 열었을 때, 학생들은 그곳을 점거하고 자율적인 "인민 대학교"로 선언했다. 그 후 몇 주 동안, 소르본 점거 위원회를 포함하여 정부와 프랑스 사회에 대한 불만을 기록하기 위해 파리와 다른 곳에서 약 401개의 대중 행동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4. 1968년 이후의 변화와 현재
1968년 5월, 프랑스에서는 학생과 노동자들이 연대하여 기성 체제에 저항하는 '68 혁명'이 일어났다. 소르본 대학은 이 혁명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1970년, 파리 대학교는 13개의 독립적인 대학교로 분할되었다.[11] 이들 중 일부는 소르본의 역사적인 건물에 남아있는데, 팡테옹 소르본 대학교(파리 제1대학교), 소르본 누벨 대학교(파리 제3대학교), 소르본 대학교(파리 제4대학교, 피에르 에 마리 퀴리 대학교(파리 제6대학교)와 합병), 파리 시테 대학교(파리 제5대학교, 파리 디드로 대학교(파리 제7대학교)와 합병) 등이 있다. 이들 대학은 소르본에 사무실을 둔 파리 대학교 재무처라는 공동 재무처에 의해 관리되었다.
이 건물에는 국립 헌장 학교(2014년까지), 고등 실천 연구원, 소르본 프랑스 문명 강좌 및 소르본 도서관도 있다.
소르본 예배당은 1887년에 프랑스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강당(''르 그랑 앙피테아트르'')과 건물 전체 단지(파사드와 지붕)는 1975년에 기념물이 되었다.[11]
4. 1. 파리 대학교의 분할 (1970년)
1970년, 파리 대학교는 13개의 독립적인 대학교로 분할되었다.[11] 이들 중 일부는 소르본의 역사적인 건물에 남아있으며, 팡테옹 소르본 대학교(파리 제1대학교) (파리 1대학), 소르본 누벨 대학교(파리 제3대학교) (파리 3대학), 소르본 대학교 (파리 4대학, 피에르 에 마리 퀴리 대학교(파리 제6대학교)와 합병), 파리 시테 대학교 (파리 5대학, 파리 디드로 대학교(파리 제7대학교)와 합병) 등이 있다. 이들 대학은 소르본에 사무실을 둔 파리 대학교 재무처라는 공동 재무처에 의해 관리되었다.이 건물에는 국립 헌장 학교(2014년까지), 고등 실천 연구원, 소르본 프랑스 문명 강좌 및 소르본 도서관도 있다.
소르본 예배당은 1887년에 프랑스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강당(''르 그랑 앙피테아트르'')과 건물 전체 단지(파사드와 지붕)는 1975년에 기념물이 되었다.[11]
4. 2. 소르본 건물의 현재 상황
1970년, 파리 대학교는 13개의 대학교로 분할되었으며, 소르본에 사무실을 둔 Chancellerie des universités de Paris라는 공동 재무처에 의해 관리되었다.[11] 이 중 일부는 소르본의 역사적인 건물에 시설을 유지하고 있다. 처음에는 파리 1대학교(팡테옹-소르본), 파리 3대학교(소르본 누벨), 파리 4대학교(파리-소르본), 파리 5대학교(파리-데카르트), 파리 7대학교(파리-디드로)가 있었다. 현재 파리 4대학교는 파리 6대학교와 합병하여 소르본 대학교가 되었고, 파리 5대학교는 파리 7대학교와 합병하여 파리 시테 대학교가 되었다.이 건물에는 국립 헌장 학교(2014년까지), École pratique des hautes études|고등 실천 연구원프랑스어, 소르본 프랑스 문명 강좌 및 소르본 도서관이 있다.
소르본 예배당은 1887년에 프랑스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강당(''르 그랑 앙피테아트르'')과 건물 전체 단지(파사드와 지붕)는 1975년에 기념물이 되었다.[11]
5. '소르본' 명칭 분쟁
1968년 5월 사건 이후 프랑스 고등 교육은 재편되었고, 파리 대학교는 13개의 자율 대학으로 분할되었다.[12][13][14][16] 이 과정에서 팡테옹-소르본(파리 1대학), 소르본-누벨(파리 3대학), 파리-소르본(파리 4대학, 이후 소르본 대학교로 통합) 등 일부 대학들은 '소르본'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17]
1990년대까지 소르본 대학은 그 이름을 상표로 등록하지 않았다. 그러나 1996년 파리 4대학(파리-소르본)이 'Université de Paris-Sorbonne'을 상표로 등록하면서 '소르본' 명칭 사용을 둘러싼 갈등이 시작되었다.[21] 이후 다른 대학들도 '소르본' 관련 상표를 등록하며 분쟁이 심화되었다.[22] 2006년 파리 4대학은 아부다비에 소르본 브랜드를 사용할 권한을 부여했고, 소르본 아부다비 로고를 상표로 등록했다.[21][23] 이는 다른 소르본 대학들과의 갈등을 유발했고, 프랑스 당국이 개입하게 되었다.[24]
이후 파리 4대학과 파리 6대학의 합병이 추진되어 2018년 소르본 대학교로 통합되었다.
5. 1. 분할과 공동 자산
1968년 5월 사건 이후, 프랑스 고등 교육은 1968년 11월 12일 포르 법에 의해 재편되었다.[12][13][14] 파리 대학교는 13개의 자율 대학으로 분할되었다.[16]파리의 일부 대학들은 소르본 건물에서 운영을 계속하며 '소르본'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팡테옹-소르본(파리 1대학), 소르본-누벨(파리 3대학), 파리-소르본(파리 4대학, 이후 소르본 대학교로 통합)이 그 예이다. 그러나 파리 데카르트(파리 5대학)와 파리 디드로(파리 7대학)는 소르본 건물에서 운영을 계속했지만, '소르본' 명칭은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7]
에콜 데 샤르트(2014년까지)와 고등 연구 실습 학교도 역사적인 소르본 건물에서 활동을 유지했다.[17] 팡테옹-아사스(파리 2대학)는 소르본 건물이 아닌 퀴자 거리 건너편 팡테옹 부지에서 운영되었다.[18]
파리 대학교의 유산과 소르본 건물은 분할되지 않고, 파리 대학 샹슬러(Chancellerie des Universités de Paris)의 관리하에 공통 자산으로 남았다.[12][19][11] 소르본 예배당, 코르 도뇌르(Cour d'honneur), 페리스틸(Péristyle), 대강당은 모든 후계 대학이 공유하는 기념비적인 부분이다.[17][11]
소르본 도서관(소르본 간대학 도서관)은 팡테옹-소르본과 소르본-누벨 대학의 공통 도서관이며, 팡테옹-소르본에서 관리한다.[20] 강의실, 도서관, 행정 사무실은 팡테옹-소르본, 소르본-누벨, 소르본 대학교(본부 포함), 파리-시테에 귀속되어 운영되며, 이들은 파리 전역의 다른 캠퍼스에서도 운영된다.
5. 2. 상표 등록과 합병 논의
1990년대까지 소르본 대학은 그 이름을 상표로 등록하지 않았다. 1996년, 파리 4대학(파리-소르본)이 'Université de Paris-Sorbonne'이라는 이름을 상표로 등록하면서, '소르본' 명칭 사용을 둘러싼 갈등이 시작되었다.[21] 이후 1999년에는 파리 3대학(소르본 누벨)과 파리 1대학(팡테옹-소르본)도 '소르본' 관련 상표를 등록했다.[22] 2007년, 파리 4대학은 '라 소르본'이라는 브랜드도 상표로 등록했다.[21]2006년, 파리 4대학은 아부다비 당국에 중동 지역에서 소르본 브랜드를 사용할 권한을 부여하고, 2007년 '소르본 아부다비' 로고를 상표로 등록했다.[21][23] 이는 다른 소르본 대학들과의 갈등을 유발했고, 프랑스 당국이 개입하게 되었다.[24] 파리와 일드프랑스 지역 정부는 파리 2대학, 파리 4대학, 파리 6대학이 소르본 이름을 독점하려 하자 '소르본 대학교' 브랜드 등록을 막겠다고 위협했다.[21][25][26][27][28][29]
이후 파리 4대학과 파리 6대학의 합병이 추진되었고, 2010년 합의를 통해 '소르본 대학교들'이라는 명칭이 제안되었다.[12][21] 2018년, 두 대학은 실제로 합병하여 '소르본 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했다.
한편, 파리 5대학(파리 데카르트)과 파리 7대학(파리 디드로)도 합병을 추진하여 2019년 '파리 시테 대학교'로 통합되었다.[34] 파리 2대학(팡테옹-아사스)은 '파리 대학교' 명칭 사용에 반대하는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33]
5. 3. 소르본 관련 대학 및 협력 관계
소르본-아사스는 2007년과 2013년에 각각 "Université Sorbonne-Assas", "Sorbonne-Assas" 브랜드를 상표로 등록하고,[21] 소르본-아사스 국제법학부를 통해 국제 학위를 제공한다.[35]소르본 파리 노르는 2019년에 교명이 변경되었다.
2020년, 파리 시테 대학교와 소르본 파리 노르를 포함한 여러 고등 교육 기관들 간에 협력 협약(Alliance Sorbonne Paris Cité)이 체결되었다. 소르본 누벨은 처음에 이 협약의 회원이었다가, 팡테옹-소르본과 함께 설립된 다른 협력 프로그램(Sorbonne Alliance)으로 변경되었다.
참조
[1]
백과사전
Sorbonne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Sorbonne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ww.collinsd[...]
2018-12-30
[3]
웹사이트
La Chancellerie des universités de Paris a 50 ans.
https://www.ac-paris[...]
2024-10-17
[4]
웹사이트
La Sorbonne facts
https://www.parisdig[...]
Paris Digest
2019-09-04
[5]
웹사이트
Fondation Sorbonne au Moyen Age - Robert de Sorbon
http://www.sorbonne.[...]
[6]
서적
English Literature - William Henry Schofield
https://books.google[...]
BiblioLife
2009-01-31
[7]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Volume 1, Universities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10-16
[8]
서적
The Library : An Illustrated History
Skyhorse Publishing
2009
[9]
서적
Books: a living history
Thames & Hudson
2011
[10]
간행물
Paris: May 1968
1968
[11]
문서
La Sorbonne
[12]
웹사이트
Loi n°68-978 du 12 novembre 1968 DITE EDGAR FAURE D'ORIENTATION DE L'ENSEIGNEMENT SUPERIEUR
https://www.legifran[...]
Legifrance
2018-05-21
[13]
웹사이트
Fac-similé JO du 09/10/1970, page 09367 – Legifrance
https://www.legifran[...]
[14]
웹사이트
Décret n°70-1174 du 17 décembre 1970 portant érection en établissements publics à caractère scientifique et culturel d'universités et centres universités
https://www.legifran[...]
Legifrance
2018-05-21
[15]
논문
1968 : mort et naissance de l'université française
https://www.persee.f[...]
1989
[16]
웹사이트
Décret n° 70-1174 du 17 décembre 1970 portant érection en établissements publics à caractère scientifique et culturel d'universités et centres universitaires
https://www.legifran[...]
2023-06-07
[17]
웹사이트
The Sorbonne today – La Chancellerie des Universités de Paris – La Chancellerie des Universités de Paris
http://www.sorbonne.[...]
[18]
웹사이트
Implantations – Université Paris 2 Panthéon-Assas
https://www.u-paris2[...]
[19]
웹사이트
Le patrimoine culturel de la Chancellerie des universités de Paris
https://www.sorbonne[...]
[20]
웹사이트
Organisation
http://www.biu.sorbo[...]
[21]
웹사이트
INPI – Service de recherche marques
https://bases-marque[...]
[22]
웹사이트
Le Blog Del Education: Nouve Lobs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Comment la Sorbonne a bradé son nom au Moyen-Orient
https://www.nouvelob[...]
2009-04-29
[24]
웹사이트
La Sorbonne, marque déposée ?
http://www.liberatio[...]
[25]
뉴스
Valérie Pécresse, « mère fouettard » des présidents d’université parisienne.
http://lemonde-educ.[...]
LeMonde
2011-04-06
[26]
웹사이트
Pour rénover l'enseignement supérieur parisien
http://media.enseign[...]
2010-02-10
[27]
웹사이트
Les facs s'arrachent la marque "Sorbonne"
http://www.liberatio[...]
[28]
웹사이트
La Sorbonne va faire des petits
http://etudiant.aujo[...]
2010-06-11
[29]
웹사이트
Le Parisien: La Marque Sorbonne va Etre Partagee
http://www.leparisie[...]
2010-02-26
[30]
웹사이트
L'association Sorbonne Université en quelques dates
http://www.sorbonne-[...]
[31]
웹사이트
Décret n° 2017-596 du 21 avril 2017 portant création de l'université Sorbonne Université – Legifrance
https://www.legifran[...]
[32]
웹사이트
Descripteur : ETABLISSEMENT PUBLIC A CARACTERE SCIENTIFIQUE, CULTUREL ET PROFESSIONNEL (EPSCP) – Legifrance
https://www.legifran[...]
[33]
문서
Conseil d'État, 4ème - 1ère chambres réunies, 29 décembre 2021, 434489
https://www.conseil-[...]
2021-12-29
[34]
웹사이트
Décret n° 2022-327 du 4 mars 2022 portant dénomination d'établissement public expérimental
https://www.legifran[...]
2023-06-07
[35]
웹사이트
Sorbonne Assas – International Law School – High-level LL.M. in International Business Law
http://www.sorbon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