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포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셜포비아는 인터넷에서 벌어진 사건을 계기로 마녀사냥의 표적이 된 한 소녀의 죽음을 파헤치는 영화이다. 영화는 자살로 위장된 사건의 진실을 쫓는 과정에서 인터넷 중독, 사이버 불링, 사회 공포증, 젊은 세대의 낮은 도덕성 및 자존감 부족 등 사회 문제를 드러낸다. 변요한, 이주승, 류준열 등이 출연했으며, 2014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넷팩상 등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셜 미디어를 소재로 한 영화 - 아메리칸 셰프
존 파브로가 각본, 감독, 주연을 맡은 영화 아메리칸 셰프는 몰락한 셰프 칼 캐스퍼가 푸드 트럭을 운영하며 아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요리에 대한 열정을 되찾는 2014년 코미디 드라마이다. - 소셜 미디어를 소재로 한 영화 - 그녀가 죽었다
2024년 개봉한 스릴러 영화 《그녀가 죽었다》는 남의 삶을 훔쳐보는 부동산 중개인이 SNS 인플루언서의 죽음을 목격한 후 살인 용의자로 몰리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변요한, 신혜선, 이엘 등이 출연했으며 흥행에 성공하여 신혜선과 변요한이 각각 부일영화상과 서울국제영화상에서 수상했다. - 2013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더 리포트
《더 리포트》는 CIA의 강화된 심문 기법에 대한 상원 정보위원회의 보고서를 다룬 2019년 미국 정치 스릴러 영화로, 상원 조사팀의 조사 과정, CIA의 고문 행위와 은폐 시도, 보고서 발표 과정의 권력 갈등을 묘사하며, CIA의 고문 실태 폭로와 정부의 책임 회피 문제를 다룬다. - 2013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지구가 끝장 나는 날
에드가 라이트 감독의 영화 《지구가 끝장 나는 날》은 20년 만에 술집 순례를 재개한 다섯 친구가 외계인의 침략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로, 우정, 자아 성찰, 사회 비판을 담은 코미디 공상과학 작품이며 '세 가지 맛의 코르네토'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이다. - 2014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더 리포트
《더 리포트》는 CIA의 강화된 심문 기법에 대한 상원 정보위원회의 보고서를 다룬 2019년 미국 정치 스릴러 영화로, 상원 조사팀의 조사 과정, CIA의 고문 행위와 은폐 시도, 보고서 발표 과정의 권력 갈등을 묘사하며, CIA의 고문 실태 폭로와 정부의 책임 회피 문제를 다룬다. - 2014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설국열차
《설국열차》는 빙하기 이후 영구 기관 열차 내 계급 투쟁을 그린 봉준호 감독의 디스토피아 영화로, 원작 그래픽 노블에서 각색되었으며, 계급 갈등과 사회 시스템에 대한 질문을 던져 흥행과 논쟁을 동시에 일으켰고, 드라마 시리즈로도 제작되었다.
소셜포비아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소셜포비아 |
로마자 표기 | Sosyeolpobia |
영화 정보 | |
감독 | 홍석재 |
제작 | 유영식 최이콴 |
각본 | 홍석재 조성예 권오랑 구성모 |
출연 | 변요한 이주승 류준열 |
음악 | 김해원 |
촬영 | 이성중 |
편집 | 박민선 |
의상 | 김소라 |
배급사 | CJ 엔터테인먼트 |
개봉일 | 2015년 3월 12일 |
상영 시간 | 102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장르 | 드라마 미스터리 |
관람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
흥행 | |
수익 | 180만 미국 달러 |
2. 줄거리
인터넷에서 벌어진 시비로 '자살한 사람의 죽음이 타살일 거라는 음모론'에 빠진 아이들의 이야기.
영화 소셜포비아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노량진에서 경찰고시를 준비하는 지웅과 용민은 인터넷에서 모집하는 현피 방송에 참여한다. 9명의 현피 멤버들이 모이고, 현피 상대인 민하영의 집에 찾아가서 발견한 것은 목 매달아 자살한 그녀의 시체였다. 이 모든 게 인터넷 상에서 생중계되고, 경찰 조사에서 지웅과 용민은 경찰 시험에 붙어도 인성 면접에서 떨어질 것이란 이야기를 듣는다. 이후 인터넷에서 신상이 털리고 마녀사냥을 당하기 시작한 현피 멤버들은 억울함을 풀기 위해 민하영 자살사건의 의혹을 파헤쳐나가기 시작한다.[1]
젊은이들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마녀사냥의 표적이 된 후 사망한 한 소녀의 죽음을 조사하여 그녀의 죽음이 자살인지 살인인지 밝히려 한다. 처음에는 그룹의 한 멤버가 용의자로 지목되지만, 이후 소녀의 죽음은 자살로 밝혀진다. 이 영화는 인터넷 중독, 사이버 불링, 사회 공포증, 젊은이들의 낮은 도덕성 및 자존감 부족을 탐구한다.[2]
3. 등장인물
배우 역할 비고 변요한 김지웅 이주승 하용민 류준열 BJ 양게 하윤경 민하영 / 레나 유대형 병무 박근록 문혁 오희준 군인 임지호 고딩 1 김용준 고딩 2 정재우 기섭 전신환 장세민 이강욱 형주 변진수 진구 배유람 정배 김희창 형사 김종수 백천욱 교수 남문철 하영 부 3. 1. 주요 인물
3. 2. 조연
배우 | 역할 | 비고 |
---|---|---|
류준열 | BJ 양게 | |
하윤경 | 민하영 / 레나 | |
유대형 | 병무 | |
박근록 | 문혁 | |
오희준 | 군인 | |
임지호 | 고딩 1 | |
김용준 | 고딩 2 | |
정재우 | 기섭 | |
전신환 | 장세민 | |
이강욱 | 형주 | |
변진수 | 진구 | |
배유람 | 정배 | |
김희창 | 형사 | |
김종수 | 백천욱 | 교수 |
남문철 | 하영 부 |
4. 영화 속 사회 문제
이 영화는 한 소녀의 죽음을 조사하면서 인터넷 중독, 사이버 불링, 사회 공포증, 젊은이들의 낮은 도덕성 및 자존감 부족과 같은 사회 문제를 다룬다.[1] 소녀의 죽음은 처음에는 그룹의 한 멤버가 용의자로 지목되지만, 이후 자살로 밝혀진다.
4. 1. 인터넷 중독
이 영화는 등장인물들이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에 과도하게 몰입하여 현실과 가상 세계를 구분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인터넷 중독, 사이버 불링, 사회 공포증, 젊은이들의 낮은 도덕성 및 자존감 부족을 탐구한다.[1]4. 2. 사이버 불링
영화는 인터넷 중독, 사이버 불링, 사회 공포증, 젊은이들의 낮은 도덕성 및 자존감 부족을 다룬다.[1] 온라인 공간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무분별한 공격과 혐오 표현이 난무하며, 이는 개인에게 심각한 정신적 피해를 입힌다.4. 3. 사회 공포증
이 영화는 인터넷 중독, 사이버 불링, 사회 공포증과 젊은이들의 낮은 도덕성 및 자존감 부족을 다룬다.[1]4. 4. 낮은 도덕성 및 자존감 부족
일부 등장인물은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지 못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지 못하는 등 낮은 도덕성을 보인다. 이는 낮은 자존감과 연결될 수 있다.[1]5. 수상 내역
영화 《소셜포비아》는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 및 후보로 지명되었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2014 | 제40회 서울독립영화제 | 관객상 | 홍석재 | 수상 |
2015 | 제24회 부일영화상 | 신인 감독상 | 홍석재 | 수상 |
제7회 올해의 영화상 | 신인 남우상 | 변요한 | 수상 | |
2016 | 제3회 들꽃영화상 | 극영화 신인감독상 | 홍석재 | 수상 |
제21회 춘사영화상 | 신인감독상 | 홍석재 | 수상 | |
제11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 최고의 독립영화상 | 소셜포비아 | 수상 |
이 외에도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넷팩상과 한국영화감독조합상, 제40회 서울독립영화제에서 독립스타상, 제24회 부일영화상에서 신인 남자연기상, 제11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에서 최고의 남자신인배우상을 수상했다.[1]
5. 1. 2014년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제40회 서울독립영화제 | 독립스타상 | 변요한 | 수상 |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 넷팩상 | 《소셜포비아》 | 수상 |
한국영화감독조합상 | 홍석재 | 수상 |
5. 2. 2015년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2015 | 제51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 홍석재 | 후보 |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 변요한 | 후보 | ||
제24회 부일영화상 | 신인감독상 | 홍석재 | 수상 | |
신인연기자상 | 변요한 | 수상 | ||
제36회 청룡영화상 | 신인감독상 | 홍석재 | 후보 | |
신인남우상 | 변요한 | 후보 |
5. 3. 2016년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제3회 들꽃영화상 | 극영화 신인감독상 | 홍석재 | 수상 |
신인배우상 | 류준열 | 후보 | |
남우주연상 | 이주승 | 후보 | |
제21회 춘사영화상 | 신인감독상 | 홍석재 | 수상 |
제11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 최고의 남자신인배우상 | 류준열 | 수상 |
최고의 독립영화상 | 소셜포비아 | 수상 | |
제7회 올해의 영화상 | 신인 남우상 | 변요한 | 수상 |
참조
[1]
웹사이트
Socialphobia (2015)
https://web.archive.[...]
2017-08-28
[2]
웹사이트
BYUN Yo-han of SOCIALPHOBIA: A Star That Shines Brighter on Set
http://www.koreanfil[...]
2015-03-23
[3]
웹사이트
Director HONG Seok-jae of Socialphobia: "I became more negative about social networks"
http://www.koreanfil[...]
2014-11-03
[4]
웹사이트
Director of Socialphobia, HONG Seok-jae: "Social media will continue to produce scapegoats"
http://www.koreanfil[...]
2015-03-31
[5]
웹사이트
In Focus: Socialphobia
http://www.koreanfil[...]
2015-03-09
[6]
웹사이트
'Socialphobia' taps into dark side of Internet
http://koreajoongang[...]
2015-03-05
[7]
웹사이트
New Film Expected to Set Indie Box-Office Record
http://english.chosu[...]
2015-03-17
[8]
웹사이트
SOCIALPHOBIA Number One at Alternative Box Office
http://www.koreanfil[...]
2015-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