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양강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양강댐은 1967년 4월 15일 착공하여 1973년 10월 15일에 완공된 사력식 댐이다. 경부고속도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3대 국책사업으로 건설되었으며, 수도권과 중부 지역에 용수 공급 및 전력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소양강댐 발전소는 1973년 11월 1일에 상업 발전을 시작했으며, 시설 용량 20만kW 규모로 연간 353GWh의 전력을 생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천시의 관광지 - 남이섬
남이섬은 청평댐 건설로 생긴 북한강의 내륙 섬으로, 남이 장군의 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드라마 겨울연가 성공 후 아시아권 관광객이 급증하여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 춘천시의 관광지 - 제이드가든 수목원
제이드가든 수목원은 다양한 테마의 산책로 코스를 갖춘 수목원으로 나무내음길, 단풍나무길, 숲속바람길 등이 있다. - 1973년 완공된 건축물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위치한 종합 공연장으로, 조개껍데기 모양의 독특한 지붕 디자인과 콘서트홀, 오페라 극장 등을 갖춘 20세기 건축의 대표작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1973년 완공된 건축물 - NHK 방송 센터
NHK 방송 센터는 일본 방송협회의 본사이자 최대 규모의 방송 시설로, 대규모 재건축 사업을 통해 일부 시설 이전과 함께 노후 시설 개선 및 다양한 방송 제작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소양강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면 월곡리·신북읍 천전리 |
좌표 | 37 |
국가 | 대한민국 |
강 | 소양강 |
용도 | 다목적댐 |
건설 시작 | 1967년 4월 15일 |
완공 | 1973년 10월 15일 |
가동 시작 | 1973년 11월 1일 |
소유주 | 한국수자원공사 |
제원 | |
댐 형식 | 사력식 댐 |
댐 높이 | 123m |
댐 길이 | 530m |
댐 체적 | 960만 m³ |
방수로 형식 | 조절수로식 |
방수로 용량 | 5,500m³/s |
저수지 | |
저수지 이름 | 소양호 |
총 저수 용량 | 2,900,000,000 m³ |
유효 저수 용량 | 1,900,000,000 m³ |
발전 | |
터빈 형식 | 프란시스형 |
터빈 수 | 3기 |
설비 용량 | 200 MW |
연간 발전량 | 353Ghw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한국수자원공사 |
2. 역사
1967년 4월 15일 착공되어 1973년 10월 15일 완공되었다. 소양강댐은 경부고속도로와 서울지하철 1호선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3대 국책사업으로 꼽힌다. 본래 처음 도안은 콘크리트 중력식으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도쿄대 출신으로 이뤄져 세계 유수의 댐을 건설해 온 일본공영(Nippon Koei)의 설계였다. 그러나 정주영 회장의 전갑원 기사가 비용을 3분의 1로 낮추면서도 훨씬 튼튼한 사력식 공법을 제안했다. 회담 직후 박정희 대통령은 현장 전문가인 전갑원 기사와 장시간의 독대 끝에 공사비 절감, 전쟁 위협 등을 염두에 두고 정주영의 편을 들어줬다.[4] 1967년 2월 24일 1차 공사는 현대건설로 결정되었다.[5]
2. 1. 건설 배경
1967년 4월 15일 착공되어 1973년 10월 15일 완공되었다. 소양강댐은 경부고속도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3대 국책사업으로 꼽힌다. 본래 처음 도안은 콘크리트 중력식으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도쿄대 출신으로 이뤄져 세계 유수의 댐을 건설해 온 일본공영(Nippon Koei)의 설계였다. 그러나 정주영 회장의 전갑원 기사가 비용을 3분의 1로 낮추면서도 훨씬 튼튼한 사력식 공법을 제안했다. 회담 직후 박정희 대통령은 현장 전문가인 전갑원 기사와 장시간의 독대 끝에 공사비 절감, 전쟁 위협 등을 염두에 두고 정주영의 편을 들어줬다.[4] 그리하여 1967년 2월 24일 1차 공사는 현대건설로 결정되었다.[5]2. 2. 건설 과정
1967년 4월 15일 착공되어 1973년 10월 15일 완공되었다. 소양강댐은 경부고속도로, 서울지하철 1호선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3대 국책사업으로 꼽힌다. 본래 처음 도안은 콘크리트 중력식으로 설계되었는데, 도쿄대 출신으로 이뤄져 세계 유수의 댐을 건설해 온 일본공영(Nippon Koei)의 설계였다. 그러나 정주영 회장의 전갑원 기사가 비용을 3분의 1로 낮추면서도 훨씬 튼튼한 사력식 공법을 제안했다. 회담 직후 박정희 대통령은 현장 전문가인 전갑원 기사와 장시간 독대한 끝에 공사비 절감, 전쟁 위협 등을 염두에 두고 정주영의 편을 들어줬다.[4] 그리하여 1967년 2월 24일 1차 공사는 현대건설로 결정되었다.[5]2. 3. 완공 및 의의
1967년 4월 15일 착공되어 1973년 10월 15일 완공되었다. 소양강댐은 경부고속도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3대 국책사업으로 꼽힌다. 본래 처음 도안은 콘크리트 중력식으로 설계되었다. 도쿄대 출신으로 이뤄져 세계 유수의 댐을 건설해 온 일본공영(Nippon Koei)의 설계였다. 그러나 정주영 회장의 전갑원 기사가 비용을 3분의 1로 낮추면서도 훨씬 튼튼한 사력식 공법을 제안했다. 회담 직후 박정희 대통령은 현장 전문가인 전갑원 기사와 장시간의 독대 끝에 공사비 절감, 전쟁 위협 등을 염두에 둔 박정희는 정주영의 편을 들어줬다.[4] 그리하여 1967년 2월 24일 1차 공사는 현대건설로 결정되었다.[5]댐에 들어간 자갈과 흙의 양은 엄청나다. 당시 국민 한 사람당 일곱 가마 꼴이다. 소양강댐의 완공으로 서울과 수도권 인구가 1년 동안 쓸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되었고, 아울러 전력도 생산할 수 있었다.

3. 발전소
소양강댐 발전소는 1973년 11월 1일에 상업 발전을 개시했으며, 수도권 및 중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6]
3. 1. 시설 제원
소양강댐 발전소는 1973년 11월 1일에 상업 발전을 시작한 대규모 수력발전소로, 시설 용량은 20만 kW(10만 kW×2대)이다. 연간 353 GWh의 전력을 생산하여 수도권 및 중부 지역 일원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6]
4. 의의 및 평가
소양강댐 완공으로 서울과 수도권은 1년 동안 사용할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전력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댐 건설에는 국민 1인당 7가마에 해당하는 엄청난 양의 자갈과 흙이 사용되었다.[1]
4. 1. 경제적 효과
소양강댐 완공으로 서울과 수도권 인구는 1년 동안 사용할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되었고, 전력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1] 댐 건설에 사용된 자갈과 흙의 양은 당시 국민 1인당 7가마에 해당할 정도로 막대했다.[1]4. 2. 사회적 효과
소양강댐 완공으로 서울과 수도권 인구는 1년 동안 쓸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되었고, 전력도 생산할 수 있었다.[1] 댐 건설에 사용된 자갈과 흙의 양은 당시 국민 한 사람당 일곱 가마 꼴이었다.[1]참조
[1]
웹사이트
Songyanggang Dam
http://www.kncold.or[...]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Large Dams
2011-08-05
[2]
웹사이트
Multi-Purpose Dams
http://english.kwat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11-08-04
[3]
웹사이트
Use of DYWIDAG Bar Anchors for the Construction of an additional Overflow Spillway at Soyang Dam
http://www.dywidag-s[...]
DYWIDAG Solutions International
2011-08-04
[4]
서적
박정희, 한국의 탄생
살림출판사
2009
[5]
뉴스
소양강댐 1차공사 현대건설 낙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7-02-24
[6]
웹사이트
http://www.kwater.or[...]
[7]
웹사이트
수자원공사-소양강댐
http://www.kwater.o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강릉이 겪는 극한 가뭄, 수도권은 괜찮을까? [왜냐면]
'재난사태급 가뭄' 강릉에 당분간 큰비 없어…내일 5㎜ '찔끔'
김성환 환경부 장관, 소양강댐 녹조 현황 점검
[사설] 폭우 사망·실종 30여명…‘과하다 싶을 정도’ 대응 맞나
녹조 신속 대응 위해 팔당호·광교저수지 6~9월 ‘조류경보제’ 시행
춘천 소양강댐 진입도로서 20t 낙석…"봄철 해빙 원인"
"한강에 물이 동났다"...반도체가 부른 '물 부족' [스프]
[자막뉴스] '결정타' 때린 삼성과 하이닉스…5년 뒤 수도권에 닥칠 상황
광주환경단체 “정부, 기후대응 명분 댐 건설 전면 철회하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