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속초 조양동 유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속초 조양동 유적은 강원도 속초시 조양동 일대에 위치한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1992년 강릉대학교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으며, 집터 7기, 고인돌 2기, 다양한 토기 및 석기 유물이 발견되었다. 부채 모양 청동 도끼는 이 유적의 특징적인 유물 중 하나이며, 굽손잡이그릇은 한반도 동북 지역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된다. 사적 제376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유적지 관리 및 보존과 관련하여 주택 개발 사업자들의 개발 요구와 문화재 지정 폐지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속초시의 문화유산 - 신흥사 (속초시)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에 위치한 신흥사는 652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향성사를 기원으로 여러 차례 중건을 거쳐 1644년 현재의 이름으로 명명되었으며, 극락보전과 통일대불 등의 문화재를 보유한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이다.
  • 속초시의 문화유산 -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은 1647년에 건립되어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친 조선 후기 건축물로, 다포식 팔작지붕, 소슬빗꽃살 창호, 화려한 단청, 섬세한 조각 닫집 등으로 장식되었으며, 사동중정형 배치를 이루는 국가지정문화재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사적 - 낙산사
    낙산사는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의 계시로 창건한 사찰로, 화재와 재건을 거쳐 현재 재건축 중이며, 의상대, 홍련암 등의 암자와 해수관음상, 칠층석탑 등의 문화재를 보유한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지닌 곳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사적 - 장릉 (조선 단종)
    장릉은 조선 6대 왕 단종과 정순왕후의 능으로, 단종의 비극적인 역사와 관련되어 수도권 외부에 위치한 유일한 왕릉이며 충신단이 조성되어 있고, 조선왕릉으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한국의 청동기 시대 유적 - 김해 봉황동 유적
    김해 봉황동 유적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며, 조개더미 성격의 유적으로 붉은 토기, 가야 토기 파편, 화천 등이 출토되어 한반도 남부 지역 선사시대와 중국 간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한국의 청동기 시대 유적 - 부여 송국리 유적
    부여 송국리 유적은 기원전 7~6세기경 형성된 중기 무문 토기 문화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청동기 유물과 둥근 형태의 움집 등이 발견되었으며 한반도 사회와 국가 형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속초 조양동 유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속초 조양동 유적에 재현된 움집 모형
속초 조양동 유적에 재현된 움집 모형
이름속초 조양동 유적
로마자 표기Sokcho Joyangdong Yujeok
유형사적
지정 번호376
지정일1992년 10월 10일
주소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조양동 산142번지 외 9필지
시대청동기시대
면적24,295m2
지도대한민국
꼬리표속초 조양동

2. 발굴

1990년 한국토지개발공사는 속초시 조양동 일대 약 130000m2를 택지개발지구로 책정하고, 이 일대에 대한 토지 형질 변경이 불가피하여 1991년 말 강릉대학교박물관에 지표조사를 의뢰하였다.[1] 강릉대학교박물관은 1992년 5월 중순부터 7월 말까지 약 70일간 발굴 작업을 벌였다.[2]

2. 1. 발굴 결과

1992년 7채의 움집터와 고인돌무덤 2기를 조사하였다. 집터는 생토 풍화암반층을 40cm∼60cm 길이로 파내고 바닥에 고운 진흙을 얇게 깔아 만들었다. 규모는 동서로 긴 네모꼴로 크기는 약 23m2∼76m2 로 밝혀졌다. 이것으로 당시 사람들이 약 7∼23평 크기의 움집에서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1]

출토 유물로는 많은 석기와 토기가 나왔다. 특히 고인돌에서 찾은 부채꼴 모양의 청동도끼(선형동부)는 함경남도 지역에서는 나온 적이 있으나,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는 처음 나와 이 지역 선사문화 연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1]

조양리 유적의 조사 결과 부채 모양의 청동 도끼와 같은 유물이 발굴되었고, 고인돌 2기와 당시 집터가 원형 그대로 잘 보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여[3], 대한민국의 사적 제376호로 지정되었다.[4] 발굴된 유물들은 속초시립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5]

발굴된 유물과 유적은 다음과 같다.[2]

종류내용
집터7기
토기신석기 시대의 빗살무늬토기조각, 겹아가리무늬 토기, 구멍무늬토기, 골아가리무늬토기, 붉은간토기, 굽손잡이그릇
석기돌도끼, 돌검, 반달돌칼, 가락바퀴, 그물추, 화살촉 등
고인돌2기
기타부채모양 청동 도끼



낮은 구릉의 꼭대기에 남향을 하여 움집을 지었다. 이렇게 마을을 형성하는 것은 대한민국 청동기 유적의 일반적인 양상이다.[2]

속초 조양동 유적에서는 많은 토기가 함께 출토되었다.[4] 원래 대한민국 중부 동해안은 청동기 시대 남부 지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한 민무늬 토기가 우세한 곳이다.[2] 조양리 유적에서 나온 굽손잡이그릇은 우리나라 동북 지방 신석기 말기 유적인 함경북도 무산 호곡동 유물과 유사하다. 이런 모양의 토기가 남한 지역에서 출토 된 것은 조양리 유적이 최초이다. 이는 한반동 동북 지역과 중부 동해안 지역의 교류를 짐작할 수 있는 유물로 평가된다.[6]

2. 2. 출토 유물의 특징

출토 유물로는 많은 석기와 토기가 나왔다. 특히 고인돌에서 찾은 부채꼴 모양의 청동도끼(선형동부)는 함경남도 지역에서는 나온 적이 있으나,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는 처음 나와 이 지역 선사문화 연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1]

발굴된 유물과 유적은 다음과 같다.[2]

종류상세
집터 7기
고인돌 2기



속초 조양동 유적에서는 많은 토기가 함께 출토되었다.[4] 원래 대한민국 중부 동해안은 청동기 시기 남부 지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한 민무늬 토기가 우세한 곳이다.[2] 조양동 유적에서 나온 굽손잡이그릇은 우리나라 동북 지방 신석기 말기 유적인 함경북도 무산 호곡동 유적 유물과 유사하다. 이런 모양의 토기가 남한 지역에서 출토 된 것은 조양동 유적이 최초이다. 이는 한반도 동북 지역과 중부 동해안 지역의 교류를 짐작할 수 있는 유물로 평가된다.[6]

3. 유적의 관리 및 보존 문제

유적지는 속초시에서 재현한 움집 모형 외에 특별한 표식이 없으며 발굴하였던 집터도 5기만 복구하고 나머지 2기는 다시 매립하여 둔 상태이다.[7] 2014년 주택 개발 사업자의 민원에 의해 주변 건물의 고도 제한이 완화되었다.[8] 당시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 5차 회의는 고도 제한의 완화를 허용하면서 추가적인 조례의 변경이나 개발 추진 시에는 문화재청과 협의할 것을 조건으로 하였다.[9] 한편, 도시 개발 사업자들은 계속하여 유적지의 문화재 지정 폐지와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10]

참조

[1] 간행물 속초 조양동 택지개발지역내 유적 발굴 http://www.archives.[...] 국가기록원
[2] 백과사전 속초조양동선사유적 http://encykorea.aks[...]
[3] 뉴스 속초 조양동 선사유적 http://www.soraknews[...] 설악신문 2012-05-25
[4] 웹사이트 속초 조양동 유적 http://www.heritage.[...] 문화재청
[5] 웹사이트 제1전시실 https://www.sokchomu[...] 속초시립박물관
[6] 웹사이트 속초 조양동 유적 http://korean.visitk[...] 대한민국 구석구석
[7] 뉴스 아쉬움뿐인 속초 ‘조양동 선사유적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5-05
[8] 뉴스 조양동유적 현상변경 허용기준 완화 http://www.soraknews[...] 설악신문 2014-07-21
[9] 회의록 2014년 문화재 위원회 사적분과 제5차 회의록
[10] 뉴스 속초 조양동 선사유적공원 ‘애물 덩어리’ 전락 http://www.jeonmae.c[...] 전국매일신문 2017-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