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만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만영은 당나라로부터 귀성주자사와 영주도독 작위를 받은 인물이다. 695년 거란 추장 이진충과 함께 당나라 영주도독 조문홰의 폭정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며, 이진충 사후 거란의 추장이 되어 당나라를 침입했다. 초반에는 세력이 강했으나, 당나라 군대에게 패하여 살해당했다. 손만영과 이진충의 반란은 영주 부근 이민족들의 당나라 이탈을 가능하게 했고, 발해 건국의 도화선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란 소씨 - 소배압
소배압은 요나라 황족과 혼인 관계를 맺은 소씨 가문 출신으로, 요 경종의 사위이자 소손녕의 형이며, 거란의 여러 전쟁에서 활약하고 고려를 침공했으나 귀주대첩에서 패배하여 몰락했다. - 거란 소씨 - 소손녕
요나라의 군인이자 외교관인 소손녕은 993년 고려를 침공하여 서희와의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하고 고려-요 관계 개선에 기여했으나, 이후 실책과 사생활 문제로 공신 칭호를 박탈당하고 사약을 받아 자결했다. - 거란 사람 - 이진충
이진충은 거란 대하 부족 출신으로, 당나라에 반기를 들어 거란국을 선포하고 무상가한을 칭했으나 반란 도중 사망했다. - 거란 사람 - 야율초재
야율초재는 금나라 출신 거란족 유학자로 칭기즈 칸과 오고타이 칸을 섬기며 몽골 제국의 통치 시스템 구축, 정복지 세금 징수, 유학 장려 등을 통해 제국 발전에 기여했다.
손만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거란 손만영 |
원래 이름 | 契丹 孫萬榮 |
휘 | 손만영(孫萬榮) |
다른 이름 | 손만참(孫萬斬) |
작위 | 족장(族長), 추장(酋長) |
직업 | 거란(契丹) 가한(可汗)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사망일 | 697년? |
사망지 | 영주성(營州星) |
재위 기간 | ?~696년 |
작위 | 거란국 무상가한 |
재위 기간 | 696년~697년) |
매장지 | 미상(未詳) |
배우자 | 미상(未詳) |
자녀 | 1남 |
양자 | 이실활(李失活) |
친인척 | 왕후 손씨( 王後 孫氏) |
부왕 | 손씨(孫氏) |
모후 | 미상(未詳) |
형제자매 | 미상 |
전임자 | 이진충(李盡忠) |
후임자 | 이실활(李失活) |
묘호 | 미상(未詳) |
시호 | 손만영(孫萬榮) |
법명 | 미상(未詳) |
존호 | 손만영(孫萬榮) |
묘소 | 미상(未詳) |
능묘 | 미상(未詳) |
거주지 | 거란(契丹) |
국적 | 거란(契丹) |
성별 | 남성(男性) |
가문 | 손씨(孫氏) |
왕조 | 거란(契丹) |
종교 | 미상(未詳) |
호칭 | 추장(酋長), 가한(可汗) |
목록 | 거란국 6대 무상가한 |
2. 생애
손만영은 당나라(唐)로부터 귀성주자사(歸誠州刺史)와 영주도독(營州都督)의 작위를 받았다.
695년, 이진충과 함께 당나라에 반기를 들었으며, 696년 이진충이 사망하자 거란의 추장이 되어 당나라를 공격했다. 그러나 결국 당나라와 돌궐 연합군에 패배하여 사망했다. 이 사건은 발해 건국에 큰 영향을 주었다.
2. 1. 이진충과의 동맹 및 반란
695년 5월, 손만영은 당나라 영주도독 조문홰의 폭정에 반발하여 거란 추장 이진충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영주도독 조문홰를 살해하고 당나라에 맞섰으며,[1] 말갈족과 고구려 유민 일부도 이에 호응하였다.[1]696년 이진충이 사망하자 손만영은 거란의 추장이 되어[2] 측천무후 치세의 당나라를 침입하였다.[2] 초반에는 거란의 세력이 강성하여 당나라 북부 지역을 압도하였으나, 돌궐의 카파간 카간에게 힘을 빌린 당나라 군대에 패배하여 결국 살해당했다.[2]
이진충과 손만영의 반란은 영주 부근에서 당나라의 감시를 받던 이민족들이 당나라로부터 이탈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특히 발해 건국의 도화선이 되었다.[3]
2. 2. 당나라와의 전쟁 및 최후
손만영은 695년 5월 당나라 영주도독 조문홰의 폭정을 견디지 못한 거란 추장 이진충과 함께 반란을 일으켜 조문홰를 죽이고 당나라에 맞섰다.[1] 이에 일부 말갈족과 고구려 유민이 호응하여 들고 일어났다.[1]696년 이진충이 사망하자 거란의 추장이 되었다.[2] 그는 측천무후 치세의 당나라를 침입하였으나, 초반의 강성한 세력으로 당나라의 북부 지역을 압도하였던 것과는 달리, 돌궐의 카파간 카간에게 힘을 빌린 당나라 군대에게 패하고 결국 살해당했다.[2]
이진충과 손만영의 반란을 통해 영주 부근에서 당의 감시를 받던 이민족들은 당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특히 이 사건은 발해 건국의 도화선이 되었다.[3]
3. 역사적 의의
손만영은 695년 5월 당나라 영주도독 조문홰의 폭정에 반발하여 거란 추장 이진충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으며, 일부 말갈족과 고구려 유민도 이에 가담하였다.[1]
696년 이진충 사후, 손만영은 거란의 추장으로서 측천무후 치세의 당나라를 공격하였다. 초기에는 거란의 세력이 강성하여 당나라 북부를 압도하였으나, 돌궐 카파간 카간의 지원을 받은 당나라 군에 패배, 살해당했다.[1]
이진충과 손만영의 반란은 영주 부근에서 당의 감시를 받던 이민족들의 당 이탈을 가능케 했으며, 특히 발해 건국의 도화선이 되었다.[1]
4. 가계
- 부왕 : 손씨
- 모후 : 미상(未詳)
- 누이 : 왕후 손씨
- 매형 : 이진충
- 제 : 손만영
5.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참조
[1]
서적
Philosopher, Practitioner, Politician: the Many Lives of Fazang (643-712)
https://books.google[...]
BRILL
2007-06-30
[2]
서적
The Ancient State of Puyŏ in Northeast Asia: Archaeology and Historical Memory
https://books.google[...]
BRILL
2020-05-11
[3]
서적
Sui-Tang China and Its Turko-Mongol Neighbors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