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갈은 중국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7세기부터 10세기까지 중국 동북부 지역에 존재했던 여러 부족을 지칭한다. 이들은 퉁구스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으며,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각 부족마다 추장이 있었다. 수나라와 당나라 시기에 조공을 바치며 교류했으며, 고구려 멸망 후 당나라에 귀부하기도 했다. 흑수말갈은 발해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며, 발해가 멸망한 후에는 거란에 복속되었다. 흑수말갈은 이후 여진족으로 이어졌으며, 말갈 7부족 중 속말말갈은 발해로 발전했고, 흑수말갈은 금나라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갈 - 흑수말갈
    흑수말갈은 10세기 금나라와 17세기 청나라를 세운 여진족과 만주족의 핵심을 형성한 민족으로, 발해 멸망 후 여진족, 만주족과 연관되었으며, 돼지고기를 즐겨 먹고 정착 생활을 하며 농업과 사냥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 말갈 - 속말말갈
    속말말갈은 발해 건국 이전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이 연합하여 당나라에 대항하며 나타난 세력으로, 걸걸중상과 걸사비우가 이끌었으나 당나라의 공격으로 걸걸중상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대조영이 진국을 건국하여 발해로 발전한다.
  • 금나라 사람 - 대흥국
    대흥국은 발해인의 후손으로 금나라 희종 암살에 가담하여 희종을 살해하는 데 기여했으나, 해릉양왕 몰락 후 처형되었다.
  • 금나라 사람 - 유완소
    유완소는 금나라 시대의 의학자이자 금원사대가 중 한 명으로, 화열론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의학 이론을 정립하고 한량한 성질의 약재를 사용하여 온열 질환 치료에 기여한 한량파의 시조이다.
말갈
개요
명칭靺鞨 (말갈)
주요 거주지만주 지역
언어말갈어 (추정)
민족 계통퉁구스족
역사
기원숙신
주요 국가고구려
발해
주요 부족속말말갈
흑수말갈
백산말갈
우루말갈
불녈말갈
철리말갈
월희말갈
문화
종교샤머니즘
사회부족 중심 사회
경제농업
수렵
채집
기타
후예여진족

2. 명칭

중국에서 "말갈"(靺鞨)이라는 지칭은 "말"(靺, 양말)과 "갈"(鞨, 신발)로 표기되며, 이는 중국어 문자의 비하적 표현이다. "말"(靺)은 "오랑캐" 또는 흉노를 의미하는 관용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오대 십국 시대 이전에는 "靺羯"로 기록되었으며, 홍로경비에도 나타난다.

"갈"(鞨)은 말갈의 돌을 의미하는 /갈어이다. 의 통치자 석륵은 "갈"에서 성씨 "석"(石, 돌)을 따왔다. 진서(晉書)에 따르면 석토문(石土門)은 여진족의 왕자인데, 그의 성씨 "석"은 말갈과 과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말갈의 민족명칭은 역사적으로 증명된 '''*Motgit'''와 중고 중국어(勿吉|Mò jí중국어; 한국어: 물길 [Mulgil]; 일본어: もつきつ [Motsukitsu])과 유사하다.

말갈은 "신말갈"(일본어 新靺鞨, しんまか) 또는 "새로운 말갈"로도 나타나며, 이는 춤과 음악 작품의 이름이다. 이 춤과 노래는 나라 시대 또는 헤이안 시대 초기에 발해에서 일본 궁정에 소개되었다. 현대 일본 역사 서적에서는 말갈의 이름에 가나 발음인 맛카쓰(まっかつ)가 주석으로 달려 있는데, 이는 말갈의 민족명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 한자의 표준 한어 발음을 기반으로 한 음역이다.

3. 주요 부족

말갈은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었는데, 그 중 유력한 7개 부족은 말갈 7부족으로 불렸다. 이들은 각각 속말말갈(지린시 위치), 백돌말갈, 안거골말갈(철리말갈), 불녈말갈, 호실말갈(월희말갈), 백산말갈(지린성 위치), 흑수말갈이다.[19][20][21]

말갈인의 계보


이 외에도 백돌부, 안거골부, 호실부, 사모부, 군리부, 굴설부, 막예개부, 우루말갈 등이 있었다.

말갈 7부 중 불열부(불열말갈), 백돌부(백돌말갈), 호실부(호실말갈), 안거골부(안거골말갈), 흑수부(흑수말갈)는 퉁구스계 부족이며, 옛 부여북옥저 지역에 있는 속말부(속말말갈), 백산부(백산말갈)는 예맥계인 부여옥저에 숙신계가 혼합되어 있었고, 점차 고구려화된 부족이다. 고구려가 성장하면서 대부분의 말갈 부족은 고구려의 오랜 지배로 동화되게 된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일곱 개 또는 여덟 개의 말갈 부족이 있었다고 한다. 주요 부족들의 현대 위치와 정착지는 다음과 같다.

모지/멀지에/우지/맛갓(勿吉)말갈/모거/말갈/무톳(靺鞨)현대 위치정착지
우루부(虞婁)우루부(虞婁)수이펀 강 유역
백돌부(伯咄部)백돌부(伯咄部)라린 강 근처
불열부(拂涅部)불열부(拂涅部)무단 강 근처, 한카 호 유역지시 시와 무단장 시에 거주
안차골부(安車骨部)철리(鐵利)쑹화 강 근처하얼빈에 거주
호실부(號室部)월희(越喜)달네레첸스크에 거주


  • 백돌부: 수말부 북쪽에 거주했으며, 정예 병력은 7천 명이었다.
  • 안거골부 (철리부): 백돌부의 북동쪽에 거주했다.
  • 불녈부: 백돌부의 동쪽에 거주했다.
  • 호실부 (월희부): 불녈부의 동쪽에 거주했다.
  • 사모부: 흑수부의 북서쪽에 거주했다.
  • 군리부: 사모부의 북쪽에 거주했다.
  • 굴설부: 군리부의 북동쪽에 거주했다.
  • 막예개부: 굴설부의 동남쪽에 거주했다.
  • 우루부

3. 1. 속말말갈

말갈 7부족의 민족 계통도. 말갈 7부족 중 속말말갈의 계통이 발해로 발전했고, 흑수말갈의 계통이 금으로 발전했다.


속말말갈지린시에 위치해 있었다.[19] 말갈은 여러 부족으로 나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속말말갈이다. 속말부는 남쪽으로 백두산에서 고구려와 접해 있었고, 수말수(두 번째 쑹화강) 유역에 거주했다. 정예 병력은 수천 명이었다.

모지/멀지에/우지/맛갓(勿吉)말갈/모거/말갈/무톳(靺鞨)현대 위치정착지
수모부(粟末部)(Sùmò Bù)
속말부 (Sogmalbu)
수모부(粟末部)(Sùmò Bù)
속말부 (Sogmalbu)
쑹화강 근처


3. 2. 백산말갈

백산을 중심으로 예맥계인 부여옥저에 숙신계가 혼합되어 점차 고구려화된 부족이다.[19] 백산말갈은 지린성 지방에 위치해 있었다.

모지/멀지에/우지/맛갓(勿吉)말갈/모거/말갈/무톳(靺鞨)현대 위치정착지
백산부(白山部)(Báishān Bù)
백산부 (Baeksanbu)
백산부(白山部)(Báishān Bù)
백산부 (Baeksanbu)
백두산 근처



말갈 7부족 중 하나로, 수말부의 동남쪽에 거주했으며, 정예 병력은 약 3천 명이었다.

3. 3. 흑수말갈

흑수말갈(黑水靺鞨)은 헤이룽장성(黑龍江省) 지방에 위치했으며, 지금의 솽야산 시(雙鴨山市), 자무쓰 시(佳木斯市), 허강 시(鹤崗市), 이춘 시(伊春市)에 해당한다. 또한 하바롭스크 지방(Хабаровский крайru) 지방에도 걸쳐 있었는데, 지금의 비킨(Бикинru), 뱌젬스키 군(Вяземскийru), 라조 군(имени Лазоru), 하바롭스크(Хабаровскru)에 해당한다.[19][20][21]

개원 10년(722년), 흑수말갈 추장 예속리계가 당나라에 조공하자, 현종은 그를 발리주 자사로 임명했다. 개원 13년, 안동도호 설태의 청원으로 당나라는 흑수말갈 내에 흑수군을 설치하고, 가장 큰 부락을 흑수부로 삼아 그 수령을 도독으로 삼았다. 다른 부락의 자사는 흑수도독에 소속되었다. 또한, 당나라는 장사를 두어 그 부락을 관리하게 했다.

개원 16년, 당나라는 흑수도독에게 당나라의 국성인 이씨 성을 하사하고 이름을 헌성으로 하였으며, 운휘장군 겸 흑수경략사를 수여하고, 유주도독으로 그 압사를 삼았다.

이후 발해가 강성해지자 흑수말갈은 발해에 속했지만, 당나라에도 여러 차례 사신을 보내 조공했다.

오대 십국 시대에 발해가 거란에 의해 멸망하자(926년), 흑수말갈은 거란에 부속되었다. 이후 흑수말갈 중 남쪽에 위치하여 거란에 속한 자들은 '''숙여진'''이라 칭했고, 북쪽에 위치하여 거란에 속하지 않은 자들은 '''생여진'''이라고 칭하게 되었다.[11]

3. 4. 기타 부족

속말말갈지린시에 위치하였다. 백산말갈지린성 지방에 위치하였다. 우루말갈, 불열말갈은 헤이룽장성 지방에 위치하였는데, 지금의 지시 시 및 무단장 시에 해당한다. 철리말갈은 헤이룽장성 지방, 지금의 하얼빈에 위치하였다. 월희말갈, 흑수말갈헤이룽장성 지방과 하바롭스크 지방에 걸쳐 있었는데, 흑수말갈은 지금의 솽야산 시, 자무쓰 시, 허강 시, 이춘 시, 비킨, 뱌젬스키 군, 라조 군, 하바롭스크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백돌부[19], 안거골부[20], 호실부[21] 등이 있었다.

말갈 7부 중 불열부(불열말갈), 백돌부(백돌말갈), 호실부(호실말갈), 안거골부(안거골말갈), 흑수부(흑수말갈)는 퉁구스계 부족이며, 옛 부여북옥저 지역에 있는 속말부(속말말갈), 백산부(백산말갈)는 예맥계인 부여옥저에 숙신계가 혼합되어 있었고, 점차 고구려화된 부족이다. 고구려가 성장하면서 대부분의 말갈 부족은 고구려의 오랜 지배로 동화되게 된다. 이외에 사모말갈, 군리말갈, 굴열말갈, 막예개말갈 등도 있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일곱 개 또는 여덟 개의 말갈 부족이 있었다고 한다.

모지/멀지에/우지/맛갓(勿吉)말갈/모거/말갈/무톳(靺鞨)현대 위치정착지
수모부(粟末部)
속말부
수모부(粟末部)
속말부
쑹화 강 근처
백산부(白山部)
백산부
백산부(白山部)
백산부
백두산 근처
우루부(虞婁)
우루
우루부(虞婁)
우루
수이펀 강 유역
백돌부(伯咄部)
백돌부
백돌부(伯咄部)
백돌부
라린 강 근처
불열부(拂涅部)
불열
불열부(拂涅部)
불열
무단 강 근처, 한카 호 유역지시 시와 무단장 시에 거주
안차골부(安車骨部/安车骨部)
안차골부
철리(鐵利)
철리
쑹화 강 근처하얼빈에 거주
호실부(號室部/号室部)
호실부
월희(越喜)
월희
달네레첸스크에 거주
흑수부(黑水部)
흑수부
흑수부(黑水部)
흑수부
아무르 강 하류허강 시, 자무스 시, 솽야산 시, 하바롭스크, 비로비잔, 이춘에 거주



말갈은 여러 대부족으로 나뉘었는데, 그중 수말말갈, 백돌말갈, 안거골말갈, 불녈말갈, 호실말갈, 백산말갈, 흑수말갈의 7개 부족이 유력하여 말갈 7부족이라고 불렸다.


  • 수말부: 남쪽으로는 태백산(백두산)에서 고구려와 접해 있었고, 수말수(두 번째 쑹화 강) 유역에 거주했다. 정예 병력은 수천 명이었다.
  • 백돌부: 수말부 북쪽에 거주했으며, 정예 병력은 7천 명이었다.
  • 안거골부 (안거골부, 철리부): 백돌부의 북동쪽에 거주했다.
  • 불녈부: 백돌부의 동쪽에 거주했다.
  • 호실부 (월희부): 불녈부의 동쪽에 거주했다.
  • 흑수말갈: 안거골부의 북서쪽에 거주했다.
  • 백산부: 수말부의 동남쪽에 거주했다. 정예 병력은 약 3천 명이었다.
  • 사모부: 흑수의 북서쪽에 거주했다.
  • 군리부: 사모부의 북쪽에 거주했다.
  • 굴설부: 군리부의 북동쪽에 거주했다.
  • 막예개부: 굴설부의 동남쪽에 거주했다.
  • 우루부

4. 역사

말갈은 만주 일대에 흩어져 살던 여러 부족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주요 부족으로는 속말말갈, 백산말갈, 불열말갈, 철리말갈, 흑수말갈, 월희말갈 등이 있었다. 이외에도 백돌부, 안거골부, 호실부 등도 있었다.[19][20][21]

말갈 7부 중 불열부, 백돌부, 호실부, 안거골부, 흑수부는 퉁구스(숙신계)계 부족이며, 속말부와 백산부는 예맥계인 부여옥저에 숙신계가 혼합된 부족으로, 점차 고구려화되었다. 고구려가 성장하면서 대부분의 말갈 부족은 고구려의 오랜 지배로 동화되었다.

4. 1. 수나라 시기

개황 (581년 ~ 600년) 초, 말갈은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했다.

양제 (재위: 604년 ~ 618년)의 고구려 원정 (612년·613년) 당시, 말갈의 거수 '''돌지계'''는 그 부대를 이끌고 수나라에 항복했다. 수나라는 돌지계를 우광록대부에 임명하고 유성에 거주하게 했다. 돌지계는 중국의 풍속을 마음에 들어 하여 관대를 착용할 것을 청했다. 양제는 이를 기뻐하며 비단을 하사하고 돌지계를 칭찬했다.

요동 전투에서 돌지계는 그 부중을 이끌고 종군하여 전공을 세웠다[8].

4. 2. 당나라 시기

당나라 시기 말갈의 여러 부족은 만주 일대에 흩어져 살았다. 주요 부족과 위치는 다음과 같다.

부족명위치
속말말갈지린시
백산말갈지린성
불열말갈헤이룽장성 (지금의 지시 시, 무단장 시)
철리말갈헤이룽장성 (지금의 하얼빈)
흑수말갈헤이룽장성 (지금의 솽야산 시, 자무쓰 시, 허강 시, 이춘 시)
하바롭스크 지방 (지금의 비킨, 뱌젬스키 군, 라조 군, 하바롭스크)
월희말갈하바롭스크 지방



이외에도 백돌부, 안거골부, 호실부 등도 존재했다.[19][20][21]

말갈 7부 중 불열부(불열말갈), 백돌부(백돌말갈), 호실부(호실말갈), 안거골부(안거골말갈), 흑수부(흑수말갈)는 퉁구스계 부족이었다. 속말부(속말말갈)와 백산부(백산말갈)는 예맥계인 부여옥저숙신계가 혼합된 부족으로, 점차 고구려화되었다. 고구려가 성장하면서 대부분의 말갈 부족은 고구려의 오랜 지배로 동화되었다.

618년부터 626년까지 이어진 당나라 무덕 초, 돌지계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자, 당나라는 그 부락에 연주를 설치하고 돌지계를 총관으로 삼았다. 유흑탈의 반란 때 돌지계는 소속 부대를 이끌고 정주로 가서 태종을 알현하고 절도를 받기를 청했으며, 전공으로 시국공에 봉해졌다. 또한, 그 부락을 유주의 창평성으로 옮겼다. 고개도가 돌궐을 이끌고 유주를 공격했을 때, 돌지계는 군사를 이끌고 맞서 싸워 크게 이겼다.

627년부터 649년까지 이어진 정관 초, 돌지계는 우위장군에 임명되었으며, 당나라 황실의 성씨인 이씨 성을 하사받았다. 돌지계가 죽은 후, 그의 아들 '''이근행'''이 뒤를 이었다. 665년 (린더 2년), 이근행은 영주 도독이 되었다. 그 부락은 수천 명에 달했고 재력도 있어서 주변의 다른 부족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 이후 이근행은 우령군대장군에 임명되었고, 적석도경략대사가 되었다.

토번의 논흠릉 등이 10만 군사를 이끌고 황중을 공격했을 때, 이근행의 병사들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지만, 토번군이 온다는 소식을 듣고 깃발을 세우고 북을 치며 문을 열고 그들을 기다렸다. 그러자 토번군은 복병이 있다고 생각하여 더 이상 진격하지 못했다. 676년 (상원 3년), 이근행은 청해에서 토번군 수만 명을 격파하여 진군대장군·행우위대장군에 임명되었고, 연국공에 봉해졌다.

683년 (영순 2년), 이근행이 죽자 당나라는 그에게 유주도독을 추증하고 건릉에 부장했다. 그 후에도 말갈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을 계속했다.

한편, 백산부는 본래 고구려에 속해 있었으나, 668년 당나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키자 당나라에 항복했다. 백돌부, 안차골부, 호실부 등은 고구려 멸망 후 미약해져 흩어졌고, 발해로 흘러 들어갔다. 다만, 흑수부는 강성하여 16부로 나뉘어 있었다.[9]

4. 3. 발해와의 관계

발해는 한국과 중국 사료에서 일반적으로 발해 또는 말갈로 칭한다.[10] 668년 당나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 백산부는 본래 고구려에 속해 있다가 당나라에 항복했다. 백돌부, 안차골부, 호실부 등은 고구려 멸망 후 미약해져 흩어졌고, 발해국으로 흘러 들어갔다. 다만, 흑수부는 강성하여 16부로 나뉘어 있었다.[9]

4. 4. 흑수말갈과 여진족

722년(개원 10년), 흑수말갈 추장 '''예속리계'''가 에 조공했으며, 현종은 그를 발리주 자사로 임명했다.[11]

725년(개원 13년), 안동도호 설태가 흑수말갈 내에 흑수군을 설치할 것을 청원했으므로, 당은 그 최대 부락을 흑수부로 삼고 그 수령을 도독으로 삼았으며, 제 부락의 자사는 이에 소속되었다. 또한, 당은 장사를 두어 그 부락을 감시하게 했다.[11]

728년(개원 16년), 당은 흑수도독에게 당의 국성인 이씨를 하사하고, 이름을 헌성으로 하였으며, 운휘장군 겸 흑수경략사를 수여하고, 유주도독으로 그 압사를 삼았다.[11]

후에 발해가 강성해지자, 흑수말갈은 이에 속했지만, 당에 대해서도 여러 차례 사신을 보내 조공했다.[11]

오대 십국 시대, 발해가 거란에 의해 멸망하자(926년), 흑수말갈은 거란에 부속되었다. 이윽고, 흑수말갈 중 남쪽에 위치하여 거란에 속한 자들은 '''숙여진'''이라고 칭했고, 북쪽에 위치하여 거란에 속하지 않은 자들은 '''생여진'''이라고 칭하게 된다.[11]

5. 문화 및 풍습

말갈은 돼지를 많이 길렀고, 주로 돼지고기를 먹었으며, 쌀을 씹어서 만드는 술인 구취주를 마셨다.[1] 돼지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었으며, 머리를 땋는 변발 풍습이 있었다.

주거 형태는 둔덕 형태의 움집이었는데, 둔덕 윗부분에 입구가 있어 사다리를 이용해 아래로 내려갔다. 장례는 땅에 구덩이를 파서 시신을 매장하는 방식이었고, 관은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생전에 타던 말을 죽여 시신 앞에 바쳤다.[1]

읍루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오줌으로 손과 얼굴을 씻는 풍습이 있었는데, 중국 역사서에는 "여러 오랑캐 중에서 가장 불결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 말갈이 사용하는 독화살은 살상 능력이 뛰어나 명중하면 반드시 죽음에 이르렀고, 독약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에도 사람이 죽었다고 한다.[1] 독약은 매년 7월과 8월에 제조되었다.[1] 활의 길이는 91.44cm, 화살의 길이는 35.56cm였으며, (화살촉)은 돌(플린트질)을 사용해 만들었다.[1] 돌 화살촉은 불열부(拂涅部) 동쪽 사람들이 사용했는데, 이들은 옛 숙신의 후예로 여겨진다.[1]

5. 1. 의복

부인은 천으로 된 옷을 입었고, 남자는 돼지(멧돼지)나 개()의 가죽으로 옷을 해 입었다. 말갈족은 머리를 땋는 변발 풍습이 있었다.

5. 2. 음식

말갈은 돼지(돼지)를 많이 길렀고, 음식은 주로 돼지고기를 먹었다. 또한 쌀을 씹어서 제조하는 술, 이른바 구취주를 만들어 마셨다.[1]

5. 3. 주거

말갈의 주거 형태는 둔덕 형태의 움집이었다. 둔덕 윗부분에 입구가 있었고, 거기에서 사다리를 사용하여 아래로 내려갔다.

5. 4. 장례

땅에 구덩이를 파서 죽은 자를 매장하지만, 관은 없다. 생전에 타던 말을 죽여 시신 앞에 바친다.[1]

5. 5. 기타 풍습

읍루인과 마찬가지로, "사람의 오줌으로 손과 얼굴을 씻는" 풍습이 이어져 내려왔으며, 중국의 역사서에서는 "여러 오랑캐 중에서 가장 불결하다"라고 평했다.[1] 그들이 사용하는 독화살은 살상 능력이 뛰어나 명중하면 반드시 죽음에 이르렀으며, 독약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에도 죽음에 이르렀다고 한다.[1] 그 독약의 제조는 매년 7월과 8월에 이루어졌다.[1] 활의 길이는 91.44cm, 화살의 길이는 35.56cm였으며, (화살촉)은 돌(플린트질)을 사용하여 만들었다.[1] 돌 화살촉을 사용하는 것은 불열부(拂涅部)보다 동쪽에 있는 자들이었으며, 그들은 옛 숙신씨의 후예로 여겨진다.[1]

6. 언어

말갈은 여진의 별명이라는 점에서[12], 언어는 여진어와 마찬가지로 퉁구스어 남부 계통에 속한다. 비교언어학 연구에 따르면, 숙신 계통의 어휘는 퉁구스 계열 언어의 어휘와 가깝다고 여겨져 왔다[13]。 또한, 발굴 조사에 따른 출토품을 통해 말갈 시대의 일용품이나 주거 형태, 식생활 등이 문자 기록이 남아있는 여진 시대와 연속됨을 확인하고 있다[14]

그 외에 '''고(古) 시베리아어 계통 설'''이 있으며, 그 독특한 언어, 습속으로부터 말갈 등의 숙신 계통 언어가 퉁구스 계통이 아니라, 니브흐(길랴크) 등의 고(古) 시베리아어족이 아니냐는 설이 있다. 세르게이 시로코고로프[15]나 미카미 스구오[16] 등이 제창했다.

말갈은 문자를 가지지 않았다[17]

7. 정치 체제

말갈은 특별한 통일 군주가 없었으며, 각 부족마다 추장이 있었다. 그 추장(거수)을 '대막불만돌'이라고 불렀다.[1]

참조

[1] 웹사이트 唐与渤海、靺羯关系史上的两次出使 http://share.iclient[...]
[2] 서적 Old Book of Tang
[3] 논문 New Light on the origins of the Manchu 1990
[4] 서적 Gorelova 2002 https://books.google[...]
[5] 간행물 Aisin Gioro & Jin http://www.ritsumei.[...]
[6] 서적 Gorelova 2002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0
[8] 서적 隋書
[9] 서적 旧唐書
[10] 뉴스 Original meaning of Dan gur in Khitai scripts: with a discussion of state name of the Dong Dan Guo http://www.ritsumei.[...] 立命館大学人文学会 2008-12
[11] 서적 新唐書
[12] 서적 宋会要輯稿
[13] 서적 塞外民族史研究 岩波書店 1970-01-01
[14] 서적 通古斯族系的興起 中華書局 2006
[15] 서적 北方ツングースの社会構成 岩波書店 1941
[16] 서적 古代東北アジア史研究 吉川弘文館 1977
[17] 서적 旧唐書
[18] 웹사이트 http://www.atlasnews[...]
[19] 문서 납립하 유역
[20] 문서 하얼빈 의란현(依蘭県)에서 동쪽
[21] 문서 현재 수분하(綏芬河) 유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