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 맥시멈 미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솔라 맥시멈 미션(SolarMax)은 1980년 2월 14일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발사된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태양 관측 위성이다. 궤도 경사 28.5도, 고도 574km, 궤도 주기 95분의 궤도로 운용되었으며, 1984년 우주왕복선 챌린저의 STS-41-C 미션에 의해 수리되었다. 1989년 12월 2일 대기권에 재진입하여 소실되었다. 7개의 과학 장비를 탑재하여 태양의 다양한 현상을 관측했으며, 흑점 주기와 태양 밝기 변화, 혜성 발견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델타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우주배경 탐사선
우주배경 탐사선(COBE)은 NASA가 1989년에 발사한 우주 탐사선으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과 우주 적외선 배경을 정밀하게 관측하여 우주의 초기 구조 형성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으며, 특히 CMB의 비등방성 발견으로 존 C. 매더와 조지 스무트는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솔라 맥시멈 미션 | |
---|---|
개요 | |
임무 유형 | 태양 물리학 |
운영 기관 | NASA |
웹사이트 | 태양 최대 미션 |
COSPAR ID | 1980-014A |
SATCAT | 11703 |
우주선 정보 | |
우주선 버스 | 다목적 모듈형 우주선 |
제조사 | 페어차일드 산업 |
발사 정보 | |
발사일 | 1980년 2월 14일, 15:57:00 UTC |
발사 로켓 | 델타 3910 D-151 |
발사 장소 | 케이프 커내버럴 LC-17A |
궤도 정보 | |
폐기 유형 | 궤도 이탈 |
붕괴일 | 1989년 12월 2일 |
궤도 기준 | 지구 중심 |
궤도 영역 | 낮은 지구 궤도 |
궤도 경사 | 28.5도 |
궤도 이심률 | 0.00029 |
궤도 평균 운동 | 15.19 |
궤도 주기 | 94.80분 |
2. 미션 개요
솔라 맥시멈 미션(Solar Maximum Mission, SMM)은 태양 활동 극대기를 연구하기 위해 설계된 NASA의 인공위성이다. 1980년 2월 14일 발사되어 1989년 12월 2일 대기권에 재진입하여 소실될 때까지 운영되었다.
1980년 3월부터 약 6개월 동안 백색광 코로나그래프/편광계(C/P)로 코로나 이미지를 촬영했으나, 9월에 전자 장치 고장으로 작동이 중단되었다. 이후 1984년 우주왕복선 챌린저의 STS-41-C 미션을 통해 수리되었다.
2. 1. 발사 및 초기 운영
1980년 2월 14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어 궤도 경사 28.5도, 고도 574km, 궤도 주기 95분의 궤도에 진입했다. 1984년 우주왕복선 챌린저의 STS-41-C 미션에 의해 수리되었다.2. 2. 우주왕복선에 의한 수리 (1984년)

1980년 11월, SMM의 자세 제어 시스템 퓨즈가 고장나면서, 자세 유지를 위해 자력 토크에 의존해야 했다. 이 때문에 SMM은 3년 동안 대기 모드로 있었다.
SMM은 우주에서 수리된 최초의 궤도 무인 위성이었다. 1984년 4월 STS-41-C 임무에서 우주왕복선 ''챌린저''가 SMM과 랑데부했고, 우주비행사 제임스 반 호프텐과 조지 넬슨은 유인 기동 장치를 사용하여 위성을 포획, 수리해 궤도선의 화물칸으로 옮기려 했다. 처음에는 위성 포획에 실패했지만, SMM 운영 통제 센터 엔지니어들의 도움으로 위성을 복구하고 셔틀의 로봇 팔로 포획해 수리할 수 있었다.
이 임무에서 SMM의 전체 자세 제어 시스템 모듈과 코로나그래프/편광계 장치의 전자 모듈을 교체했고, X선 다색계에 가스 덮개를 설치했다. 이 성공적인 작업으로 위성의 수명은 5년 더 연장되었다. 이 임무는 1985년 IMAX 영화 ''꿈은 살아있다''에 묘사되었다.
2. 3. 임무 종료
1989년 11월 17일, 솔라 맥시멈 미션(SMM) 위성은 자세 제어를 상실했다. 1989년 3월 지자기 폭풍으로 인해 궤도가 하강한 것이 원인으로 보고되었다. 이후 1989년 12월 2일, 인도양 상공에서 대기권에 재진입하여 소멸했다.3. 탑재 장비
솔라 맥시멈 미션(SMM)은 태양의 다양한 현상을 관측하기 위해 7개의 주요 과학 장비를 탑재했다. 각 장비의 대상과 주 연구자는 다음과 같다.
이름 | 대상 | 주 연구자 |
---|---|---|
코로나그래프/편광계 | 태양 코로나, 홍염, 플레어 | 하늘고도 관측소(High Altitude Observatory)의 루이스 L. 하우스 |
자외선 분광기 및 편광계 | 태양 자외선, 지구 대기 | 미국 항공우주국(NASA) 마셜 우주 비행 센터(Marshall Space Flight Center)의 에이나르 A. 탄베르그-한센 |
연 X선 다색화기 | 태양 플레어, 활동 태양 지역 | 록히드사(Lockheed Corporation) 로렌 W. 액턴, 런던 대학교(University College, London)의 컬레인, J, 러더퍼드 애플턴 연구소(Rutherford Appleton Laboratory)의 레너드, 가브리엘, 알란-앙리 |
경 X선 영상 분광계 | 태양 활동 지역 및 플레어 | 위트레흐트 대학교(University of Utrecht)의 코르넬리스 데 예거 |
경 X선 버스트 분광계 | 태양 플레어 및 활동 지역 | 미국 항공우주국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의 케네스 J. 프로스트 |
감마선 분광계 | 태양 감마선 | 뉴햄프셔 대학교(University of New Hampshire)의 춥, 에드워드 L. |
활성 공동 복사계 조도 모니터 | 태양 복사 조도 | 미국 항공우주국 제트 추진 연구소(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의 리처드 C. 윌슨 |
3. 1. 코로나그래프/편광계 (C/P)
하늘고도 관측소(High Altitude Observatory)의 루이스 L. 하우스가 주 연구자로 참여한 코로나그래프/편광계(C/P)는 태양 코로나, 홍염, 플레어를 관측하였다. 1980년 3월부터 9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코로나 이미지를 촬영했으나, 전자 장치 고장으로 작동이 중단되었다.3. 2. 자외선 분광기 및 편광계
미국 항공우주국(NASA) 마셜 우주 비행 센터의 탄베르그-한센, 에이나르 A.가 주 연구자로 참여하여 태양 자외선과 지구의 대기를 관측했다. 자외선 분광기 및 편광계는 175.0–360.0 nm 래스터 이미저, 0.004 nm sp.res.의 성능을 가졌다.3. 3. 연 X선 다색화기
록히드사(Lockheed Corporation)의 액턴, 로렌 W., 런던 대학교(University College, London)의 컬레인, J, 러더퍼드 애플턴 연구소(Rutherford Appleton Laboratory)의 레너드, 가브리엘, 알란-앙리가 주 연구자로 참여하였다. 래스터 이미저와 0.14–2.25 nm 부분의 결정 분광기를 이용하여 태양 플레어 및 활동 태양 지역을 관측하였다.[1]3. 4. 경 X선 영상 분광계
경X선 영상 분광계는 태양 활동 지역 및 플레어를 관측했다.[1] 관측 시야는 6.4 분각, 해상도는 8 또는 32 초각, 관측 범위는 3.5–30 keV였다.[1] 주 연구자는 위트레흐트 대학교(University of Utrecht)의 데 예거, 코르넬리스였다.[1]3. 5. 경 X선 버스트 분광계
경 X선 버스트 분광계는 CsI(Na)를 사용하여 20–260 keV를 커버하는 15개의 에너지 채널로 태양 플레어 및 활동 지역을 관측했다.[1] 주 연구자는 미국 항공우주국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케네스 J. 프로스트였다.[1]대상 | 태양 플레어 및 활동 지역 |
---|---|
주 연구자 | 케네스 J. 프로스트 (미국 항공우주국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
특징 | CsI(Na), 20–260 keV를 커버하는 15개의 에너지 채널 |
3. 6. 감마선 분광계
뉴햄프셔 대학교의 춥, 에드워드 L.가 주 연구자로 참여한 감마선 분광계는 476개 채널에서 0.01-100 MeV의 태양 감마선을 관측했으며, 스펙트럼당 16.4초가 소요되었다.[1]주 연구자 | 관측 대상 | 채널 및 에너지 범위 | 스펙트럼당 시간 |
---|---|---|---|
뉴햄프셔 대학교 춥, 에드워드 L. | 태양 감마선 | 476개 채널, 0.01-100 MeV | 16.4초 |
3. 7. 활성 공동 복사계 조도 모니터 (ACRIM)
미국 항공우주국 제트 추진 연구소(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의 리처드 C. 윌슨이 주 연구자로 참여한 활성 공동 복사계 조도 모니터(Active Cavity Radiometer Irradiance Monitor, ACRIM)는 0.001-1000 마이크로미터 태양 플럭스를 대상으로 태양 복사 조도를 관측했다.[1] 이 관측을 통해 흑점 주기의 최댓값 동안 태양이 더 밝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이는 흑점 주변 홍염의 영향 때문이다.[1]4. 주요 과학적 성과
SMM(솔라 맥시멈 미션)의 ACRIM 기기는 흑점 주기에 대한 관측을 수행하여, 예상과 달리 흑점 주기의 최댓값 동안 태양이 더 밝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흑점 주변의 홍염이 흑점의 어둡게 하는 효과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또한, 1980년 5월 5일에는 코로나 과도 현상을 관측하기도 하였다.
SMM의 주요 과학적 발견들은 여러 논문을 통해 검토되어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
4. 1. 흑점 주기와 태양 밝기 변화
흑점 주기의 최댓값(가장 많은 수의 어두운 '흑점'이 나타날 때) 동안 태양이 실제로 더 밝다는 것은 예상과 다른 결과였다. 이는 흑점 주변에 홍염이라는 밝은 특징이 있어서 흑점의 어둡게 하는 효과를 상쇄하고도 남기 때문이다.4. 2. 혜성 발견
SMM(솔라 맥시멈 미션)은 10개의 혜성을 발견했으며, 이 혜성들은 모두 크로이츠 썬그레이저 그룹에 속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SOLAR MAXIMUM MISSION (SMM)
https://www2.hao.uca[...]
[2]
웹사이트
My Solwind Comets (by Rainer Kracht)
http://www.rkracht.d[...]
[3]
웹사이트
https://ui.adsabs.ha[...]
[4]
웹사이트
https://ui.adsabs.ha[...]
[5]
웹사이트
https://ui.adsabs.ha[...]
[6]
웹사이트
http://www.cbat.eps.[...]
[7]
웹사이트
https://ui.adsabs.ha[...]
[8]
웹사이트
https://ui.adsabs.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