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석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석항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위치한 어항이다. 어항 구역은 슴갈목섬 뿌리 기점으로부터 아목섬 정상을 지나 육지와 연결한 선내의 공유수면과, 송석리 531-14 외 4필지를 포함한 육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2009년 3월 19일 개발 계획이 변경 고시되었으며, 방파제, 진입도로, 물양장 등의 건설과 어항 기능 시설 계획이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천군의 어항 - 월하성항
    월하성항은 어선들의 안전한 정박과 어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된 어항으로, 방파제와 남방파제로 둘러싸인 14만 9천 800m² 면적의 어항구역에 물양장, 선착장, 어구 보관 창고 등 어업 관련 시설을 갖추고 육지부 경계선에서 방파제 외측 끝단 등을 연결하는 선과 별표 2의 지점으로 수역이 구분된다.
  • 서천군의 어항 - 홍원항
    홍원항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풍부한 수산자원을 바탕으로 지역 주민들의 생활 근거지이며, 다기능 어항 개발 계획에 따라 마리나 시설 등이 조성될 예정이고, 가을에는 자연산 전어 축제가 개최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 어사항
    어사항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어항으로, 수역과 육역으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 우동항
    우동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어항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설치되어 도다리, 삼치 등이 잡히며,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송석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송석항
유형지방어항
주소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석리
지정일1978년 4월 24일
시설 관리자서천시장
위도36.0734874
경도126.6319173

2. 어항 구역

송석항의 어항구역은 다음과 같다.[1]


  • 수역

: 슴갈목섬 뿌리 기점(X=286,430 Y=165,668)으로부터 남서쪽 아목섬 정상을 경유, 이 점에서 정동쪽 방향으로 그어 육지와 연결한 선내의 공유수면이다.[1]

  • 육역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석리 531-14 외 4필지를 포함한다.[1]

2. 1. 수역

송석항의 어항구역은 슴갈목섬 뿌리 기점(X=286,430 Y=165,668)으로부터 남서쪽 아목섬 정상을 경유, 이 점에서 정동쪽 방향으로 그어 육지와 연결한 선내의 공유수면이다.[1]

2. 2. 육역

송석항의 육역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석리 531-14 외 4필지를 포함한다.[1]

3. 개발 계획

2009년 3월 19일 송석항 개발계획이 변경 고시되었다.[2] 변경된 개발계획의 주요 내용은 방파제 151m, 진입도로 298m, 물양장 155m, 호안 80m, 준설매립 1식, 기타(우수공 포함) 1식을 포함한다.

어항기능시설 계획으로는 기본시설 2,301m2, 보급시설 982m2, 어항어구 보전시설 3,075m2, 수산물 유통 판매시설 1,245m2, 수산물 처리 가공시설 1,076m2, 공공시설 1,545m2, 도로 3,353m2, 기타 1,106m2가 포함되었다.[2]

3. 1. 주요 내용

2009년 3월 19일 송석항 개발계획이 변경 고시되었다.[2] 변경된 개발계획의 주요 내용은 방파제 151m, 진입도로 298m, 물양장 155m, 호안 80m, 준설매립 1식, 기타(우수공 포함) 1식을 포함한다.[2]

어항기능시설 계획으로는 기본시설 2,301m2, 보급시설 982m2, 어항어구 보전시설 3,075m2, 수산물 유통 판매시설 1,245m2, 수산물 처리 가공시설 1,076m2, 공공시설 1,545m2, 도로 3,353m2, 기타 1,106m2가 포함되었다.[2]

3. 2. 어항 기능 시설 계획

2009년 3월 19일 송석항의 개발계획이 변경 고시되었다.[2] 변경된 개발계획의 주요 내용은 방파제 151m, 진입도로 298m, 물양장 155m, 호안 80m, 준설매립 1식, 기타(우수공 포함) 1식이다.[2]

어항기능시설 계획으로는 기본시설 2,301m2, 보급시설 982m2, 어항어구 보전시설 3,075m2, 수산물 유통 판매시설 1,245m2, 수산물 처리 가공시설 1,076m2, 공공시설 1,545m2, 도로 3,353m2, 기타 1,106m2가 포함된다.[2]

참조

[1] 간행물 지방어항 구역 조정(변경) 고시 충청남도 2009-07-30
[2] 간행물 지방어항 개발계획(변경) 고시 충청남도 2009-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