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다긴귀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다긴귀박쥐는 몸길이 51.5mm의 작은 박쥐이다. 작은 무리를 지어 은신하며, 곤충을 먹는다. 소순다 열도의 렘바타섬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해발 200m 이내의 맹그로브 근처에서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기니긴귀박쥐속 - 북부긴귀박쥐
북부긴귀박쥐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서식하며 곤충을 사냥하는 독특한 습성을 가진 박쥐의 일종으로, 호주긴귀박쥐와 유사하나 콧구멍 뒤의 특징과 서식지 선호도에서 차이를 보이며 분류학적 논의와 형태적 변이를 나타낸다. - 뉴기니긴귀박쥐속 - 누벨칼레도니긴귀박쥐
누벨칼레도니긴귀박쥐는 뉴칼레도니아 누메아의 콧기스 산 남서쪽에서만 관찰되는 짙은 갈색 털과 긴 귀를 가진 박쥐 종이며,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1991년 기재된 포유류 - 뉴아일랜드숲쥐
뉴아일랜드숲쥐는 3000년 이상 전의 턱 화석 파편으로 알려져 있으며, 큰 어금니와 복잡한 송곳니 구조를 가진 멸종된 쥐이다. - 1991년 기재된 포유류 - 티모르쥐
황갈색 등과 밝은 황토색 배를 가진 티모르쥐는 티모르섬 서부 지역에 서식하는 육상성 설치류이다.
순다긴귀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yctophilus heran |
명명자 | Kitchener, How & Maharadatunkamsi, 1991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
아목 | 양박쥐아목 |
과 | 애기박쥐과 |
아과 | 애기박쥐아과 |
속 | 뉴기니긴귀박쥐속 |
종 | 순다긴귀박쥐 (N. heran) |
보전 상태 | |
IUCN Red List | DD |
IUCN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5005/22009360. 2021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기타 정보 | |
MSW3 | 13802011 |
2. 특징
몸길이는 51.5mm, 꼬리 길이는 40.7mm, 전완장은 39.3mm, 발 길이는 6.4mm, 귀 길이는 23.4mm인 작은 박쥐이다.[4]
작은 무리를 지어 은신하며, 먹이는 곤충이다.
소순다 열도의 렘바타섬에서 1989년에 수컷 성체 한 마리가 포획되어 처음 알려졌다. 해발 약 200m 이내의 맹그로브 근처에서 서식한다.
[1]
간행물
"''Nyctophilus heran''"
2016
3. 생태
4. 분포 및 서식지
참조
[2]
웹사이트
Nyctophilus heran
http://www.iucnredli[...]
2006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1996
[3]
서적
MSW3 Chiroptera
[4]
논문
A new species of Nyctophil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from Lembata Island, Nusa Tenggara, Indonesia
http://museum.wa.gov[...]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