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포포보콕쿠스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술포포보콕쿠스속은 극고온성, 혐기성, 황 호흡 등의 특징을 가진 고세균 속이다. 1982년 데술푸로코쿠스과가 테르모프로테우스목의 두 번째 과로 제안되었으며, 1997년에는 16S rRNA 서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크렌고세균 문의 목과 과가 재분류되었다. 술포포보콕쿠스속의 최적 성장 조건은 아직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이슬란드의 온천 환경과 유사한 고온, 알칼리성 조건에서 배양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중 조효소 의존성 DNA 연결 효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술포포보콕쿠스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속 | 술포포보콕쿠스속 |
학명 | Sulfophobococcus |
명명자 | Hensel et al., 1997 |
상위 분류 | |
역 | 고균 |
계 | 크렌고균계 |
문 | 크렌고균문 |
강 | 테르모프로테우스강 |
목 | 데술푸로콕쿠스목 |
과 | 데술푸로콕쿠스과 |
종 정보 | |
종 | 술포포보콕쿠스 질리기 |
종 명명 | Hensel et al. 1997 |
2. 분류
술포포보콕쿠스속(Sulfophobococcusla)은 고세균 영역, 크렌고세균문(Crenarchaeota)에 속하는 속이다. 현재 데술푸로콕쿠스목(Desulfurococcales) 아래 데술푸로콕쿠스과(Desulfurococcaceae)로 분류된다. 이 속의 대표적인 종으로는 1997년 아이슬란드의 온천에서 발견되어 명명된 술포포보콕쿠스 질리기(Sulfophobococcus zilligiila)가 있다. 이러한 분류는 16S rRNA 염기서열 데이터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2. 1. 초기 분류
1982년, W. Zillig 등은 극호열성, 혐기성, 황 호흡 고세균인 Thermoproteales에 속하는 두 번째 과로 Desulfurococcaceae를 제안하였다. 이후 1997년, Hensel 등은 아이슬란드의 뜨거운 알칼리성 온천에서 새로운 초고온균 고세균을 분리하고, 이를 술포포보콕쿠스 질리기(Sulfophobococcus zilligiila)라는 신종으로 명명하며 새로운 속인 Sulfophobococcus을 설정하였다.2. 2. 계통 분류
술포포보콕쿠스속(Sulfophobococcusla)은 1997년 Hensel 연구팀이 아이슬란드의 뜨거운 알칼리성 온천에서 분리한 새로운 고세균 속으로 처음 제안되었다. 이때 명명된 종은 Sulfophobococcus zilligiila이다.같은 해인 1997년, Burggraf 연구팀은 16S rRNA 염기서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크렌고세균문(Crenarchaeota) 내의 목(order)과 과(family) 수준의 분류 체계를 재정립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Sulfophobococcusla 속을 포함한 다양한 고세균의 계통학적 위치를 명확히 하는 데 기여했다.
현재 Sulfophobococcusla 속은 데술푸로콕쿠스목(Desulfurococcales)의 데술푸로콕쿠스과(Desulfurococcaceae)로 분류된다. 데술푸로콕쿠스과는 1982년 Zillig 연구팀에 의해 처음 기술된 바 있는 고세균 과이다.
3. 생물학적 특성
(내용 없음)
4. 관련 과학 저널
술포포보콕쿠스 질리지(''Sulfophobococcus zilligii'') 및 관련 고세균 연구는 여러 과학 저널을 통해 발표되었다. 주요 게재 학술지는 다음과 같다.
- ''Systematic and Applied Microbiology'': 아이슬란드의 뜨거운 알칼리성 온천에서 분리된 새로운 초고온균인 술포포보콕쿠스 질리지의 발견과 명명에 관한 연구가 1997년에 발표되었다.
-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16S rRNA 염기서열 데이터에 기반한 크렌고세균(Crenarchaeota) 목 및 과의 재분류에 대한 연구가 1997년에 게재되었다.
- ''Zentralblatt für Bakteriologie, Parasitenkunde, Infektionskrankheiten und Hygiene, Abteilung 1 Originale C'': 극호열성, 혐기성, 황 호흡 테르모프로테우스목(Thermoproteales)의 두 번째 과인 데술푸로콕쿠스과(Desulfurococcaceae)에 대한 연구가 1982년에 실렸다.
-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F: Structural Biology and Crystallization Communications'': 술포포보콕쿠스 속 고세균에서 유래한 다중 보조 인자 의존성 DNA 연결효소의 정제, 결정화 및 예비 결정학적 분석에 대한 연구가 2010년에 발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NCBI taxonomy resources
http://ftp.ncbi.nih.[...]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07-03-19
[2]
웹인용
NCBI taxonomy resources
ftp://ftp.ncbi.nih.g[...]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0-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