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니 백작 오토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쉬니 백작 오토 1세는 10세기 인물로, 베르망두아 백작 아달베르트 1세와 로타링기아의 게르베르가의 아들이었다. 그는 신성 로마 황제 오토 1세의 외외종조부이며, 카롤링거 왕조와도 먼 친족 관계를 맺고 있다. 956년 로타링기아의 치니 백작에 임명되었고, 인근 지역 영주들과의 분쟁을 일으켰다. 그의 아내는 로타링기아의 팔라틴 백작 비게리크 폰 로타링기아의 딸이었으며, 아들 루이 1세는 치니 후작이자 베르덩 백작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87년 사망 - 루도비쿠스 5세 이네르스
루도비쿠스 5세 이네르스는 서프랑크 왕국의 마지막 카롤링거 왕조 왕으로, 987년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카롤링거 왕조의 단절을 초래하고 카페 왕조가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 987년 사망 - 최지몽
최지몽은 낭주 최씨의 시조이자 고려 초기의 관료로서, 천문과 복서에 능통하여 태조 왕건의 통일을 예견하고 왕조 보위에 기여한 인물이다. - 백작 - 백국
- 백작 - 방백
방백은 고대 중국에서 제후의 장을 지칭하거나 신성 로마 제국에서 공작에 준하는 작위를 가진 귀족을 의미한다. - 헤르베르투스 왕조 - 롤로
롤로는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에 활동한 바이킹 지도자이자 노르망디 공국의 창건자로, 서프랑크 왕국과 생클레르쉬르에프트 조약을 맺어 노르망디 지방을 할양받고 공작으로 서임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잉글랜드를 정복하여 노르만 왕조를 세웠다. - 헤르베르투스 왕조 - 쉬니 백작 오토 2세
쉬니 백작 오토 2세는 중세 시대 쉬니 백작 가문의 주요 인물로, 뛰어난 외교와 정치적 수완으로 가문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지역 사회 안정에 기여했다.
쉬니 백작 오토 1세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칭호 | 쉬니 백작 |
이름 | 오토 1세 |
가문 | 아르덴-베르됭 가문 |
출생 | 1019년 이전 |
사망 | 1041년 5월 13일 |
통치 | |
통치 시작 | 1004년 |
통치 종료 | 1041년 |
이전 통치자 | 루이 |
후임 통치자 | 루이 2세 |
가족 관계 | |
부모 | 이브와 이름 미상의 여성 |
배우자 | 아델라이드 |
자녀 | 루이 2세 오토 아달베르트 |
2. 생애
쉬니 백작 오토 1세의 이름은 오토가 아니라 프랑크식 이름인 오도(에우도)라는 설도 있다. 베르망두아 백작 경건자 아달베르트 1세와, 로타링기아 공작 기셀베르투스와 동프랑크 왕국 하인리히 1세의 딸 작센의 게르베르가의 딸 로타링기아의 게르베르가의 아들이었다. 신성 로마 황제 오토 1세는 그의 외외종조부가 되고, 부계로 카롤링거 가의 먼 친족이기도 한 서프랑크 왕국 로테르 3세나 로타링기아의 샤를은 이복 외삼촌이 된다.
증조부는 샤를마뉴의 손자 베른하르트 1세의 서자 피핀 2세의 셋째 아들 헤르베르트 1세이다. 할아버지는 헤르베르트 2세이고, 할머니는 네우스트리아의 아델라로 서프랑크의 왕 로베르 1세의 딸이다. 아버지는 아달베르트 1세이고, 어머니는 로타링기아의 게르베르가(930년경 - 978년)로 로타링기아 공작 기셀베르트[1]와 작센의 게르베르가[2]의 딸이다.
[1]
문서
아버지 레니에 1세는 로타르 1세의 외손자이고, 레니에의 부인은 대머리왕 카를 2세의 딸임
그의 아버지 아달베르트 1세는 자신의 외가인 작센 오토 왕가와의 인연에서 유래하여, 오토와 형제 리우돌프의 이름을 프랑크 족이 아닌 게르만 족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어머니 로타링기아의 게르베르가는 황제 오토 1세의 외조카딸이 된다.
초기 생애는 알려지지 않았다. 956년 로타링기아의 치니의 백작에 임명되었는데 베르망두아 인근에 있는 지역이었다. 어렸을 때 하인아우트 경(Load of Hainaut) 과 캄브레시스(Cambrésis, 훗날의 캉브레) 경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어느 시점에 그의 작위들은 다른 귀족들에게 넘어갔다.
그는 이웃 영주들과 싸우기를 좋아하는 영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직접 군사를 이끌고 인근 지역인 하인나우트(Hainaut)와 캉브레시스(Cambresis)를 위협했다. 971년 아르데네스에 있는 워러크 성을 수축하고, 같은 성에서 군사를 일으켜 랭스 대주교 아달베롱 등을 공격하였다. 아달베롱 주교는 대대로 제국 정부의 고문의 직위를 역임했다.
그의 아내의 이름은 정확하게 알려지지는 않았는데, 로타링기아의 팔라틴 백작 비게리크 폰 로타링기아(Wigeric von Lotharingia)와 서프랑크의 왕 말더듬이 루트비히의 딸 쿠니군데의 딸이었다.
3. 가족 관계
형제로는 헤르베르트 3세와 누아용 주교 리우돌프(Liudolph, 957년경 ~ 986년)가 있었다. 동생 가이 1세는 일설에는 그의 할아버지 헤르베르트 2세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부인은 이름이 미상으로, 베덴시스(Bedensis) 또는 비드가우(Bidgau) 백작 비게리쿠스 또는 비데리쿠스의 딸이었다. 아들 루이 1세는 치니 후작이자 와라크 영주(987-1025), 베르덩 백작(1024-1025)이었다.
참조
[2]
문서
독일 왕 하인리히 1세의 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